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언(方言)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어 리듬의 음성학적 연구

  • 이현복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호
    • /
    • pp.31-48
    • /
    • 1982
  • 음악에서 뿐 아니라, 언어에도 리듬이 있고 그 유형은 말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심지어는 한 언어의 방언간에도 리듬에 차이가 나다. 가령 표준말과 경상도 말은 낱낱의 소리에서 뿐 아니라, 리듬에서도 큰 차이를 들어낸다. 이 글에서 필자는 표준말의 리듬 구조를 분석 기술한다. 한국어 표준말씨의 리듬은 '을 단위로 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말토막은 하나의 강세음절과 전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음절로 이루어지는데, 강세 음절은 강하고 길게 발음되고 약음절은 말토막의 끝에 오는 음절을 제외하고는 짧고 약하게 난다. 강세 음절을 리듬 단위의 핵이라 하고 핵의 앞에 오는 약음절을 머리, 핵의 뒤에 오는 약음절을 꼬리라고 이름하면, 한국어 리듬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말토막 $\rightarrow$ (머리+)핵(+꼬리) 또한 한국어의 리듬은 일부에서 말하듯이 음절(시간)중심이 아니고, 강세(시간)중심의 리듬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위의 공식은 설명하고 있다.

  • PDF

서울 방언 단모음의 소리 변화와 음향 단서 연구: 단일지점 포먼트와 궤적 양상 (Static and dynamic spectral properties of the monophthong vowels in Seoul Korean: Implication on sound change)

  • 강지은;공은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39-47
    • /
    • 2016
  • While acoustic studies in the past decade documented a raised /o/ by showing their lowered first formants (F1) almost overlapped with those of high back vowel /u/, no consensus has been made in terms of how this /o/-raising affects the vowels as a system in Seoul Korean.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ge- and gender-related differences of the relative distance among the vowels to better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is on-going sound change on the vowel system. We measured the static and dynamic spectral characteristics (F1 and F2) of the seven Korean monophthong vowels /e a ʌ o u ɨ i/ in the spontaneous speech of Seoul Corpus, and depicted the patterns of 30 individual speakers (10 speakers in each group of teens, 20s and 40s) as a function of age and gender. The static spectral examination showed low F1 values of /o/ in the spontaneous speech corpus confirming the vowel /o/ raising, and also revealed greater F2 values of /u, ɨ/ suggesting their anterior articulations. The tendencies were stronger when the speakers were younger and female. The spectral trajectories further showed that the F1 and F2 between /o/ and /u/ were differentiated throughout the vowel mid-point although the trajectories gradually merged near the vowel mid point in the older male speakers' productions. The acoustic evidence of contrast among /o, u, ɨ/ supports that the raised /o/ is not indicative of a merger with /u/ but rather implying a chain-like vowel shift in the Seoul Korean.

영동지역어내의 충청방언 남동부 하한선 연구 (Research on the Bottom Boundary Line on the Southeast Area of the Chungcheongdo Dialect in Yeongdong)

  • 성희제
    • 인문언어
    • /
    • 제8집
    • /
    • pp.265-289
    • /
    • 2006
  •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Yeongdong(永同)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Chungcheongbukdo province, has attracted attention among the academic circle as one of the dialectal contact regions since it adjoins the Gyeongsang and Jeolla dialects. Unlike the local language in Mooju (Jellado dialect) adjacent to the Southwest part, the local language in Yeongdong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imcheon (Gyeongsang dialect). More specifically, it is noteworthy that the boundary line of the Gyeongsang dialect is found in this reg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ve division. In other words, the local language in Yeongdong is divided into the Chungcheong dialect and the Gyeongsang dialect, and furthermore each dialect region still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region's dialect. For example, the phonological structure of Yeongdong Chungcheongdo dialect has very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fudged dialect, which is seemingly influenced by the Gyeongsang dialect. The present study is to define the bottom boundary line of the southeast area of the Chungcheong dialect by identifying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Gyeongsang dialect and the Chungcheong dialect, and to clarify its specific sound system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se two dialects. For this, the autho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f the local language around Yeongdong and adjacent areas. It was found that Cheongwha-ri, Deokjin-ri, and Sanjeo-ri at Yeongsan-myeon, and Mugeunjeom, Sangga-ri, and Jungga-ri at Yeongdong-eup, among the regions that belongs to Chungcheong dialect within the local language of Yeongdong,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sang dialect. Accordingly, the western areas of these villages become the southeast boundary line of the Chungcheong dialect. Also, the uniqu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ongdong Chungcheong dialect is affected by the Gyeongsang dialect, among which "rhythms, y deletion, nasal phoneme deletion, and w deletion" appeared. It is thought to be the unique fudged dialectal phenomenon that appeared only in this region. The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be of some help in finding out various aspects of dialectal contacts as well as clarifying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local language in Yeongdong, and thereby contributing to exact divisioning of the Chungcheong dialect.

