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수설계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velopment of a culvert design model (방수로 겸용 터널의 수방 설계 기준 제안)

  • Kim, Jung Hwan;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12-612
    • /
    • 2015
  • 최근 도시화로 인해 지상 도로망은 포화상태에 도달했으며, 지하에도 전기나 가스관 등과 같은 라이프라인들이 거미줄처럼 얽혀있어, 교통터널의 지하화 및 대심도화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의 가장 큰 재산피해를 야기하는 재해 중 하나인 홍수피해는 도시 불투수층의 증가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원인 또한 하천범람이나 우수관의 통수능 부족 등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대도시 지하의 교통터널에 홍수저감의 구조적 대책인 방수로 기능을 추가한 방수로 겸용 터널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이미 시공되어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있다. 그러나 교통이나 홍수방어 중 하나의 목적만을 위해 건설되는 터널과 달리 방수로 겸용 터널은 사람이나 차가 평상시에 다니다가 홍수 시에만 방수로로 그 기능이 전화되어 사용되므로,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수재해에 대한 대피 가이드라인이나 수방 설계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자칫 큰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로터널과 방수로에 각각 적용되어 오던 국내 수방 설계 기준 및 수재해 대응 가이드라인을 정리하고, 외국의 방수로 겸용 터널의 설계 지침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방수로 겸용 터널의 수방 설계 기준 및 수재해 대응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국내에 건설될 방수로 겸용 터널의 설계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입법이 필요한 정책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xperimental Study about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Open Channel Bifurcation (개수로 분기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Dong-Kee;Kim, Chang-Wan;Rhee, Dong-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6-1290
    • /
    • 2006
  • 방수로는 홍수 피해 경감을 사용되는 구조적 대책으로 최근 국내에서 널리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방수로는 대체로 보통 횡월류위어 등으로 대표되는 유입부 구조물을 통하여 본류에 연결되지만, 평상시에도 본류의 유량을 일부 분담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젖은 하도(wet channel) 형태의 방수로는 별도의 유입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본류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유입부 구조물을 통해 연결되는 방수로의 특성은 유입부 구조물의 수리학적인 특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이에 반해 젖은 하도 형태의 방수로는 방수로의 폭(W), 방수로 유입되는 흐름의 유입각$(\theta)$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되며, 만약 설계된 방수로의 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따른다면 이러한 흐름은 '제한된 영위어고 횡월류위어 흐름(restricted zero-height side weir flow)'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의 흐름은 일반적인 횡월류위어에서의 흐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수로 분기 조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실험 수로를 설치하여 방수로 폭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분기 조건의 변화에 따른 분수로 유입부분에서의 수리학적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Waterproofing Method for Waterproof Design of Underground Floor and Exterior Wall of Residential Buildings (공동주택 지하바닥 및 외벽부위 방수설계를 위한 방수공법 제안)

  • Lee, Jung-Hun;Seo, Hyun-Jae;Choi, Eun-Kyu;Song, Je-Young;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11a
    • /
    • pp.233-234
    • /
    • 2019
  • Research has begun to change the waterproofing design of domestic underground structure parts from the current negative-side waterproof design to the positive-side waterproof design. For this, active review from the design stage to prevent the ingress of external ground water into the waterproofing measures of the underground of apartment buildings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proper waterproofing method for the major leaks ident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a waterproofing method for the waterproof design of the underground floor and the outer wall is proposed. It is hoped that a follow-up study, such as a review of field applicability, for the proposed methods will provide an alternative to secure leakage stability in waterproof design.

