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제대응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해상의 기름유출과 방제 대응

  • Lee, Sang-Ho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5
    • /
    • pp.4-9
    • /
    • 2008
  • 선박의 기름유출 사고 유형과 해상 유출유의 변화과정, 방제 대응체계, 유출된 기름의 회수방법 및 초동 방제대응 절차에 관한 개요를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HNS 사고 대비/대응 전용 방제자원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 Kim, Tae-Hyeong;Yun, Jong-Hwi;Ha, Min-Jae;Jeong, Min-Gi;Lee, Mun-Jin;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5-5
    • /
    • 2017
  • 중국의 텐진항 시안화나트륨 폭발과 같이 적절치 않은 대응은 추가 폭발 및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HNS물질은 600여가지 이상으로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물질마다의 특성이 제각각이다. HNS 물질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지 않고 대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텐진항의 사고와 같은 대형재난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NS 물질을 IMDG 코드의 기준에 따라 물질의 특성을 구분하고, 종류별 대응방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대응방법을 토대로 물질 유형별 필요/필수 방제자원을 Matrix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Response System of Marine Pollution Accident by Chemicals in United States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미국의 방제체제 연구)

  • Choi, Jong-Wook;Lee, Seung-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61-67
    • /
    • 2007
  • With an entering into force of OPRC-HNS started in June 14th 2007, establishment of response system in a nationwide scale to take care of accidents is required to respond rapidly and effectively. This necessities drove us to analyze national contingency plan for chemicals including national response system against accidents, which is in operation in the U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well described as an integrated incident command system with a cooperation of responsibilities facilities, manpower, and technical support. In addition, state anψor local authorities tend to have responsibilities on management of disaster with its response activities. Polluters are also charged to pay expenses 3 times expensive provided state or local authorities are conducted. In general, response activities are conducted by private sectors. However, the government will take action with Superfund if the response capacity is over than the polluters can. However, safety are regarded as a primary factor to be considered in the response activities, and try not to recover any pollutants. Personals belonging to USCG and EPA are required to complete specialized courses to promαe professional skills, and are also welcomed to participate in "certification program"

  • PDF

An study on guide to oil spill response in snow and ice condition in seas (유빙유입에 따른 해양오염사고 대응방안 마련 연구)

  • Lim, Ji Young;Lee, Seung Hwan;Hyun, Chung Guk;Park, Chan 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16-16
    • /
    • 2018
  • 2017년 겨울, 기록적인 한파로 인해 바다가 얼면서 인천 앞바다로 유빙이 유입되었다. 2013년 해상에서 유빙이 발견된 이후 약 5년만에 다시 유빙이 등장한 것이다. 중부청 소속 항공단 순찰결과에 따르면, 2018년 1월 12일 인천대교 인근 해상에서 최초로 발견된 이후 강화 연안, 영종도 북단 등 해상에서 광범위하고 불규칙한 형태로 유빙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빙의 문제점은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운항을 저해하고 경비함정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며 기름 유출 시, 유출유의 거동 특성이 달라져 일반적인 방제방법의 적용이 곤란한 점이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의 해양오염사고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저온 및 유빙 유입 해상에서 유출유의 거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구분인자를 극한의 추위(Extreme Cold), 유빙(Pack Ice), 정착빙(Fast Ice) 3가지로 분류하여 기름의 성상변화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 유출된 기름의 효율적 방제를 크게 3가지로 분류(기계적 봉쇄 및 회수, 화학적 분산제의 사용, 현장소각)하였다. 일반적인 방제장비를 저온 및 얼음분포 해상에서 사용 시 슬러시화 된 얼음으로 인해 유출유 회수가 어렵고, 동결온도에서 장비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이미 북유럽 국가에서는 극한의 추위와 얼음분포 해상에 특화된 방제장비를 도입하여 해양오염대비 대응을 하고 있다. 2003년 3월 발틱해에서 불법적으로 유출한 선저폐수를 특화 장비는 brush bucket 유회수기 이용 방제조치한 사례가 있으며, 2006년 5월 같은 장소에서 선박 침몰로 인한 기름 유출이 발생했을때도 brush bucket 유회수기 이용 방제조치를 하였다. 국내에도 이상 기후로 인해 기록적인 한파가 지속되면서 북극에서나 볼 법한 유빙들이 발견되고, 해양오염사고는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양오염방제의 임무를 맡고 있는 국가기관으로써 특수한 환경까지도 고려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해양오염이 재난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리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변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겨울철 유빙 유입은 점점 더 많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나 방제경험이 부족하므로 일찌감치 북극항로 개발로 앞선 방제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북극이사회를 벤치마킹하여 관할 해역 특성에 맞는 대응방안을 고찰해 본다.