  • PDF

경상방언 대학생들이 발음한 국어 한자어 장단음 분석 (An Analysis of Short and Long Syllables of Sino-Korean Words Produced by College Students with Kyungsang Dialect)

  • 양병곤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131-138
    • /
    • 2015
  • The initial syllables of a pair of Sino-Korean words are generally differentiated in their meaning by either short or long durations. They are realized differently by the dialect and generation of speakers. Recent research has reported that the temporal distinction has gradually faded awa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ollege students with Kyungsang dialect made the distinction temporally using a statistical method of Mixed Effects Model. Thir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cording of five pairs of Korean words in clear or casual speaking styles. Then, the author measured the durations of the initial syllables of the words and made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ata followed by applying Mixed Effects Models to the data by setting gender, length, and style as fixed effects, and subject and syllable as random effects, and tested their effects on the initial syllable durations.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Kyungsang dialect did not produce the long and short syllables distinctively with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initial syllabl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l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initial syllables produced in the clear or casual styles. The author conclud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Kyungsang dialect do not produce long and short Sino-Korean syllables distinctively, and any statistical analysis on the temporal aspect should be carefully made considering both fixed and random effects.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to examin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the initial syllables by speakers with various dialect, generation, and age groups.

타이포그래피의 풍토적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nacular Trends of Typography)

  • 원유홍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25-234
    • /
    • 2001
  • 타이포그래피는 기록과 보관 그리고 언어 상의 표현들을 구현하는 그 이상이다. 그것은 다양한 사회 현상이 발효된 문화적 입증이다. 무질서하고 소란스러운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경향은 모더니즘을 특징지었던 차가운 합리주의에 대한 거부에서 비롯된다. 모든 학문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환경을 맞이한 전통적 타이포그래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양상의 풍토적 경향들이 앞다투어 부상하고 있다. 도전과 혁신에 의해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는 현대 타이포그래피는 더욱 국지화되고, 세대화되고, 절충화되고, 빈부화되고, 방언화되고, 다문화화되고, 반유미화되는 가운데 부동적 존재였던 기존 위상이 변모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부침을 거듭하는 타이포그래피의 풍토적 경향들은 성공적일 수도 있지만, 실패로 끝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의 다양한 실험들은 최소한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영역을 확장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잠재적 데이터를 비축하는 것이다.

  • PDF

조선시대 외국어학습서를 중심으로 본 복식명칭 연구 (A Study on Clothing Terms in the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of the Joseon Period)

  • 김은정;강순제
    • 복식
    • /
    • 제56권6호
    • /
    • pp.72-86
    • /
    • 2006
  • The study aimed to materialize the meaning of the names through analyzing names that have synonyms and ambiguous wor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even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such as $\ll$譯語類解 Yeokeoyuhae $\gg$ $\ll$譯語類解補編 Yeokeoyuhae - supplementary book$\gg$, $\ll$同文類解 Dongmunyuhae$\ggl$, $\ll$象語類解 Mongeoyuhae$\gg$, $\ll$象語類解補編 Mongeoyuhae- supplementary book$\gg$, $\ll$俊語類解 Oaeeoyuhae$\gg$ and $\ll$方름類釋 Bangeonyuseok$\gg$. The study selected vocabularies related with headgear, socks, clothing from those vocabulary 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focusing on the same Chinese terms in multiple forms has shown that '帽子(Moja), 斗逢(Dubong), 頭面(Dumyen), 襪(Mal), 木?(Mokgeuk),  據子(Nanmalja), 樓子(Oja), 小樓子(Sooja), 養衣(Saui), 團領(Danlyeng), 掛子(Goija), 齊肩掛(Jegyengae), 彩兒(Sama), 單補(Dango)' have differences in Korean annotations,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se differences are spelt as synonyms in general. 2. The result focusing on the same Korean terms in multiple forms has shown that Gamto, Gat, Satgat, Bolkki, Gatmo, Neoneol, Gatdongot, Ddambatgijeoksam, Nuyeok, Tyeollik, Goui, Baji, Gatdongot, Hatot, Dongdoljji, Yusam, Chima and ete. have 2 or more Chinese spellings. Among these, Neoneol, Ddambatgijeoksam, Nuyeok, Tyeollik, and etc. seem to have used similar Chinese spellings, and Gat, Dongdoljji, and etc. seem to have used Chinese spellings according to the multiple forms in each country. 3. There have also been records of terms seldom used at present such as Dalogi, Neoneol, and etc., and it has been found that Mahulae, Doljji, Dunja, and etc. are the terms have been geographically influenced by the northern race as they have been left as a dialect in North Korea currently. 4. Mahulae, Kulimae, Neolku, and etc. may be inferred as they have originated from Manchu language through pronunciation of each country spelt in translated books.

