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화구획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초

제연구역의 주요 매개 변수 및 누설 면적 변화를 고려한 차압 형성 관계 분석 (An Analysis on the Major Parameter and the Relations of Pressure Difference Effect of Leakage Area in the Smoke-Control Zone)

  • 유우준;고권현;사공성호;남준석;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3
  • 본 연구에서 부속실 단독 가압 구조인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성능 확보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매개 변수를 분석하고 공급유량과 누설면적 변화에 따라서 풍도와 부속실 차압 형성 관계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3층 규모의 총 10개의 구획공간으로 구성된 모형 구조물과 방화문의 개폐력 측정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각 구획공간과 외기의 차압, 방연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계측 장비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 댐퍼의 차압조절 범위가 45 Pa~55 Pa인 경우 공급유량과 부속실 차압 크기에 따라서 45 Pa 이하인 저압 영역, 45 Pa~55 Pa 구간인 차압조절 영역 그리고 55 Pa 이상인 과압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저압 영역에서는 부속실, 차압조절 영역에서는 부속실과 댐퍼 그리고 과압 영역 에서는 댐퍼의 누설면적이 차압 형성에 중요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연구를 위한 실물화재 실험 (The Real Scale Fire Tests for Vertical Fire Spread Study of External Finishing Material)

  • 권오상;유용호;김흥열;김정현;민세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5-91
    • /
    • 2012
  • 건축물에서 화재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확산방지 대책은 일반적으로 방화구획에서의 구조부재의 내화 성능 확보,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에 따른 사용 제한 등이 있다.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 판단은 화염의 확산을 판단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화재 안전 설계이지만 국내의 연소 시험은 시편 크기의 화재 시험 방법으로 연소 성능을 판단하고 있어 샌드위치패널 등과 같은 복합재료의 연소 성능을 판단하기에는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외벽 마감재료의 경우 내부 마감재료에 비해 드라이비트, 알루미늄복합패널, 메탈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외벽 마감재료의 국제시험규격인 ISO 13785-2 시험방법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실물 화재 실험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특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FREM을 적용한 고층건물의 화재위험도 비교평가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Evaluation for High-rise Building Fire Risk by the Use of FREM)

  • 김동일;손기상;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5-50
    • /
    • 2002
  • 본 연구는 화재위험도 분석 개념과 정의 및 접근방식을 검토하여 건물화재위험도 분석의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다음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인 FREM을 사용하여 국내외 대표적인 고층건물 100동에 대한 화재위험도를 평가한 후 위험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또한 외국에서 개발된 이 기법을 국내에서 적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밝혔다. 고층건물의 화재위험도 평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건물 내 방화구획과 자동소화설비의 신뢰도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고층건물에서 화재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이 두 설비를 유효하게 설치하고 유지관리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차후 이 두 설비 등에 대한 신뢰도 평가기준을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하여, 지수를 이용한 건물 화재위험도 평가에 적용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보다 정확한 위험도 산정이 가능할 것이다.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피난인식 및 건축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s on Evacuation and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Center with Disabilities)

  • 이정수;오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17-62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약자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의 건축계획 및 피난관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원장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피난인식을 조사하고, 어린이집 현장조사를 통해 보육 및 피난 환경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65.3%의 보육시설 원장이 "자력으로 피난이 가능한 장애아동이 30% 미만"으로 응답하고, 중증복합장애 아동이 50% 이상인 시설이 73.2%를 차지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장애아동은 보육교사의 도움없이 안전한 피난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수직피난 또는 길찾기의 어려움이 있는 중증장애 아동이 2층 이상에 재실하는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은, 각 층에 소방차 도착 후 구난시까지 대기할 수 있는 방화구획된 피난안전구역 설치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서울시의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은 대부분은 복지관 1층에 입지하고 있어 피난의 수월성은 보장되지만, 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을 리모델링하여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시설환경이 노후화하고 열악하여 안전 및 피난을 위해 편의 및 피난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의 현장실험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 Field Test for a Smoke Control System Using Sandwich Pressurization)

