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염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of the Flame-Resistant Paint (방염도료의 방염성능 및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wang-Jin;Lee, Sung-Eun;Oh, Kyu-Hy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5
    • /
    • pp.78-83
    • /
    • 2009
  • 17 kinds of fire resistant paint which are currently used were painted on the MDF, to find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rincipal ingredient and characteristics of fire resistant paint. 45 degree combustion test and smoke density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45 degree combustion test, acrylic resin type fire resistant paint showed the most excellent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water soluble fire resistant paint showed bette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compare to the solvent soluble paints. Also gloss paint showed bette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han the flat paint. Based on the smoke density test, the smoke generation of fire resistant treated specimen of acrylic resin type was least. And the water soluble fire resistant paint generate little smoke than solvent soluble fire resistant paint.

Consume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Flame Retardant Apparel (방염가공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도와 기호도에 관하여)

  • Darden Leatha;Kim Yo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6 no.2
    • /
    • pp.25-32
    • /
    • 1982
  • 본 연구의 목적은 1. 방염 가공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를 측정하고 2. 방염 관계 법규를 확대하여 12세 이상의 어린이나 기타 연령층에서도 방염 가공된 의류를 원하는지를 알아보고 3. 인산염계 방염 가공제 사용 금지 조치가 방염 가공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Alabama, Tuscaloosa 시에 있는 국민학교와 유아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학부모 230명에게 1979년 9월 26일 질문지를 배부하여 그 후 3일부터 10일까지 질문지를 회수여하 83장의 유효한 자료를 얻었다. 83명의 학부모를 Group 1: 유아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부모 45명 Group 2: 국민학교에 다니는 어린이의 부모 38명으로 나누고, 두 Group의 각 목적에 대한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attell,s Profile Analysis를 하였다. 목적 1과 2에 대하여서는 Group 간의 유의도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목적3에 대하여서는 Group 간의 유의도가 발견되었다. 목적 3의 각 항목에 대하여 t-tests를 행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들은 1. 방염 가공된 잠옷이 시장에서 널리 팔리고 있음은 알고 있으나 방염가공에 관련된 관계법규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2. 방염 가공에 관련된 법규를 확대하여 어린이나 노인층의 의복이 방염 가공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3. 시장에서 방염 가공된 의류와 방염 가공되지 않은 의류가 함께 진열되어서 선택할 수 있는 계기를 원하고 있으며, 4. 유아의 부모들이 국민학생의 부모보다 방염 가공의 해독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인산염계 방염 가공제의 독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없었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 of performance of fire retardant flame retardant treatment of plywood (목재합판의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평가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Cha, Jeong-Min;Kim, In-Beom;Hyun,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8-392
    • /
    • 2011
  • 화재 발생 시 연소확대 방지 및 이를 지연시켜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고자 실시하는 방염처리의 성능평가는 연소시험방법을 통해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면적, 탄화길이가 일정기준에 적합하여야만 방염성능을 부여받게 되며 목재나 MDF와 같은 합판은 방염도료나 방염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현장방염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방염 접착필름, 방염 필름, 방염 도료 등을 MDF 합판에 적용하여 방염처리 하였을 때의 연소특성 및 방염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A Study on how to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Flame Retardant for Wood Treated with Painting (단청처리 목재용 방염제의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 Cha, Jeong-Min;Hyun, Seong-Ho;Kim, I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98-5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방염제가 적용되는 방염대상물에 대한 검정기술기준과 목조문화재에 적용되는 방염제의 검정기준의 차이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으며 이를 통해 단청 등이 도색되어 있는 대부분의 목조문화재에 적용되는 방염제의 성능과 방염 처리되어진 일반 목재의 방염성능평가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목조문화재용 방염제 검정기준 내의 방염성 평가는 소방방재청 고시 제 2009-31호의 "방염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목재를 비교대상으로 할 경우 방염성능 기준 및 측정방법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였으며 방염제의 물성 등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방법 또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시편에 대한 규정에 있어서 목조문화재용 시험편의 경우 일정 두께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시험하는 시편의 두께에 따라 방염성능 평가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질산칼륨을 첨가한 인산암모늄 방염제의 연소특성