상주(尙州)의 자연지리 (Physical Geography of Sangju, Korea)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1-294
    • /
    • 2002
  • 인간은 그들의 문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독특한 문화경관을 만들어낸다. 본 연구는 상주 지방에 분포하는 문화경관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주시역을 자연적인 지표(지세 및 수계)예 따라 구분한 후 인문적인 지표(조선시대의 행정구역, 방언, 정기시장권역)로서 고찰하여 6개 소지역을 설정하였다. (1) 낙양지역은 병성천과 동천 주변의 충적지와 사벌의 구릉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중심지역이며 (2) 낙동지역은 낙동강의 수운과 영남대로의 육로가 교차하는 교통 중심지역이고 (3) 병성천 상류지역은 낙양지역에서 이어지는 농협지역이며 (4) 중모 지역은 산간분지의 독특한 기후를 기반으로 포도재배가 성한 지역이고 (5) 화령 지역은 속리산지, 용유계곡의 수려한 경치와 견훤 유적을 기반으로 한 산악관광지역이며 (6) 함녕지역은 삼백(명주, 곶감, 쌀)이 풍부한 고령가야 지역이다.

  • PDF

영남지역 내 하위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Subregions in Yeongnam Region)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5
    • /
    • 2016
  • 본 연구는 영남지역 내 하위지역들을 구분하고 그 핵심부를 파악함으로써, 영남지역에 내재된 문화적 특성을 밝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인문환경 요소인 행정구역과 방언, 그리고 자연환경 요소인 하천유역과 기후 분포를 중첩하고, 계수관과 유사한 환경요소를 갖는 범위를 하위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요소들의 조합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구획은 1개의 시 군으로 이루어진 것에서부터 6개의 시 군으로 이루어진 것에 이르기까지 모두 27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은 안동, 상주, 경주, 대구, 김해, 진주 증 6개의 하위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하위지역은 유통에 장애가 되는 산줄기나 하천을 경계로 하며, 장애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는 점이지대가 나타났다. 안동하위지역은 봉화와 예천, 영주, 의성, 군위, 영양, 청송, 영덕, 울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주하위지역은 상주와 구미, 김천, 문경을 포함한다. 경주하위지역은 경주와 영천, 포항 등을 포함하고, 대구하위지역은 대구와 칠곡, 고령, 성주, 경산, 청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김해하위지역은 김해와 양산, 부산, 울산, 창녕, 밀양 등을 포함하며, 진주하위지역은 진주와 합천, 의령, 사천, 고성, 통영, 남해, 함안, 거창, 함양, 산청, 하동, 창원, 거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PDF

데이터베이스의 효과적인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Name Conflict의 식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 Database Integration Methodology - The Identification of Name Conflict -)

  • 이홍걸;비가방언;부사천효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57-464
    • /
    • 2005
  • 물류환경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연계와 데이터베이스 통합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에 대한 빈번한 문제제기에 비해 합리적인 데이터베이스 통합방안에 관한 학술적 측면의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DB통합법과 관련하여 개체 및 속성 간의 유사도 측정에 기반을 둔 계량화된 충돌 식별법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DB 통합 시 빈번히 발생하는 의미적 충돌(Semantic Conflict)현상인 이른바 "Name Conflict"의 식별을 위한 하나의 해결법으로서 개체 및 속성 간 종합적인 유사도를 측정하는 계량화된 식별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단한 예제를 통해 제안한 방안의 유효성과 식별방안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소모계에서 축척지수의 성질에 관한 고찰 (On the Properties of Scaling Exponents for the Dissipative System)

  • 김경식;신상열;김시용;시천방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2호
    • /
    • pp.162-167
    • /
    • 1993
  • Wilbrink 본뜨기에서 모우드 라킹 현상과 소모적 궤적의 두 경우에 대한 일반화차원 D 하(n)을 수치 해석적으로 계산하였다. 투닝변수 z=0.03, 소모변수 b=0.9, k 하(d)=0.272313668의 값으로 주어진 소모적 Wilbrink 본뜨기에서 모우드 라킹현상의 경우에는 n~20일 때 D 하(-20) =0.924202의 값을 갖으며, 소모적궤적에서는 D 하(-20) =0.63292와 D 하(+20) =1.89877의 값으로 주어진다. 이때의 값들은 n$\longrightarrow$$\infty$감에 따라 Circle 본뜨기의 D 하($\pm$$\infty$) 값들과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