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향계수

Search Result 1,96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Numerical Experiment for Evaluation of Equivalent Resistance Coefficient according to Transverse Interval of Multi-Piers (다열기둥의 횡방향 간격변화에 따른 상당저항계수 산정 수치실험)

  • Kwon, Kab-Keun;Noh, Min;Choi, Jun-Woo;Yoon, Su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86-591
    • /
    • 2009
  • 권 등(2008)은 수면보다 높은 정방형 다열기둥의 수리실험을 수행하여 바닥마찰과 구조물에 의한 흐름저항을 포함하고 항력상호작용계수가 적용된 Manning계수 형태의 상당저항계수 이론식을 제안하였으나 저항체의 횡방향 간격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리피스의 에너지 손실계수를 적용하여 횡방향 간격에 따른 항력상호작용계수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방형 다열기둥의 다양한 횡방향 간격에 따른 흐름양상을 FLOW-3D를 이용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여 상당저항계수 n을 측정하였으며 수치실험 결과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횡방향 항력상호작용계수식이 적용된 이론식과 비교하였다. 이론식과 수치실험 결과는 잘 일치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본 논문에서 제안한 횡방향 항력상호작용계수식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Lateral Eddy Viscosity for Open-Channel Flows through Emergent Vegetation (정수식생 개수로 흐름에서 횡방향 와점성 계수)

  • Lee, Jin-Hwi;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78
    • /
    • 2012
  • 본 연구는 하천에서 식생에 의한 흐름구조 변화가 오염물질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흐름방향 확산계수를 산정하였다. 정수식생 조건에서 횡방향 수심적분된 와점성계수는 비식생 조건에서의 와점성계수와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유량 횡분배법을 Jordanova and James (2003) 실험에 적용하였다. 제시된 실험조건을 잘 재현하는 와점성계수의 값을 역산하였으며, 이에 관한 산술평균 값을 향후 수리모형의 적용을 위해 정수식생 조건에서의 무차원 와점성계수로 제안하였다. 결정된 무차원 와점성계수를 이용하여 부분식생 개수로 흐름에서 흐름방향 확산계수를 산정하여 오염물질의 이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Truncation and Recovery of Transform Coefficients for Coding Arbitrarily-Shaped Image Segments (임의 형태 영상 영역 부호화를 변환 계수의 삭제 및 복원)

  • 김지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37-24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임의 형태 영상 영역에 대한 새로운 변환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영상 영역을 구성하는 각 열의 화소들을 변환 블록의 상단으로 이동시킨 후, 비어 있는 부분을 각 열의 화소 평균값으로 외삽한다. 그리고 수직 방향 1차원 변환을 실행한 후 외삽된 부분의 변환 계수들을 삭제한다. 수평 방향 1차원 변환은 각 행의 변환 계수들을 변환 블록의 좌측단으로 이동시킨 후, 수직 방향 1차원 변환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복호화를 위해서는 먼저 삭제된 변환계수들을 복원한 후에 수평 방향 1차원 역변환 과정을 수행하며, 역변환 계수들 중 복원된 부분의 계수들을 삭제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의 1차원 역변환 과정은 수직 방향 1차원 역변환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한다. 역변환으로 만들어진 재생 영상은 변환 계수와 함께 전송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원 위치로 이동된다. 모의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의 압축 성능이 낮은 비트율에서 특히 우수함을 보여준다.

  • PDF

Analysis on the Change of Haed Loss Coefficients at Four-Way Square Combining Manhole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변화분석)

