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향족성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Y-방향족성의 본질과 존재에 대한 분자궤도론적 연구 (MO Theoretical Studies on Nature and Reality of)

  • 이익춘;이본수;김찬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6-364
    • /
    • 1985
  • 이소부틸렌 2가 음이온 및 디리티오이소보틸렌 이성질체들에 대하여 STO-3G최적화 계산을 수행하여 이들 화학종의 기하구조, 에너지, Mulliken 점유도등을 고찰하였다. 이들 화학종의 생성과 관련되는 몇 가지 isodesmic반응의 반응에너지 및 그로부터 추정된 상대적 생성에너지로부터 Y-형 2가 음이온에 대한 "Y-방향족성"의 기여와 이들 2가 음이온 유사체를 거치는 알킬화 반응을 좌우하는 구조적 요인을 고찰하였다.

  • PDF

저온상태에서 NMR을 이용한 p-Fluorophenylthioxanthylium 양이온에 관한 연구 (Low Temperature NMR Study on p-Fluorophenylthioxanthylium Ions)

  • 안양수;신정휴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5-171
    • /
    • 1982
  • 티오크잔틸이움 이온과 안트라센이움 이온은 동리평면성의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 양이온들에서 양전하 중심부의 빈 $P_z$-궤도는 융합된 벤젠고리의${\pi}$-궤도와 겹쳐진다. 이 양이온들은 Huckel의 (4n + 2)${\pi}$ 법칙에 따라 방향족성을 가진다. 방향족성의 안정화에 황원자가 기여하는 것은 티오크잔틸이움 이온과 안트라센이움 이온의 ${^19F}$핵자기 공명의 화학적 이동의 비교로 평가되었다.

  • PDF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기능성 헤테로 고리 화합물의 분리(II) (Separation of Functionalized Heterocyclic Compoun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I))

  • 조윤진;이영철;이광필;박긍식
    • 분석과학
    • /
    • 제11권4호
    • /
    • pp.292-296
    • /
    • 1998
  • 헤테로 고리 화합물인 isoquinoline과 외부치환체로서 $COOCH_3$, CN 및 $CH_3$ 작용기들이 치환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정상 및 역상법으로 분리 한 결과, 이동상의 종류에 따라 용리순서에 용매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 내부의 방향족성이 없는 2-methylindoline과 방향족성이 있는 2-methylindole, 그리고 헤테로 원자가 질소와 산소인 benzoxazole과 질소와 황인 benzothiazole의 머무름거동은 정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시료 분자와 충진제의 흡착 표면과의 흡착력으로 설명할 수 있었고,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는 시료와 정지상과의 소수성 상호작용 등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1H-Indene과 Mono-sila-1H-Indene의 구조와 방향족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Aromaticity of 1H-Indene and Mono-sila-1H-Indene)

  • Ghiasi, Reza;Monnajemi, Majid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1-290
    • /
    • 2006
  • Hybrid DFT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1H-Indene과 Mono-sila-1H-indene 분자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분자들의 방향족성 특성 연구를 위하여 MO, 비등방성 자기 민감도 등을 계산하였다. 1H-Indene과 Mono-sila-1H-indene 분자들에 대한 X8-X9 결합의 상대적인 안정도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NBO 계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8, 9 위치의 Si 원자들이 C 원자들로 치환되었을 때, p orbital의 기여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X8-X9 결합 길이는 하이브리드 오비탈의 p 오비탈 기여도에 크게 영향받는 사실을 보여준다. NBO계산을 통하여 X8-X9로부터 *X8-X9 결합 오비탈로의 비편재화에 기인하는 정량적인 에너지 안정화 세기를 결정하였다. MO 분석 결과 연구 대상 분자들의 방향족성은 3개의 비편재화된 pMO와 2개의 비편재화된 sMO에 의해서 주로 영향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궤도간 상호작용의 PMO 이론 (제6보). 트리메틸렌 디라디칼의 헤테로 원자 유사체내에서의 시그마 방향족성 궤도간 상호작용 (PMO Theory of Orbital Interaction (Part 6). Sigma-Aromatic Orbital Interactions in Heteroatom Analogues of Trimethylene Diradical)