  • 김정엽;안찬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87-92
    • /
    • 2016
  • 국내에서는 고층 및 복합 건축물이 다수 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시 실효성 있는 연기대응 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고층 건축물에서 제연설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은 연기확산 방지와 원할한 피난환경 제공을 위해서 적정 층간차압과 이를 위한 급배기 풍량의 설계에 관한 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제 건축물에서 수행한 현장실험의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화재층의 배기풍량과 상하부층의 급기풍량으로 시간당 6회의 환기횟수를 적용하였으며, 시스템 가동으로 화재층인 12층과 그 상부층인 13층 사이에 약 260 Pa의 압력차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압력차 형성은 피난 및 방화구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피난안전에 대한 제언: 고양시를 대상으로 (A Proposal on Evacuation Safety in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argeting the Goyang City)

  • 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52-58
    • /
    • 2020
  • 노인인구의 증가와 맞벌이부부의 증가로 인한 노인부양방식의 변화로 중풍환자와 치매노인을 돌보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주로 도시의 주변에 설치되고 있으며 점차 고층화 되어가고 있다. 관리자가 최소인 야간에 화재발생 시 스스로 판단하여 대피할 수 있는 입소자들이 거의 없으며 경사로등 입소자를 대피시킬 수 있는 피난로가 없어 대형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면적당 노인의료복지시설이 가장 많은 고양시를 중심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피난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경사로를 확보하거나 침대피난용 승강기를 확보하고, 입소자들의 침실을 한 시간 내화로 방화구획하며, 계단을 피난계단의 구조로 하며, 구조대 설치 등 피난에 필요한 시설들의 설치 및 주변기관과 화재 시 상호협력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날로 증가되어가는 의료복지시설의 피난안전을 위하여 본 제안의 신속한 적용이 필요하다.

1시간 내화구조용 철강재 벽체의 내화성능과 단위 패널 휨강도의 관계 고찰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Interplay Between Fire Resistance of 1-Hour Rated Fireproof Steel Walls and the Flexural Strength of Individual Panels)

  • 전수민;옥치열;강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37-546
    • /
    • 2023
  • 국내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사용되는 철강재 벽체는 품질시험 등을 거쳐 내화구조로 인정받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품질시험은 내화 및 부가 시험으로 이루어지는데 철강재 벽체의 부가 시험 항목은 가스유해성과 휨강도이다. 가스 유해성의 경우 준불연 심재 사용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생략되므로 내화구조 인정 과정의 부가시험은 휨강도만 실시하는 셈이다. 휨강도의 경우 벽체를 구성하는 단위 판의 강도를 측정하는데, 특정 강도 이상으로 명시되어 인정되기에 강도가 높으면 내화시험 시 시험체 변형에 저항하여 차염성과 차열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이에 현재 인정이 유효한 1시간용 건축용 철강재 벽체구조의 인정 당시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내화성능과 휨강도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양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시뮬레이션(FDS)을 이용한 Double Skin 연소확대 위험에 관한 고찰 (Analysis for Fire Spread through Double Skin Facade System with FDS)

  • 허윤택;박창복;성준식;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0-116
    • /
    • 2009
  • 본 연구는 Double Skin System의 화재 전파 위험성을 전산유체역학모델인 FD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화재모델링을 구현하기 위해 오피스 용도의 단위 구획공간을 화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화재시나리오는 외창으로의 연소확대 위험 분석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되는 시스템조건들을 Case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Double Skin System의 설치 간격에 따른 건물상층부로의 화재확대 위험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방화대책 등을 수립하는데 있다. 해석 결과, 더블스킨 중간층 간격이 넓을수록 상부층으로 연소확대 영향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간층 간격이 1m 미만인 경우는 발화층 상부 2개층으로 연소확대가 예상되므로 층간연소 확대 방지 시스템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