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어효과

검색결과 957건 처리시간 0.026초

기계착유에 대한 유두조직 반응과 신감염 위험성(2)

  • 손봉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제30권12호
    • /
    • pp.744-755
    • /
    • 1994
  • 신유선 감염에 저항하는 소 방어효과는 소의 전신적인 방어기전과 유두조직의 건강에 주요한 영향이 있는 유두내 국소적 방어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착유기에 의하여 유발되는 유두조직 장애의 정확한 평가는 착유설비와 일상적인 착오와 같은 것이 소와 관계되는 특성의 몇가지 응용이 필요하다. 유두조직의 3가지는 차이가 있다. (i) 외견과 유두상태, (ii) 해부학적 구조와 조직구성 그리고 (iii) 생리적 활동상태. 유두반응의 그런 상태 모두의 특성이 기술되어 있고, 신감염의 잠재적 위험성이 관계된다. 유두조직 측정에 추가되는 것은 분만전 우유시료와 유두관 흡수시료의 조사로 기계유발 유두조직반응 분석을 위하여 대단히 도움이 된다. 안내지침은 신감염 위험이 있을 수 있는 기계유발 유두반응평가를 위하여 제안된다.

  • PDF

A Position of a Anti-Air Weapon System for Fighting Ship's Self-Defence Effectiveness Enhancement (대공방어무기체계의 교전 효과도 향상을 위한 함상 배치 위치 분석)

  • Hwang, Soo-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41-47
    • /
    • 2006
  • Naval combat system is total management system integrating a ship and several weapon system functions. For the mission of a ship, naval combat system manages features and constraints of each weapon system. Proper treats of each weapon system's conditions guarantee effective performances of naval combat system.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of anti-air weapon system's on board position and self-defence effectiveness against anti-surface missiles is studied

오디추출물의 기능성 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

  • 김애정;여정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82-82
    • /
    • 2003
  • 오디는 옛부터 보혈자음(補血滋陰), 생진윤조(生津閏操), 현훈이명(眩最耳鳴), 심계실면(心悸失眠), 수발조백(鬚髮早白) 등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심자(桑 子)라 하여 뽕나무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桑 ), 상실(桑實), 오심(烏 ), 흑심(黑 ) 등으로 지칭되며,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 L)의 성숙한 과실로 취화과(聚花果)에 속하며 작은 수과(瘦果)가 많이 모여 이루어진 장원형으로 길이 1 내지 2 cm, 지름 0.5 내지 0.8 cm이며 황갈색, 갈홍색 또는 암자색을 띠고 짧은 줄기가 있다. 작은 수과(瘦果)는 난원형으로 조금 납작한 편이며, 길이는 약 2 mm, 너비는 약 1 mm 이고 육질의 화편(花片) 4개가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오디에 대하여 자연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또한 이의 생리활성 성분에 대해서도 그 작용과 연관지어 보고된 바가 많지 않다. 뇌졸중 가운데 뇌조직으로 가는 혈액 공급의 감소 혹은 차단으로 발생되는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은 전체 뇌졸중 환자의 약 8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뇌신경세포 손상기전의 복잡성 등으로 뇌졸중으로 발생하는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보호해 줄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천연물로부터 뇌허혈 보호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도출은 주로 한방에서 처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처방으로부터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도출은 그 처방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생약이 갖는 다양한 활성으로 인해 어려운 점이 있으며, 비록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과학적인 입증자료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된 자료를 토대로 오디추출물이 뇌허혈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in vitro system을 이용하여 오디추출물의 신경보호작용기전을 검색하고자 DPPH radical 의 생성억제효과, PC12 cell line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오디추출물의 방어효과, LSP에 의하여 활성화된 BV-2 cell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색하였다. 오디의 DPPH 소거활성은 단일화랍물인 bacicalein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PC12 cell line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오디의 방어 효과는 LDH activity를 행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LDH 유리 량을 감소시켰다. 뇌손상시에 오디추출물의 염증방어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icroglial cell line인 BV2 세포주를 선택하여 배양한 후 LPS로 자극을 준 후 일차적인 염증지표인 NO양을 측정한 결과 BV2 cell에 LPS 100 ng/ml을 처리하는 경우 nitrite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때 오디추출물을 1, 5, 10 ug/ml의 용량으로 처리하는 경우 역시 저농도에서 NO생성량을 감소시켰다. 정리해보면 뽕나무과 식물인 오디는 신경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이러한 효과는 아마도 오디의 항산화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Data Communication based Future Air Base Defence Operation Model (데이터통신 기반 차세대 기지방어작전 모델 개발)

