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위센서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고정밀 위치 측정이 가능한 카오스 로봇

  • Bae 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3-228
    • /
    • 2006
  • 카오스 로봇의 하드웨어 구현에서 로봇의 자체 또는 바퀴가 정확하기 자기 위치를 인식하고 지지한 방향과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위치 측정이 가능한 카오스로봇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존의 마그네틱 자이로 센서가 가지고있는 문제점인 주변의 자성의 영향으로 정확한 자기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새로운 각 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자기 위치 보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방향을 움직일 수 있는 카오스 로봇을 설계하였다.

  • PDF

기뢰전 함정용 전투체계(2)

  • Kim, Yeong-Gi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1 s.177
    • /
    • pp.32-37
    • /
    • 1993
  • 기뢰전 함정(MCMV)의 전투체계는 지휘통제체계를 중심으로 센서, 항해체계, 기뢰제거 시스템을 분산식 구성개념으로 통합하여 모든 하위체계 자료와 지휘통제용 다기능콘솔 사이의 자료를 고속의 데이터버슬 통해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입니다 특히, 원격조종 수중운반체에 센서와 기뢰제거 장치를 탑재하여 전방에 전개시켜 기뢰전 함정 자체의 안전성을 높여줌은 물론, 수중 또는 해저에 부설된 기뢰의 탐지와 식별 무력화 성능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 PDF

새로운 표적에 초점을 맞추는 무장 헬기

  • Yu, Byeong-D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94
    • /
    • pp.64-71
    • /
    • 2003
  • Rooivalk에 채택된 항전장착물은 프랑스의 Sextant가 주 개발자이며 3개의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갖는 NVG 호환 G-Cockpit도 포함된다. Thales는 Topowl HMSD도 공급하는데 이것은 Denel사 Cumulus 공장에서 개발된 센서 터렛과 Pilkington Optronics와 공동개발한 Noctua PNVS와 연계된다. Rooivalk의 TDATS는 Topowl과 함께 작동하는 Cumulus사 Argos-780 EO 센서 터렛을 사용하고 있고 열상장비, TV카메라, 레이저 거리측정기, 레이저 표식기 그리고 자동추적기로 구성되어 있다.

  • PDF

단거리 공대공 유도무기의 발전추세(2)

  • Yun, Han-S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217
    • /
    • pp.78-87
    • /
    • 1997
  • 유도무기는 표적을 인지하는 탐색기 성능과 유도 조종기술에 따라 정확도가 결정되며, 탐색기의 종류는 적외선(IR), 레이다 전자파(RF)를 사용하는 레이다파, 현재 실용화의 첫발을 내딛은 밀리미터파 탐색기가 있다. 모든 탐색기의 생명은 센서라고해도 과언이 아니며 센서의 성능에 따라 미사일의 정확도가 결정된다

  • PDF

지뢰탐지 센서의 기술동향

  • Lee, Jun-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93
    • /
    • pp.32-37
    • /
    • 2003
  • 지뢰 제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뢰의 탐지인데,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장비들의 성능에는 나름대로 장.단점들이 있어 주로 미구기과 유럽에서 새로운 지뢰의 센서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대단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캄보디아나 아프칸 등 전쟁 또는 내전의 후유증으로 제거되지 않고 방치된 무수히 많은 지뢰들에 의해 민간인들의 피해가 계속되자 UN을 중심으로 한 소위 '인도적 지뢰제거'(Humanitarian Demining)사업이 펼쳐지게 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 분야의 연구개발 예산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