  • Gwon, Gyeong-Ok;Kim, 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58-159
    • /
    • 2013
  • 방염제인 인산암모늄에 질산칼륨을 첨가하여 질산칼륨이 인산암모늄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DSC와 실체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활성화에너지는 키싱거방법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방염성능 실험으로서 셀룰로스를 연료로 사용하였다. 질산칼륨이 일정량 첨가된 방염제를 사용하는 경우 인산암모늄의 활성화에너지를 높이고 탄화면적을 감소시켜 연소확대를 억제하였다. 방염제인 질산칼륨이 첨가된 인산염을 방염제로 사용하는 경우 질산칼륨의 강한 산화력으로 화염발생 온도를 낮추고 탄화형성을 억제하여 화재진행 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량 이하의 질산칼륨이 포함된 방염제의 처리는 연소속도를 높이고 탄화물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in the Reduced-Scale Fire by Flame-Resistant Treated Plywood (유사 화재에 대한 방염처리 합판의 착화 지연효과 연구)

  • Lee, Seung-Hyun;Kim, Hwang-Jin;Lee, Sung-Eun;Oh, Kyu-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80-187
    • /
    • 2011
  • 본 논문은 다중이용업소와 목조건축물에 자주 사용되는 미송합판에 방염처리를 하여 유사 화재를 구현하고, 그 화염 세기에 따른 방염의 실효성을 실험한 것이다. 방염처리를 하면 화재 시 가연물의 초기착화시간을 지연시켜 화재성장속도를 늦출 수 있고, 원활한 소화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어느 정도 화재가 진행되어 화염이 거세지면,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기준을 충족하여도 그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45도 연소시험 시 사용되는 65mm의 불꽃보다 큰 화염상태(초기착화 이후의 상태)에서 방염처리한 내장재(미송합판)의 방염성능이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입증하고 그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실험에서는 화재의 규모(화염의 세기)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방염제로 방염 처리한 미송합판의 착화 시 화염온도, 복사열 유속 그리고 착화지연시간을 파악하였으며, 45도 연소시험과 관련하여 방염성능을 분석하였다. 45도 연소시험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방염 처리 합판은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유사 화재로 직경 10cm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에서는 방염 처리한 합판의 착화지연시간이 평균적으로 대규모 유사 화재실험보다 길어 어느 정도는 방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규모 유사 화재로 1단위 유류화재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의 경우 열방출율이 커 형성된 탄화막이 무분별하게 박리되고 발화가 일어나 착화지연시간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 PDF

Investigation about Flame-Retardant Performance Valuation Method of Wood treated by Flame-Retardant (방염처리된 목재의 방염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 Cha, Jeong-Min;Kim, In-Beom;Hyun,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71-274
    • /
    • 2010
  •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내장재로 활용되어지는 목재의 경우 방염액 또는 방염필름 등을 활용한 직접적인 방염처리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방염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길이, 탄화면적 등의 수치가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목재를 활용한 합판에 적용되어지는 방염처리방법에 따라 성능기준의 모호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방염성능의 적합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에 대해 실험적으로 고찰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Ways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Process (현장방염처리제도의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ung-Hyun;Baek, Eun-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2
    • /
    • pp.95-100
    • /
    • 2011
  •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rrational system related to flame retardant coating performance test of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articles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flame retardant coating through rational flame retardant coating test. To achieve th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interior fields and the trends of recent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based on the results of flame retardant coating performance test of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articles which the first-line fire stations have recently conducted. And I attempted to present the methods of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performance test suitable to current realities and the ways of improvement for securing reliability by analyzing the problems with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articles and the registration system of flame retardant coating business.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MDF Wood According to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MDF 목재의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

  • Cha, Jung-Min;Hyun, Seong-Ho;Kim, In-Beom;Yoon, Myung-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6
    • /
    • pp.146-155
    • /
    • 2011
  • In the study, 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for the specimen of MDF wood to which field flame retardant treatment (post processing flame retardant) is applied, which is coated with flame retardant film of 5 companies, locally distributed, and MDF wood (nontreated, flame retardant film non-coated) to which aqueous or oil-based fire-retardant paint is applied. As a result of combustion test of MDF wood which was coated with flame retardant film of 5 companies, 2 products showed suitable values in 4 criteria, but other 3 products showed 10~40 % disqualification rate. In regard of characteristics of fire-retardant paint, oil-based fire-retardant paint is better than aqueous fire-retardant paint in flame retardant performance criteria, but MDF wood to which oilbase fire-retardant paint was applied was shown to have higher toxicity index grade than MDF wood to which aqueous fire-retardant paint was applied rel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