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제자원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istribution Analysis of Optimal Equipment Assignment Using a Genetic Algorithm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방제 자원 배치안의 분포도 분석)

  • Kim, Hye-Jin;Kim, Yong-Hy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4
    • /
    • pp.11-16
    • /
    • 2020
  • As a plan for oil spill accidents, research to collect and analyze optimal equipment assignments is essential. However, studies that have diversified and analyzed the optimal equipment assignments for responding to oil spill accidents have not been preceded. In response to the need for analyzing optimal equipment assignments study, we devised a genetic algorithm for optimal equipment assignments. The designed genetic algorithm yielded 10,000 optimal equipment assignments. We clustered using the k-means algorithm. As a result, the two clusters of Yeosu, Daesan, and Ulsan, which are expected to be the largest spills, were clearly identified. We also projected 16-dimensional data in two dimensions via Sammon's mapping. The proj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istribution. We confirmed that results of the simulation were better than those of optimal equipment assignments included in the cluster.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an approximate model with excellent performance based on this study.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oil spill response (해양오염방제지원시스템 개발)

  • Lee, Moon-Jin;Lee, Han-Jin;Park, Jae-Min;Kim, Du-H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93-102
    • /
    • 2006
  • 효율적인 방제전략 수립 지원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환경민감정보 기반 실시간 유출유 확산예측 시스템과 피해위험도 예측시스템을 연계한 해양오염 방제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 유출유 확산예측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바람과 실시간 해수유동을 기반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계산하고, 유출유 특성에 따라 해상 유출유의 풍화작용을 모델링하여 유출유의 잔류량 및 확산분포를 계산한다. 유출유 확산 예측의 실시간 바람은 국립환경연구원의 실시간 기상모델 결과를 FTP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활용하며, 실시간 해수유동으로서 조류는 수치모델결과와 검조소 관측결과의 결합을 통해 실시간 조석을 예측하는 CHARRY (Current by Harmonic Response to the Reference Yardstick)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실시간 취송류는 바람과 취송류간의 상관관계와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예측한다. 실시간 해수유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풍화되는 유출유의 풍화작용은 유출유 특성에 따라 결정된 감소율을 적용하여 모델링한다. 본 시스템은 이와 같은 정보를 ESI(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및 방제자원 정보와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방제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ubject Vessel for Development of Oil Recovery Equipment for Small Vessel (소형선박용 기름회수장비 개발을 위한 대상선박 선정에 관한 연구)

  • Lim, Chae-Hyun;Han, Won-He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6
    • /
    • pp.604-609
    • /
    • 2012
  • Our country has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with clean up operation of massive marine oil pollution due to the lack of oil spill response equipments. And there was the case that a fishing vessel performed clean up operation had not received any proper payments because of its inefficient oil spill response oper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fficient oil recovery equipment for small vessel and adopt it as a part of oil pollution prevention policy. These efforts could prepare oil spill response equipment in advance and use a fishing vessel registered in the affected area by massive marine oil pollu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nd adopts a suitable subject vessels as a first step for developing oil recovery system fitting with small vessels for national use.

Methods for Pest Control of Tropical Plants in the Greenhouse: Application of Natural and Auxiliary Plants Mix (온실 내 천적을 통한 해충 관리연구 - Acalypha hispida 등 8종의 관상식물을 중심으로)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9-49
    • /
    • 2019
  • 국립수목원은 열대유용식물의 BT산업 원천소재 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열대자원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열대 및 아열대 전시원을 관리하고 있다. 온실의 특성상 일반 재배환경과는 다르게 여러 종류의 식물의 혼합 식재되어 있는 특성이 있어서 농업환경과 달리 해충의 급격한 돌발에 의한 온실 전체적인 피해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에 안정된 환경으로 인해서 해충의 취약한 몇몇 수목의 경우 해충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본 실험은 여러 종류의 식물이 혼재되어 있는 수목 온실 내에서 생물적 방제를 이용하여 주요 해충류인 진딧물류 및 가루 깍지벌레, 잎응애류 방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되었다. 진딧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열대식물 5종(Acalypha hispida, Justicia gendarussa, Hamelia patens, Ficus petersii, Hibiscus rosa-sinensis)을 중심으로 천적 방사 및 Banker plant 설치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일인 2015년 3월 10일, Tropical 1에 진딧물류의 발생이 많이 확인되어 포식성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했다. Tropical 2는 2015년 3월 17일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선발된 Banker plant를 적용하여 방제 되었다. 철모깍지벌레가 발견된 열대식물 3종(Sanchezia parvibracteata, Brillantaisia lamium, Pseuderanthemum atropurpureum)을 중심으로 적용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 애홍점박이 무당벌레와 깍지무당벌레를 선별했다. 천적을 대상으로 철모깍지벌레에 대한 포식능력을 조사했으며 애홍점박이 무당벌레가 어리줄풀잠자리 보다 2.8배, 깍지무당벌레보다 2.9배 포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잎응애류가 발견된 열대식물 2종(Acalypha wilkesiana, Erythrina caffra)은 천적으로 사막이리응애와 칠레이리응애를 적용하였다. 괭이밥응애 성충과 알의 포식력을 검증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괭이밥, 괭이밥응애, 사막이리응애를 효과적으로 조합한 응애류 방제를 위한 새로운 Banker plant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열대온실의 열대식물 관리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방제의 관리 자료로 이용되어 새로이 온실을 조성하는 경우 식재기반조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추후 열대식물의 자원 식물로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weeping Arm System for Oil Recovery by Small Vessel (소형 선박을 이용한 기름방제용 스위핑 암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Han, Won-He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2
    • /
    • pp.219-224
    • /
    • 2013
  • In the case of occurring marine oil pollution,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hat to prepare all the necessary response resources in advance and to respond to incidents, but there are limits in reality. Therefore, may be an important alternative ways to use a fishing vessel registered in the affected area by massive marine oil pollution efficiently.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it is can be found that temporary response program by local fishing vessels(VOO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operated. This study was examined for sweeping arm system suitable for domestic small fishing vessels. The selected small vessel was as the model of Coastal gill-net and compound fishing vessel with classes of 2.5~3.5tons, length 8~9m, breath 2.5~2.8m, horsepower 200~250 HP and FRP materials. The developed equipment was designed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model ship and portabl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field practicality, the weight of each part was composed less than 10kg for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