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송 콘텐츠

검색결과 1,869건 처리시간 0.029초

방송콘텐츠 개념의 제도적 정립을 위한 시론 (An Essay on Constructing an Official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 조병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77-492
    • /
    • 2021
  •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의 개념이 제도적으로 정립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한 문제를 살피고, 방송콘텐츠 개념의 범주와 의의를 제시하여 관련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콘텐츠 향유 패턴이 점차 파편화됨에 따라, 드라마·예능·다큐멘터리 등 방송콘텐츠는 전통적인 방송산업의 유통구조를 벗어나 N스크린을 통해 다양하게 향유되며 그 부가가치를 극대화한다. 그러나 법률상 방송콘텐츠의 개념은 방송산업의 전통적인 유통망에 종속되어 있거나, 심지어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방송콘텐츠 개념 정의의 필요성을 원론적·법률적·산업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핀 결과, 방송콘텐츠는 방송미디어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개념으로 정의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방송콘텐츠의 개념과 유형 분류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방송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였고, 방송콘텐츠를 상위범주(교양, 오락)와 하위범주('다큐멘터리·시사교양·교육', '드라마·애니메이션·예능·음악·스포츠')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미 FTA와 디지털환경의 지역방송 콘텐츠 활성화 방안

  • 김덕모;김만기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322-330
    • /
    • 2008
  • 한미 PTA 타결로 미디어 자본의 시장 침투와 전면적인 콘텐츠 경쟁 상황에서 국내방송과 통신융합이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변화에 따른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전환이 방송콘텐츠 산업의 향후 방향을 짚어보았다. 나아가 지역방송의 지상파 디지털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경쟁력 제고 방안, 지역방송의 역할로써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의 계승발전과 지역민의 통합과 화합을 위한 소통의 장의 수행, 그리고 새롭게 발족하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역방송발전위원회에 정책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 PDF

콘텐츠연재 / 이제 콘텐츠에 돈되는 색깔을 입히자

  • 임은모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89호
    • /
    • pp.86-91
    • /
    • 2000
  • 한국 방송은 새로운 역사를 거듭 쓰고 있다. '거듭'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주는 무게는 남다르다. 남북화해 무드에 편승해 백두산과 한라산에서 남북동시 3원 생방송을 위시해 방송의 날(매년 9월 3일)을 기념해 KBS와 MBC가 디지털 방송을 시작한 것이 그것이다. 이들 양사보다 한발 앞선 SBS는 2000년 8월 31일부터 디지털 시험 방송을 시작함에 따라 지상파 3사는 모두 디지털 방송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 이들 지상파 방송 3사는 디지털 방송을 위해 1999년 1월부터 장비도입 등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한 결과라 시청자는 물론 방송 업계와 콘텐츠 관련 업계는 모두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시대를 실감하고 그 준비에 하루 24시간이 늦가을 하루해 만큼 짧게 느끼고 있다.

  • PDF

다중 CP 를 지원하는 양방향 증강방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directional Augmented Broadcasting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Content Providers)