  • PDF

A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Plan for Waterproof Construction in Apartment Houses (공동주택 방수공사 품질관리 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 Kim, Kwang-Ki;Kim, Byoun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4 no.1
    • /
    • pp.109-120
    • /
    • 2024
  • For successful waterproofing construc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construction quality as well as material performance of waterproofing materials used in construction. Due to the long-term cost reduction policy following the economic downturn in the construction market, most construction companies are using general low-priced waterproof materials rather than high-quality waterproof materials without clear quality control standards. Without clear education on construction, construction is being carried out with meaning only on construc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 waterproofing method applied in combination is a situation where water leakage occurs due to waterproofing failure due to insufficient construction quality because the construction method is complic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quality control measures(design, materials, construction) for successful waterproofing work and improve problems that are derived so that stable waterproofing work can be done. In order to expect the leakage prevention effect of a building, first, it is required to select appropriate materials for each part of the building and environment in the design stage, and the selected materials must satisfy all items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KS). Second, to secure the quality 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sincere construction by workers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tried to describe "review of waterproof design", "constructor education", "site inspection", and "criticism(correction/supplementation)" as quality control measures after material selection.

Design of Remote & Wireless Control System for Submarine using RF (RF를 이용한 잠수함 무선 원격시스템 제어 설계)

  • Kim, Young-Keun;Ryu, Kwang-Ryol;Hur, Chang-W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92-19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RF 모듈을 탐재한 Atmega 시스템 설계를 통한 잠수함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RC 잠수함은 실제 잠수함의 원리와 비슷하게 잠항을 할 때는 소형펌프로 밸러스트탱크에 물을 채우고, 잠수를 할 때 수직타와 추진력을 이용하여 잠항을 한다. 이와 반대로 부상은 소형펌프로 밸러스트탱크 안에 물을 배수하여 WTC(방수실린더)안의 기압과 수직타와 추진력을 이용하여 부상을 한다. RC 잠수함은 크게 외부와 내부 그리고 방수를 하기 위한 WTC(방수 실린더)로 나누어진다. 송신 부는 RF 모듈, MCU(Atmega128), 키패드, 캐릭터LCD로 구성되며 수신부는 MCU(Atmega128), RF 모듈, 제어장치들로 구성한다. 제어장치에는 모형 잠수함은 추진력을 위하여 DC 모터에 스크류(프로펠러)를 장착하고, 방향전환 및 잠항과 부상을 위하여 RC 서보 모터를 사용하고 잠항과 부상을 위하여 펌프를 사용한다. WTC는 방수실린더로서 아크릴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방수를 위하여 아크릴파이프를 이용 여기에 MCU와 제어 장치들을 넣어 밀봉시켜 방수를 하여 완성한다.

  • PDF

Water Jet Experiment of Automatic Fire-tracking Water Cannon Facility combined with Indoor Hydrant Facility in Road Tunnels (도로터널의 옥내소화전설비 겸용 자동화점추적 방수총설비의 방수실험)

  • Kim, Chang-Yong;Kong, Ha-S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1
    • /
    • pp.92-98
    • /
    • 2019
  • To determine if water-jet nozzle moves and water jetting are effectiv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this study examined the automatic fire-tracking water cannon system and aan indoor hydrant system, such as water jet centered directivity, water jet range maintainability and water jet shape uniformity. First, an examination to find the center of fire accurately from this system design showed that the water jet centered test was accurate. Second, the water jet range test results showed that when water is jetted at the maximum water jet radius, the water jet shows an inaccurate result but within the allowable tolerance range. Finally, the water-jet shape test result confirmed that there are no problems in setting the block from the algorithm design.

Estimation of Development Capacity Applicable to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 at the Discharge Channel of Hadong Thermal Power Plant (하동화력 방수로 조류식발전 개발규모 산정 및 수리특성 분석)

  • Kim, Ji-Young;kang, Keum-Seok;Lee, Dae-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21-124
    • /
    • 2006
  • 국내외에 아직 적용 실적이 없는 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조류식발전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에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여 현장시험이 진행 중이며, 이를 확장하여 상업용 발전을 위한 총 개발 규모를 산정하고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조류식발전구조물의 형상 설계, 가이드 베인을 이용한 출력 조정을 통하여 방수로의 수류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조류식발전구조물 설치시 방수로의 수류특성 수치계산 결과로 판단할 때 발전출력에 의한 에너지 회수뿐만 아니라 조류식발전구조물의 단면축소 효과 및 수두손실이 방수로의 수위 변화에 상당한 규모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류식발전구조물 설치 이전의 유속 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발전량을 산정한 경우 소수력발전 단가 적응시 경제성이 떨어지지만, 조류식발전시스템의 설치시 유속 증가 효과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 등을 이용하여 발전량 증대를 꾀하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류식발전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emote Controlled Fire Monitor for Plant-Only Smart Fire Monitoring (플랜트 전용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연동 방수총에 관한 연구)