  • PDF

Marine Pollution Response for Oil-Spill Accident of a Sunken Vessel (침몰선의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해양오염사고 대응)

  • Yoon, Joo-Yong;Kim, Yong-Kwan;Park, Jang-Bun;Tho, Jae-M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77-82
    • /
    • 2007
  • 선박의 해난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시, 해양경찰은 민관 방제세력의 동원 및 방제조치, 방제지원시스템을 운용 등을 통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인 방제전략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사고로 인한 해양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7월 전북 군산시 새만금방조제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700톤급 준설선 GA-P1 호에 대한 선체인양 및 해양오염사고 처리 과정에서 방제지원시스템을 이용한 대응 사례이다.

  • PDF

HNS 선박 승무원 Risk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Gyeong-Ui;Yun, Jong-Hwi;Jeong, Min-Gi;Lee, Mun-Jin;Gang, Won-Su;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
    • /
    • 2018
  • 위험 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과 유출에 및 그 대응 기술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HNS 선박 승무원 안전 관리 연구는 미흡한 면이 있다. 승무원은 HNS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의 초등 대응 책임자로서 재해 감소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무원 재해를 분류 및 구조화하고 Risk 평가하였다. 현 HNS 선박의 방제자원을 분석하여 승무원 Risk를 기반으로 사고 초기 대비 대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NS 선박의 방제자원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위험도에 기반한 HNS 방제자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Eun-Bang;Yun, Jong-Hwui;Chung, Sang-T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10
    • /
    • pp.857-864
    • /
    • 2012
  • Reviewing the statistics of harbor shipm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and the past spill accidents of HNS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risks of transportation of HNS through the major harbors in Korea. Ulsan, Yeosu, Daesan port are relatively evaluated high risk in fire, health and environment disaster.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preparedness to HNS accidents, the supplement of expertise resource to respond the vulnerability of the explosion, the fire and the physiological hazard, is required. Based on this risk assessment and review of the advanced case of Japan in building up HNS response system, a resource model at a national level was proposed which differentiates the sea area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resources to respond effectively to HNS accidents in the future.

방제포커스 - 농작물 바이러스병의 피해 및 방제 대책

  • Kim, Jeong-Su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9
    • /
    • pp.26-29
    • /
    • 2010
  • 작물에 발생하는 각각 바이러스의 증상과 예방대책을 숙지하고, 건전 종자와 건전 묘 사용, 청결 재배, 감염 식물체 조기제거, 신속한 진단요청과 대응 등을 성실히 이행하면 바이러스병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n Response System in US for Chemicals Driven Marine Pollution Accidents and Korean Response Policy Plan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미국의 방제체제 분석과 국내의 방제정책 방안)

  • Choi, Jong-Wook;Lee, Se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3
    • /
    • pp.205-212
    • /
    • 2009
  • With an entry into force of OPRC-HNS on June 14th 2007, response system against any large scale accidents related to HNS is required to respond rapidly and effectively in a national scale, US national response system and national contingency plan for any chemicals in operation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system and response system for any HNS driven accidents in the U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US system were well described as an unified information window and an integrated incident command system supported by response facilities, manpower and technical support from other response organizations through good cooperation. In general, response activities are conducted by private sectors, however, the government will take over response activities in case large scale accidents occur in the Us. Expected expenses for response activities are covered by a type of Superfund in the Us. Several applicable ways are proposed to enable NGO to participate in and reorganize response system in ROK, and are feasible in collaboration with other response organizations and private sectors in the aspects of equipment, technology and manpower, Based upon the above activities, it is desirable to reorganize domestic rules and/or regulations related to response measures in RO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