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재기상정보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신(新)기술(빅데이터) 등장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및 법(규제) 연구

  • Lee, Gyu-Cheol;Won, Hui-S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1
    • /
    • pp.48-54
    • /
    • 2012
  • 정보통신 기술은 아날로그 산업에서 디지털 산업을 거쳐 현재는 스마트 산업으로 이어지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산업 사회생활에서 문서로 직접 주고받던 환경에서 메일, 전자문서 교환 등으로 바뀌면서 편리성과 비용절감을 통해 산업 사회생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 기술은 대용량 정보를 분석하여 기상예측, 신약개발, 유전자 분석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정보 안에는 개인 식별을 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빅데이터 기술을 바로 적용하기에는 개인정보보호법이 정하는 개인정보보호 이용에 관한 법률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날씨 예측, 재난 방재 서비스 등을 통해 국민의 삶을 제고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많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를 타인이 악의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개인에게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의 노출은 과거와 달리 삭제되거나 잊혀지지 않고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빅데이터 등장에 따른 시장구조 변화 및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법리적 분석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기술이 올바르게 시장에 정착할 수 있은 법(규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ind Hazard Maps (강풍위해지도 개발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Kyu;Lee, Sung-Su;Ha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1-8
    • /
    • 2011
  • In this study, a wind hazard map over Korea peninsula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i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surface roughness model, the topographical effect model and the homogeneous wind model. The surface roughness model is asses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on the wind field near ground. The topographical effect model is assessed to quantify the effect of the speed-up caused by topology, which is calculated by adopting the topographical effect factor in Korea building code (2005). The homogeneous wind map is created either by a frequency analysis method for meteorological data or a typhoon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wind hazard map can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insurance premium as well as the assessment of loss and damage.

Analysis of Peak Flow Changes Using the Measured Data (실측자료를 이용한 하천의 수위변화 분석 - 강원도를 사례로 -)

  • 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1-13
    • /
    • 2011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water level using the measured data. During the rainfall event from September 9 to September 12, 2010, the rainfall and water level data were measured from automatic weather systems and automatic water level measurement systems which have been installed throughout Gangwon provi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peak flow change was different by basin and tributar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build a plan for preventing disasters and rainfall-runoff models for the river basins in Gangwon province.

A Study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o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for Solar Maximum (태양극대기 대비 위성통신망에 관한 재난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ongwo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3
    • /
    • pp.78-85
    • /
    • 2012
  • This paper takes precautions proposals against prospective disasters from the space weather maximum in 2013. The space weather maximum could wreak havoc in this world. A geomagnetic space storm sparked by a solar eruption like the one that flared toward earth is bound to strike again and could wreak havoc across the modern world. Despite of the fact that not only researches by colleges and institutions current researches have been focusing on warning systems of space communication and the earth network systems, but also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are not situated for the space weather blas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the damage reduces methods implementation on the ultimate space weather communication systems by above lists proposed type analysis. In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unicatio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deals with the smart IT converged GIS analysis on the flare, solar proton event, geomagnetic storm to the effects of the geomagneticsphere, ionosphere and troposphere from solar maximum. This research can provide affective methods for the saving lives and property protections that implementation of the disaster predi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s adapts smart IT systems and converged high tech information systems using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s of the GIS methodology.

Estimation of the streamflow during dry seas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갈수기 수문량 산정)

  • Jung, Sung Ho;Cho, Hyo Seob;Kim, Jeong Yup;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7-3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LSTM 모형을 이용하여 갈수예보를 위한 월 단위 전망모형개발의 대상지점으로 이수 및 치수의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한강대교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유량예보를 위하여 한강수계 19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강수량, 월평균기온 및 3개 댐(소양,횡성,충주)의 월방류량을 사용하여 한강대교의 월 유량을 예측하였다. 1996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는 모형의 학습, 2017년 자료는 모형의 검증에 활용하였으며 가장 최근 건설된 횡성댐 방류량의 경우 1996년~2000년의 자료가 없으므로 2001년~2005년의 자료를 반복하여 학습에 활용하였다. 모형의 예측결과는 신경망 학습 시 한강대교 월유량자료를 포함한 결과와 미포함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모의결과의 재현성 분석을 위하여 월별 예측값과 실측값의 비율을 산정하였으며 1월부터 12월까지 12개 값을 평균하여 평균예측률을 산정하고 이를 홍수기(6월~10월) 및 비홍수기(1월~5월, 11월~12월)를 구분하였다. 딥러닝 학습 시 월유량을 포함한 경우의 예측결과가 학습 시 월유량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신경망을 실제 갈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측 기상정보인 월강우량, 월평균기온, 댐방류량만을 활용하여야 하는데 학습 시월유량 미포함 결과는 예측률이 매우 낮았으며, 신경망의 학습횟수가 늘어날 경우 학습자료 과적합(over-fitting)되어 정확도가 보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기존의 현재시간 t까지의 입력자료로 학습 후 익월(t+1)의 월유량을 예측하는 (t $\rightarrow$ t+1) 방법에서 현재시점 (t-n ~ t)까지의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당월(t)의 월유량을 산정하는 (t$\rightarrow$t) 방법으로 재학습 후 모형검증을 수행한 결과 전술한 익월(t+1) 유량을 예측한 결과보다 재현성이 훨씬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며평균예측률이 0.99로 홍수기 및 비홍수기에서도 뛰어난 정확성을 보이고 있다.