  • Choi, Doo-Chan;Yang, Min-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79-8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풍량, 풍향, 보관물질, 시설물의 위치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 플랜트 시설물의 상황별 화재 성상을 분석하여 화재진압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이를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구현을 위한 아키텍처 시스템을 설계하여 화재 초기상황에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을 통해 방수총을 빠르게 동작시킬 수 있다. 플랜트 시설 화재 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과 연동된 방수총의 동작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며 화재 취약지점에 거점타격방식으로 방수하고자 한다

  • PDF

Consumer Awareness Analysis of Residential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Leakage Prevention Measurements (공동주택 지하공간 누수 예방 기술 정책 수립을 위한 소비자 인식 분석 연구)

  • Han, Yoon-Jung;Oh, Kyu-Hwan;Kim, Su-Ryon;Kim, Byoung-Il;Oh, S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4 no.4
    • /
    • pp.379-387
    • /
    • 2016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quired measurement and waterproofing performance for residential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leakag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leakage problem is considered to be quite severe, and many respondents have agreed. The legal guidelines and regulation systems do not reflect properly on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s or conditions, resulting in continued leakage problem. In regards to this, a standardized waterproofing technique that can be used in underground areas of residential structures is required as an obligation and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waterproofing method that allows for wet concrete surface adhesion and a guideline, design and maintenance method that allows the control of overall situational control of leakage is required.

Hydraulic Analysis of Air-core Patterns with Various Discharge and Improving Inlet Part of the Underground Bypass Model (유량변화와 지하방수로 유입구모형의 개선에 따른 공기공동양상의 수리학적 분석)

  • Park, Sung Won;Kim, Hyung-Jun;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9-369
    • /
    • 2016
  •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지하방수로나 지하저류지 등은 홍수 방어를 위한 도심 내의 토지 확보 부담을 줄이며, 집중 호우 발생 시 내수를 초기에 신속하게 배제하여 제내지 침수 피해를 줄이는데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미국 및 일본, 홍콩과 같은 외국에서는 이미 지하방수로 및 지하저류지를 활용한 홍수피해 저감방안을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치수 계획 수립 시 지하방수로 혹은 지하저류지 시설 도입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으나 적용사례가 전무하여 제반기술이 부족하고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된다. 제반설계기술의 경우는 구조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대표적으로, 지하방수로 유입구 형상이, 동일한 흐름조건에 대한 유량배제효율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인자로 알려진 바 있으며 다양한 유입구 형상설계방안이 기존 실험적 연구 및 외국 설계지침에 제안된 바 있다. 지하방수로는 접근 수로를 통해 유입된 유량이 유입구를 지나며 가속되어 와류 흐름을 형성하며 수직 갱도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하방수로의 방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입구에서 흐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유입흐름특성이 사류일 경우 혹은 급격하게 유입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 수직 갱도 내에 공기 공동이 형성되어 구조물 파손, 와류의 발생으로 인한 배제효율 감소 등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수리학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방수로의 기존 유입구형상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하고, 개선점을 적용하여 수리모형을 제작하여 개수로 실험장치에 설치하고 다양한 유입흐름조건에 따라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입흐름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유입구의 공기 공동의 발달 및 소멸 그리고 규모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유입부의 가능 단면적이 큰 수직갱도인 경우, 유량배제 효율이 감소되는 분석결과에 적절하게 일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하방수로 설계의 제반기술의 수립 시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