  • Jo, Jun Beom;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6-176
    • /
    • 2017
  • 배수시설 내 맨홀에서의 과부하 흐름은 관거시설의 배수 능력을 저하시켜 우수의 역류로 인한 도시 침수피해의 가중 요인이 된다. 특히, 도시 유역 중 하류부의 저지대에서 주로 설치되는 합류 맨홀은 저지대 침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 분석 및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중간맨홀, $90^{\circ}$ 접합맨홀 및 3방향(T형) 합류맨홀 등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4방향 합류맨홀에 관한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만 수행되고 있다. 4방향 합류맨홀은 세 개의 유입관과 한 개의 유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유입관의 유입유량 변화에 따라서 맨홀에서의 손실계수가 다양하게 변화된다. 이와 같은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맨홀 내 흐름특성 분석 및 손실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변화특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 세방향에서 유입되는 각 유입유량의 유입비($Q_{in}/Q_{out}$)가 0.0~1.0으로 변화하는 조건에서 평균 손실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11)의 표준 1호 맨홀 및 연결관경을 1/5로 축소하여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유출유량은 $3{\ell}/sec$이고 각 유입관(주유입관 및 좌 우측면유입관)의 유입유량을 $0{\sim}3{\ell}/sec$까지 유입유량의 비율을 각각 10%씩 변화시키면서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주관거의 유입유량이 줄어들고 측면관거의 유입유량이 늘어나면서 손실계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쪽 측면 관거에서만 유입유량이 들어오는 $90^{\circ}$ 접합맨홀의 형태에서 손실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의 범위는 0.5~1.7으로 산정되었다. 이는 과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는 측면 유입관에서의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 평균 손실계수 값이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김정수(2010) 등이 산정한 $90^{\circ}$ 접합맨홀의 손실계수 및 중간맨홀의 손실계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전체적인 손실계수의 범위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Wang(1988) 등의 유사연구와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 경향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산정된 유입유량 변화 조건이 고려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는 XP-SWMM 등의 부정류 흐름이 고려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이나 관거 배수능력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easurement of High Temperature Anisotropic Elastic Constants of Zr-2.5Nb Pressure Tube Materials by Resonant Ultrasound Spectroscopy (초음파공명분광법에 의한 Zr-2.5Nb 압력관 재료의 고온 이방성 탄성계수 측정)

  • Cheong, Yong-Moo;Kim, Sung-Soo;Kim, Yo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2 no.2
    • /
    • pp.140-148
    • /
    • 2002
  • Anisotropic elastic constants of Zr-2.5Nb pressure tube materials were determined by a high temperature resonant ultrasound spectroscopy (RUS). The resonant frequencies were measured using alumina wave-guides and wide band ultrasonic transducers in a small furnace.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ecimens were fabricated along with the axial, rad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ressure tube. A nine elastic stiffness tensor for orthotropic symmetry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room temperature ${\sim}500^{\circ}C$.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elastic constant tensor, cij gradually decreases. Higher elastic constant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compared to those along the axial or radial direction are similar to the case of Young's modulus or shear modulus. A crossing of shear elastic constants along axial direction and radial direction was observed near $150^{\circ}C$. This fact corresponds to the crossing of c44 and c66 of single crystal zirconium.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ARF) Based on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Basin (유역의 시${\cdot}$공간적 분포특성을 고려한 면적감소계수 산정)

  • Yoon, Yong Nam;Kang, Seong Kyu;Jang, Su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12-1116
    • /
    • 2004
  • 설계홍수량 산정시 인력자료로 이용되는 확률강우량은 동시간 강우에 의한 감소효과가 고려된 면적평균확률강우량이어야 하며, 이는 지점평균확률강우량에 면적감소계수를 곱하여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시${\cdot}$공간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면적감소계수(Areal Reduction Factor, ARF)를 산정하여 특정유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면적감소계수는 대부분 면적고정형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한강유역의 면적감소계수로, 유역 특성 및 강우 특성이 다른 중${\cdot}$소규모하천에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중규모 하천인 삽교천의 면적감소계수를 산정하고,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면적 증분방향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면적 증분방향과 관측소간의 영향을 시${\cdot}$공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역에 적합한 면적감소계수산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Anisotropy of Softwood Structural Lumber Using The Elastic Modulus Determined by The Ultrasonic Nondestructive Method (초음파 비파괴 시험법을 이용한 탄성계수의 산정을 통한 침엽수 구조용재의 이방성에 관한 기초연구)