  • PDF

Usage of Technical Reference Model and Standard Profile for Interoperability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국가안전관리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 적용)

  • Hwang, Eun-Ha;Hwang, Ch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03-706
    • /
    • 2005
  • 기상이변과 사회구조의 복잡화에 따라 재난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안전관련 법령의 정비, 소방방재청의 신설 등 “국민이 편안한 안전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재난관련 각종 정책, 조직 및 정보시스템을 정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범국가 차원에서 안전관리 관련 기관간 업무 및 유기적 연계와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하여 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 구축시 이식성과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을 설계한다.

  • PDF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Landcover Classific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인공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한강 유역 토지 피복의 공간 분포 산정)

  • Choi, Minha;Han, Seungj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0-170
    • /
    • 2011
  • 토지피복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태 및 사용 용도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로 농업, 환경, 재해,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식생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증산과 토양에서 일어나는 증발을 증발산이라 통칭하며, 이의 정확한 산정은 수리, 수문학적 유역 분석에 중요하다. 정확한 증발산의 산정을 위해서는 기압, 온도 등 기상 인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토지피복 특성 역시 증발산에 큰 영향을 주므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취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 TM(Thematic Mapper) 영상을 기반으로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여 ISODATA Training과 Masking기법을 사용하여 한강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토지의 분류는 수역, 시가, 나지, 습지, 초지, 산림, 농지의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대다수를 이루는 수역, 시가, 산림, 농지에 대한 높은 정확도를 갖는 토지피복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군사경계 외부의 지역도 포함된 결과이다. 단, 나지와 습지, 초지 부분의 정확도는 비교적 떨어지나, 우리나라의 토지특성상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신뢰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결과와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토지피복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군사지역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을 파악하여 정확한 증발산 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지역 호우피해 예측함수개발)

  • Kim, Jongsung;Choi, Changhyun;Oh, Seunghyun;Han, Daeg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03-204
    • /
    • 2016
  • 최근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으로 인해 재산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는 재난이 일어난 후 사후복구차원에서 피해액을 집계하거나 복구비를 추정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피해액을 추정하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체 자연재난 피해액의 약 95%를 차지하는 호우피해액을 예측하기 위한 피해함수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으로는 경기도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1994년부터 2015년까지의 수문기상자료와 시군구별 재해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위한 함수개발을 위한 자료로 재구축하였다. 또한 시간별 최대 강우량과 피해액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지속시간별(1~24시간) 최대강우 자료와 재해기간별 선행강우(1~5일)자료, 그리고 재해기간의 총강우량 자료가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를 독립변수로 활용하고, 재해기간별 피해액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지역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재해예방을 위한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사전대비 차원의 재난관리를 통해 정책결정권자들의 의사결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Effect of Geographic Factors and Rainfall on Erosion and Deposition (지형학적 인자 및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영향 평가)

  • Yu, Wan-Sik;Lee, Gi-Ha;Jung, Kwan-S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03-112
    • /
    • 2011
  •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imulated from distributed rainfall-sediment-runoff model applications. We selected area, overland flow length, local slope as catchmen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mong many important geographic factors and also used the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s a representative hydro-climatic factor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actors on erosion and deposition. The study catchment was divided based on the Strahler's stream order method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and erosion or deposition. Both erosion and deposition increased linearly as the catchment area became larger. Erosion occurred widely throughout the catchment, whereas deposition was observed at the grid-cells near the channel network with short overland flow lengths and mild slop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results between grid-based accumulated rainfall and soil erosion or deposition showed that erosion increased gradually as rainfall amount increased, whereas deposition responded irregularly to variations in rainfall. Within the context of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pos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eographic factors used in this study while eros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rainfall.

Cause Analysis of 2006 Concentrated Heavy Rain Which Occurred in InJe-Gun (2006년 인제군 집중호우의 원인 분석)

  • 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4
    • /
    • pp.396-408
    • /
    • 2007
  • Natural disasters occurred in Inje and Pyeongchang in 2006 show that unusual changes of weather, which Korean Peninsula has not experienced before, are becoming quite common phenomenon nowadays. In future we have to proceed in the direction of preventing such disasters so as to minimize the damage, by analyzing character and cause of various disasters whenever necessary, performing modeling in simulated real world, and applying the results in disaster prevention policy next year. Applying GIS in this process, the best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can be offered. This study has also progressed proceeding from such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ocal concentrated heavy rain, caused by the primary topographical factor in the Sulak mountain region, was the main cause of flood disaster occurred in Inje-Gun area in July of 2006. Local concentrated heavy rain is greatly affected by topography. Namely, if there is a mountainous region behind, the area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ain clouds motion will have high possibility of local concentrated heavy 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