  • Pyo, Sang-Ho;Kim, Ki-Hyung;Lee, Tae-Go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제11권2호
    • /
    • pp.157-173
    • /
    • 2014
  • As Air Base Defence, Anti-Aircraft Defence and Nuclear-Biological-Chemical Protection model considered as ground operation models in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re designed as the voice-centered system between participant nodes, there is a problem communicating accurately. In recent years, the military is developing a command and control capability using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new model to maximize efficiency of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based Future Air Base Defence Model. We refer to a research paper that is related existing and developed new model. and then we really experimented under WiBro Network that is constructed to Air Base for maintenance control.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test result of new Air Base Defence Model, we have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is reached.

The Effect of Melatonin on Mouse Jejunal Crypt Cell Survival and Apoptosis (멜라토닌이 생쥐 소낭 세포 재생과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ang, Jin-Oh;Ha, Eun-Young;Baik, Hyung-Hwan;Cho, Yong-Ho;Hong, Seong-E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60-67
    • /
    • 2000
  • Purpose :To evaluate protective mechanism of melatonin against radiation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apoptosis in mouse jejunum. Materials and Methods: 168 mice were divided into 28 groups according to radiation dose and matatonin treatment. To analysis crypt survival, microcolony survival assay was done according to Withers and Elkind's method. To analysis apoptosis, TUNEL assay was done according to Labet-Moleur's method. Results : Radiation protection effect of melatonin was demonstrated by crypt survival assay and its effect was stronger in high radiation dose area. Apoptosis index with 8 Gy irradiation was 18.4$\%$ in control group and 16.5$\%$ in melatonin treated group. After 18 Gy, apoptosis index was 17.2$\%$ in control group and 15.4$\%$ in melatonin treated group. Apoptosis index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latonin 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 Melatonin shows clear protective effect in mouse jejunum against radiation damage but its protective effect seems not to be related with apoptosis protection effect.

  • PDF

Neuroprotecticve Effect of Rhei Rhizoma on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 (Gerbil의 전뇌허혈에 대한 대황의 신경보호효과)

  • Bum-Hoi, Kim;Hyuk-Sang, Jung;Ran, Won;Ji-Ho, Park;Chul-Hun, Kang;Nak-Won, Sohn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74-84
    • /
    • 2002
  • 목적 : 본 실험에서는 gerbil을 이용한 전뇌허혈 동물모델에서 뇌허혈손상 직후 지연성 뇌손상에 대한 대황의 방어효과와 Apoptosis 과정중의 Bax와 Bcl-2 단백질에 대한 조절작용을 관찰하고, TUNEL 염색법을 통하여 대황이 gerbil hippocampus CAl영역의 pyramidal neuron의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과 PCl2세포를 이용한 세포배양 모델에서의 대황의 신경방어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 Mongolian gerbil의 총경동맥을 5분간 폐색하여 가역성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대황의 전탕액을 하루에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대황의 신경 보호 효과는 수술 7일 후에 cresyl violet으로 염색하여, 살아있는 신경 세포의 수를 세어 측정하였다. 또, 수술 3일 후에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범을 통하여 Bax. Bcl-2단백질의 발현과 대황의 신경보호 효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가역적 전뇌허혈이 일어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살아있는 신경세포의 수는 $51.0{\pm}2.5개{\;}/mm$에 불과하였으나, 그에 비해 수술 후 7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은 $106.2{\pm}2.5개{\;}/mm$로 살아 있는 신경세포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Apoptosis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Bax의 발현은 3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고, Apoptosis를 억제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TUNEL 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대황 투여군의 apoptotic 신경세포사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Bax protein의 발현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대황이 Bax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Bax/Bcl-2 자연적 세포사를 억제하여 Mogolian gerbil의 가역성 전뇌허혈 모델에서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Partial Freezing as a Means of Keeping Freshness II. Changes in Freshness and Gel Forming Ability of Conger Eel and Yellowtail during Storage by Partial Freezing (Partial Freezing에 의한 어육의 선도유지 효과에 대하여 2. Partial Freezing에 의한 붕장어 및 방어의 선도 및 어묵형성능의 변화)