  • Oh, Sei-Ch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1
    • /
    • pp.20-27
    • /
    • 2017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E_L$, $E_R$, $E_T$ along three principal axis of softwood dimension lumber by nondestructive method. Ultrasonic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defect free wood samples taken by the Japanese Larch, SPF (spruce-pine-fir) and Hem-fir $2{\times}4s$. The ultrasound velocities were measured to calculate young's moduli and it was derived elastic constants for each wood samples using the ultrasound velocities and densities of wood. From the test, $E_L$ was much greater than $E_R$ and $E_T$. $E_R/E_T$ ratios were about 1.3. The high density wood had high young's moduli in three principal axis and the difference in young's moduli between species was greater in transverse direction than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isotropy of the lumber was presented through the calculated elastic moduli and compliances matrix in diagonal term were determined by inverting the stiffness matrix.

Velocity Distribution in Meandering Channel by Roughness Coefficient and Eddy Viscosity (조도계수와 난류점성계수에 따른 사행수로에서의 유속분포)

  • Seo, Il-Won;Song, Chang-Geun;Choi, Hwang-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7.1-9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의 매개변수인 조도계수와 난류점성계수에 따른 사행수로에서의 유속분포를 수치모의하였다. 벽면조도계수와 텐서형 난류점성계수를 변화시켜 8가지 수치모의 조건을 구성하였으며, 만곡부 정점에서의 횡방향 유속분포를 수리실험에 의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벽면조도계수가 커질수록 벽면에서의 유속이 감소하여 실측값과 가까워지지만 벽면 이외의 영역에서는 오히려 유속이 증가하여 실측값보다 커졌다. 난류점성계수가 커질수록 만곡부 내외측의 유속차는 작게 나타났으며 xx와 yy방향으로 가중된 난류점성계수를 가지는 경우가 xy방향으로 가중된 난류점성계수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내외측 유속차가 약간 작게 나타났다.

  • PDF

3-D Numerical Experiment for Estimation of Equivalent Resistance Coefficient due to Multi-piers : Effect of Transverse Intervals (상당저항계수식 산정을 위한 3차원 수치실험 : 횡방향 이격거리의 영향)

  • Kim, Hyeong-Seok;Choi, Jun-Woo;Ko, Kwang-Oh;Yoon, Sung-B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3
    • /
    • pp.216-223
    • /
    • 2009
  • A transverse drag interaction coefficient of the equivalent resistance coefficient formula for square multi-piers higher than water depth and arranged with equal intervals was studied.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energy loss due to drag interaction according to transverse intervals of resistance bodies is essentially identical to the energy loss due to thick orifice according to porosities, the transverse drag interaction coefficient was derived by employing the orifice's energy loss coefficient. The equivalent resistance coefficient formula including the drag interaction coefficient was compared with the numerical experiments using FLOW-3D, the performance of which was verified by Kim et al.(2008)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with the multi-piers. The comparisons showed good agreement and thus, the equivalent resistance coefficient formula, which does not only consider frictional resistance but also consider the multi-piers' drag resistance varied according to the intervals in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was verified.

Numerical Simulation on Drag and Lift Coefficient around Ship Rudde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 유체 역학을 이용한 선박 방향타 주변의 항력 및 양력 계수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

  • Bon-Guk K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4 no.2
    • /
    • pp.97-102
    • /
    • 2023
  •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rudder sinc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naval architecture fields. Although some values such as hydrodynamics forces can be measured easily in the towing tank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flow fields such as pressure distribution, velocity distribution, vortex generation from experi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hydrodynamic coefficients and Reynolds number acting on the rudder were studied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Ansys fluent, one of commercial CFD solvers, solves the Navier-Stokes equations and the k-epsilon turbulence model is selected for the viscous model to solve RANS equations. At first, drag coefficients and lift coefficient for different angle of attack are obtained by using a CFD commercial code for KCS rudder. Secondly, the 2-D lift coefficients and drag coefficients are compared with 3-D coefficients at the same conditions. Thirdly, the effects of Reynolds number on the hydrodynamic forces ar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