  • 이익춘;김호순;최재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8-103
    • /
    • 1985
  • 트리메틸렌 디라디칼의 헤테로원자 유사체에 관한 두 비결합 궤도함수간의 궤도 상호 작용을 MINDO/3 및 STO-3G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트리메틸렌 디라디칼에서 알려진 것 처럼 상당한 시그마 방향족성 안정성이 있는 구조는 준위 순서가 뒤바뀌어 $n_-$$n_+$보다 낮게 나타났다. 고립전자쌍 궤도(LPO)는 vicinal 트란스 $n^{-{\sigma}^*$ 상호작용과 수소결합으로 인한 전하분산에 의해서 안정화 됨을 알았다. 다른 헤테로 원자계인 N과 O에서 O의 LPO기여 $n_O$는 항상 낮은 준위(${\varepsilon}_l$)에 크게 나타나며 N의 LPO기여 $n_N$은 높은 준위(${\varepsilon}_h$)에 크게 나타난다. 즉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n_{\pm}$(lower) = $n_O{\pm}{\lambda}_Nn_N.\;n_{\pm}(higher)\;=\;n_N{\pm}{\lambda}_On_O$. 여기서 ${\lambda}_i$< 1.0

  • PDF

4H-Pyran-4-one과 그의 황 유도체의 구조에 관한 이론적 연구 (Theoritical Studies on Structure of 4H-Pyran-4-one and Its Sulfur Analogues)

  • 이익춘;박형연;김영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5-499
    • /
    • 1986
  • MNDO and MINDO/3 방법을 사용하여 평면분자인 4H-pyran-4-one(I), 4H-pyran-4-thione(II), 4H-thiapyran-4-one (III), 4H-thiapyran-4-thione(IV)의 구조를 결정하여 기하학적구조와 물리화학적 성질 특히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온 방향적성을 연구하였으며 마이크로파 분광실험의 결과와 잘 일치함을 밝혔다. 방향족성의 크기는 (IV) > (III) > (II) > (I)의 순위이며 이것은 탄소원자보다 전기음성도가 월등하게 큰 산소원자가 전자 비편재화를 방해하는데 기인되는것이었고 또 쌍극자모멘트의 크기 순위는 (II) > (IV) > (I) > (III) 카르보닐기 (C=O 또는 C=S)의 길이순위임을 알았다

  • PDF

전기 화학적으로 리튬이 층간 삽입된 인조흑연의 구조와 열적 특성 분석 (Structural and thermal analysis of electrochemically Li intercalated synthetic graphite)

  • 오원춘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197-202
    • /
    • 2001
  • 고온에서 만들어진 인조흑연을 음극 재료로 사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완전 충전된 상태에서 형성된 리튬이 층간 삽입된 인조흑연 화합물에 대하여 XRD와 DSC 분석 및 $^7Li-NMR$를 사용하여 특성화하였다. X-선 회절 결과로부터, 음극에 리튬이 충전된 상태의 인조 흑연 층간화합물의 경우, 1 stage가 주요한 회절선으로 강하게 나타났음 알 수 있었다. 리튬의 기저 평면 사이에 열적 안정성과 관련하여,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의 변화량으로부터 리튬의 흑연 층간에서의 발산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7Li-NMR$ 스펙트럼 결과로부터, 방향족성의 증가와 삽입된 리튬의 거동으로부터 흡수선의 이동과 흡수밴드의 변이가 수반됨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리튬이 흑연층에 이상적으로 채워짐에 따라 높은 파장 쪽에서 이동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채워지지 않은 전자껍질에 전하이동밀도의 증가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리튬이 탄소층 사이에 채워짐과 관련하여 채워진 리튬의 무질서한 전자 스핀 방향과 불균일한 자기차수로 인하여 흡수밴드가 좁아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Ni(C6H4-nFn)(CO)2 (C6H4=benzyne, n=1-4) 착물의 구조 및 화학결합 (Structure and Bonding of Ni(C6H4-nFn)(CO)2 (C6H4=benzyne, n=1-4) Complexes)