  • LEE Yong-Woo;PARK Yeung-Ho;AHN Cheol-Wo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27-35
    • /
    • 1986
  • In succession to the previous paper, the present study was dir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eping freshness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and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by partial freezing, and the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product prepared with the muscle of conger eel during storage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iod of keeping freshness (days in which k value reaches $20\%$) of conger eel and yellowtail by partial freezing was 10 days and 6 days, respectively. VBN content in the conger eel muscle showed 39.5 mg/100g by icing for 15 days, and did not show a great change by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while that of yellowtail muscle reached at 32 mg/100g by icing, 20 mg/100g by partial freezing and 18 mg/100g by freezing for 15 days. The lipids extracted from the muscles of both fishes by icing were remarkably oxidized than those by partial freezing. The myofibrillar protein in the conger eel muscle during storage for 9 days decreased $3\%,\;10%\;and\;11\%$ by icing,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respectively, and that of yellowtail muscle did $16\%,\;10%\;and\;4\%$ by icing,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alkali-soluble protein in both fishe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Gel strength of fish meat paste product prepared with the muscle of conger eel decreased to $35\%$ by icing, $74\%$ by partial freezing and $76\%$ by freezing for 10 days compared to control, and the expressible water increased 1.6 times, 1.2 times and 1.1 times by icing,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respectively, as much as that of control product.

  • PDF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Extract on Cultured Cerebral Neuroglial Cells Damaged by Hexavalent Chromium (연꽃추출물이 6가 크롬으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

  • Seo, Young-Mi;Park, Yun-Jum;Choi, Yu-Su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42-245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ytotoxic effect of hexavalent chromium ($Cr0_3$)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NNG) extract, cultured cerebral neuroglial cells (C6 glioma cells) were treated with $4{\sim}55{\mu}M$ concentrations of $Cr0_3$ for 48 hour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XTT assay.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for the antioxidant effect was also examined on the extract of NNG stamen. In this study, $Cr0_3$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dose-dependently. The cytotoxicities of $XTT_{90}$ and $XTT_{50}$ determined with $10{\mu}M$ and $55{\mu}M$ of $Cr0_3$, respectively, showed that the $Cr0_3$ had highly toxic effect on cultured C6 glioma cells by the cytotoxic criteria. In the protective effect of NNG extract,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NNG extract, and NNG extract increased SOD-like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r0_3$ showed highly toxic effect on cultured C6 glioma cell s and NNG extract was very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Cr0_3$-mediated cytotoxicity by antioxidative effect in these cultures.

Antioxidative Effects of Cornis fructus Extract on Chromium Trioxide Toxicity (Chromium Trioxide의 독성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Seo, Young-Mi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제50권2호
    • /
    • pp.170-176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Cornis fructus (CF) extract on cultured C6 glioma cells. For this purpose, cytotoxicity analysis of chromium trioxide ($CrO_3$) was performed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CF extract on $CrO_3$-induced cytotoxicity was examined after the C6 glioma cells were cultured for 48 hours.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wer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CrO_3$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XTT_{50}$ value was determined to be $33{\mu}M$ after the cells were treated for 48 hours at a concentrations of $20{\sim}40{\mu}M$ $CrO_3$. The catalase (CAT) antioxidant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ell viability that had been decreased by $CrO_3$-induced cytotoxicity. Regarding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CF extract, the cell viability of the CF extrac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CrO_3$ only. In addition, the CF extract showed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EDA an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LDH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ytotoxicity of $CrO_3$ is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the CF extract effectively prevented $CrO_3$-induced cytotoxicity through the antioxidative effects. In conclusion, natural products, such as the CF extract may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toxicity induced by heavy metals via oxidative stress.

The Effects of Traditional Dru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 (Acetaminophen의 간독성에 미치는 수종 생약추출물의 효과)

  • 정기화;정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2-172
    • /
    • 1993
  • Acetaminophen(이하 AAP)은 간의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의해 toxic metabolite로 대사되어 간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이나 생약의 cytochrome P450의 활성과 간의 glutathion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P의 간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민간이나 한방에서 보간 또는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을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간의 약물대사 효소계에 엉힝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강활(Angelica koreana)과 민간이나 한방에서 간질환치료의 목적이나 해독제로 쓰여온 시호(Buplerum falcatum), 토복령(Smilax china) 및 금은화(Lonicera japonica)가 AAP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예비실험을 통해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의 MeOH ext.가 AAP로 유도된 간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hexane, ether,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계통분획하여 랫트에 전처치한 후 고농도의 AAP를 투여하여 간 손상을 일으키고 혈청중의 효소활성과 지질ㆍcholesterolㆍbilirubin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