• Title/Summary/Keyword: 배경대기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한반도 기후변화 감시 관측 및 배경 대기질 특성

  • 최병철;정효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5-46
    • /
    • 2003
  • 배경대기(Background Atmosphere)란 배출원의 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시 또는 대규모의 발전소로부터의 영향이 적은 지역의 대기로써 인위적 오염원이 거의 없는 지역을 의미한다(WMO, 1978). 세계 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서는 지구 대기가 인위 적인 오염원으로 인하여 생태계의 변화가 예상되고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으로 1969년에 배경대기오염관측망(Background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BAPMoN)을 구축하여 장기적인 지구의 대기 환경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하였다. (중략)

  • PDF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Pollutants measured at Kosan during ACE-Asia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IOP)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고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배경농도 분포특성)

  • ;;;;Jianzhen Yu;Keith Bower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3-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ACE-Asia) 집중관측 기간에 우리 나라의 배경대기 지역의 하나인 제주도 고산에서 측정한 가스상 오염물질과 입자상 오염물질의 농도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질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주 고산은 지리적인 요인과 정책적 요인에 의해서 인위적인 오염물의 배출원이 거의 없는 청정 지역으로 배경 대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일본으로부터의 오염물 장거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이다(김용표 등, 1995). (중략)

  • PD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at Background Area (배경지역에 대한 $PM_{2.5}$의 화학적 특성)

  • 박기형;조정구;유수영;전보경;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3-254
    • /
    • 2001
  • 배경지역에 대한 대기질 연구는 해당 배경지역 뿐 아니라 대기 중 수송에 의해 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한국-중국간, 한국-일본간의 국경을 넘는 대기 오염물질은 이미 국제간에 문제시되고 있으며 많은 과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황사로 인한 피해가 적지 않았지만 이와 관련된 자료가 부족하여 황사에 대한 영향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없었다. 우리 나라의 지리적 여건상 인접해 있는 중국의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 나라를 빠져나가는 배경 농도에 대한 조사가 미미한 실정이다. (중략)

  • PDF

Comments on Air Pollutant Levels at Background Sites in Korea (우리 나라 배경 농도 측정소의 측정결과 검토)

  • 김용표;김현진;이승복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5 no.4
    • /
    • pp.505-512
    • /
    • 1999
  • 우리 나라의 배경농도 측정소에서 1996년과 1997에 측정한 대기오염물질 농도 경향을 살피고, 결과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배경농도 측정소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오존을 제외하고는 도심지역의 농도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황산가스와 일산화탄소의 경우에는 일반용 측정기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실제 농도보다 매우 높게 관측결과를 낼 수도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예년 경향과 다르거나, 비정상적인 경향을 보여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낮은 측정 결과도 일부 파악되었다. 우리 나라 배경농도도 측정소의 설치, 운영목적이 배경농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생산하는데 있는 만큼, 배경농도 측정요인 저농도 측정기기의 이용과 함께, 좀더 적극적인 기기의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 PD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at Rural Area in Korea (국내 시골지역의 대기오염 물질 농도 특성)

  • 박민석;백점인;이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9-240
    • /
    • 2002
  • 산업화 및 차량 증가 등에 의해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는 지난 세기 동안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는 대기오염 농도는 특정 배출원에 기인한 인위적 오염 농도와 그 지역의 자연 배출원 등에 의한 배경농도의 합으로 결정되므로 해당지역의 오염 영향의 평가나 대기질 관리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배경농도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은 중요하다. (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e Concentrations at Taeha between 1997 and 2000 (1997년~2002년 태하의 오존 농도 경향)

  • 김정화;김용표;박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5-296
    • /
    • 2003
  • 1990년대 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국내 $O_3$ 연구는 대부분 서울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대도시의 $O_3$ 농도가 대도시 내에서의 생성 및 소멸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운동과 관련된 수평 및 연직 수송에 의한 영향도 중요한 요소임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청정 대기 상태에서 $O_3$의 배경 농도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서명석 등, 1995). 울릉도 태하는 우리나라의 배경 농도 지역으로 청정 대기 상태에서의 $O_3$ 농도 특성을 연구하기 좋은 지역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