  • Ghiasi, Reza;Hashemian, Saeedeh;Irajee, Oranoos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3-188
    • /
    • 2011
  • Ni$(C_6H_{4-n}F_n)(CO)_2$ ($C_6H_4$=benzyne, n=1-4) 착물의 전자구조 및 성질을 혼성 밀도 함수 B3LYP 이론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Benzyne 고리에 대한 방향족 성질과 벤젠핵과 무관한 화학적이동(NICS)을 분석하였다. 일-, 이- 및 삼-플루오르화 착물 중에서 3-F, 3, 6-F, 및 4-H는 각기 가장 안정한 이성질체였다. 고리 중심 상단의 여러 점에서 계산한 NICS 수치는 이들 착물의 상대 에너지에 의해 구한 값들과 일치하였다. 분자-내-원자(AIM) 분석에서 얻어진 Ni-C 결합거리는 모든 화학종에 대한 고리 임계점의 전자밀도(${\rho}_{rcp}$)와 좋은 상관성을 보였다.

깊이별 토양 휴믹산과 풀빅산의 특성 분석: 양성자교환용량, 원소성분비, 13C NMR 스펙트럼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from Soils in Different Depth: Proton Exchange Capacity, Elemental Composition and 13C NMR Spectrum)

  • 신현상;이창훈;이동석;정근호;이창우
    • 분석과학
    • /
    • 제16권4호
    • /
    • pp.283-2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깊이별 토양시료에서 추출한 휴믹산과 풀빅산의 산성 작용기 및 구조 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토양 깊이별 방사성 핵종 농도 분포 및 이동성에 대한 휴믹물질의 역활 규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휴믹산과 풀빅산 분자의 산성작용기 특성은 pH 적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성자교환용량 (PEC) 및 평균 $pK_a$ 값을 얻었다. 휴믹산과 풀빅산의 구조적 특성은 원소성분비 분석 및 CPMAS $^{13}C$ NM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H 적정 분석 결과, 휴믹산의 PEC 값은 $3.8{\sim}4.8meq\;g^{-1}$의 범위이었다. 풀빅산은 휴믹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5.5{\sim}7.0meq\;g^{-1}$의 PEC 값을 보였다. 깊이별 토양 휴믹산은 표층에서 보다 하층 (> 8 cm)에서 더 높은 PEC 값을 나타냈다. 원소성분비 (H/C) 및 $^{13}C$ NMR 스펙트럼 분석 ($C_{arom}/C_{aliph}$) 결과, 휴믹산이 풀빅산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방향족성이 높고, 카르복실기 탄소 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깊이별 비교의 경우, 휴믹산은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방향족성 및 카르복실 탄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풀빅산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함량 분포를 보였다.

국내 원자력 발전소 주변 토양 휴믹산의 추출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ic Acids Present in the Soils at the Vicinity of Domestic Atomic Power Plants(NPPs))

  • 이창훈;신현상;정근호;조영현;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65-1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의 토양(영광, 울진, 고리, 고성, 월성)에 존재하는 휴믹산(HA)을 추출하여 각 시료의 원소성분 및 분광학적 방법(UV/Vis, IR, CPMAS $^{13}C$ NMR)을 이용한 물질 특성을 조사하였고, Aldrich HA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분자량 크기 분포의 차이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원소분석 결과, 울진 지역의 HA에서 가장 높은 산소 함량비를 보였으며, 고리와 고성지역의 HA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 함량비를 보였다(O/C: 0.51(UJHA) vs. 0.43(KRHA), 0.46(KSHA)). 분자량 크기 분포는 울진과 영광 지역의 HA가 고리와 고성 지역의 HA에 비하여 30,000 daltons이상의 고분자가 더 높게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CPMAS $^{13}C$ NMR, UV/Vis., IR 등의 분광학적 특성분석 결과, 울진과 영광 지역의 HA가 고리, 고성 및 월성 지역의 H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방향족성(aromaticity)과 산소 포함 작용기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울진과 영광지역의 HA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휴믹화(humification) 단계의 물질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금속이온과의 반응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