  • 정영호;김순철;하정락;최범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86-89
    • /
    • 2015
  • 본 논문은 방송 프로그램과 증강 콘텐츠를 융합하여 시청자와의 상호작용 및 시청 몰입감을 향상시키고, 시청자의 증강 콘텐츠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중 CP 를 지원하는 양방향 증강방송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구현된 증강방송 시스템은 증강 콘텐츠 제어정보 생성을 위한 증강방송 저작도구, 다중 CP 기반 증강 콘텐츠의 관리 및 다운로드 처리를 위한 증강방송 콘텐츠 서버, 방송 스트림과 증강방송 서비스 제어정보 등을 다중화기 위한 증강방송 재다중화기, 증강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렌더링을 위한 증강방송 서비스 플랫폼, 이용자 상호작용 처리를 위한 증강 콘텐츠 UI 로 구성된다. 향후 구현 시스템을 활용한 실험방송 및 시범서비스 등을 통해 증강방송 서비스의 상용화 및 $3^{rd}$ party 증강 콘텐츠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방송 미디어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대화형 방송을 위한 MPEG-7 over MPEG-4 시스템 디코더 구현 (Implementation of MPEG-7 over MPEG-4 Systems Decoder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 기명석;정예선;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05-208
    • /
    • 2003
  • 디지털 방송의 발달로 인해 현재 방송 환경은 사용자가 단순히 제공되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수준에서 사용자가 콘텐츠와 직접 대화하는 대화형 방송이 발달하고 있다 MPEG-4 콘텐츠는 이러한 대화형 방송에 매우 부합되는 콘텐츠이며,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향후 MPEG-4 콘텐츠가 널리 이용될 때, MPEG-4 콘텐츠에 MPEG-7 ES를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로 간주하고 MPEG-4 콘텐츠에 포함하여 전송한다면, MPEG-4 콘텐츠의 검색 및 관리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MPEG-7의 다양한 기능과 결합한다면 MPEG-4 콘텐츠의 응용을 더욱 풍부히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MPEG-4 콘텐츠에 OCI 기술자 또는 MPEG-7 ES를 포함한 MPEG-4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MPEG-7 over MPEG-4 시스템디코더와 그 구조에 대해 서술하였다.

  • PDF

스마트 방송서비스를 위한 방송콘텐츠 분석 기술동향 (Trends on Broadcast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for Smart Broadcasting Service)

  • 손정우;김선중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3호
    • /
    • pp.9-19
    • /
    • 2016
  • 스마트TV,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이용이 급격하게 확산됨에 따라 방송콘텐츠의 소비패턴 또한 변화하고 있다. 시청자는 더 이상 방송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TV 앞에 앉아 기다리지 않으며, 관심 있는 콘텐츠를 추천받거나 선택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소비패턴의 변화는 새로운 방송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 방송서비스는 이와 같이 변화된 시청자 소비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 전달 서비스로, 스마트 방송서비스 실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술 중 방송콘텐츠 분석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더불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하고 있는 방송콘텐츠 분석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방송콘텐츠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기반 메타데이터 빌더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data Bulider based on Standard of Metadata Element and Format for Broadcasting Content Distribution)

  • 박성주;양창모;송재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67
    • /
    • 2014
  • 방송사와 프로덱션 등에서 제작한 전문 방송용 콘텐츠뿐만 아니라, 개인이 온라인상에서 생성한 다양한 콘텐츠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스마트TV,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단말을 통해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가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일관된 메타데이터 규격을 기반으로 상호운영성과 공유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 콘텐츠 유통 메타데이터 구성 요소 및 형식에 대한 국내 표준을 기반으로 개인이 온라인상의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방송 콘텐츠 유통 메타데이터 규격에 맞도록 변환하는 동시에, 방송 콘텐츠 저작 도구에서 저작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표준 규격에 맞도록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빌더를 설계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 PDF

시청자 선호 기반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서버 구현 (Implementation of Content Server for TV Viewer's Preference Based Hybrid Broadcasting Service)

  • 김순철;배병준;임형수;허남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2-333
    • /
    • 2015
  •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의 여러 유형 중 ITU-T J.301 에서 정의한 AR-STV 환경에서 시청자가 선호하는 콘텐츠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동일한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는 시청자 경험과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는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방송망과 인터넷을 결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려 기존에 방송망에서 제공하지 못했거나 구현하기 어려웠던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시청자 선호 기반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는 시청자에게 방송프로그램 시청 도중에도 선호하는 콘텐츠 사업자를 변경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 방송 참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콘텐츠 사업자들에게는 질 높은 콘텐츠 제공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발전된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휴대형 DMB 단말 환경에서의 시나리오 기반 데이터 방송 부가콘텐츠 제작 모델 연구 (A Study about Data Broadcasting Sub-Content Architecture Model Using Scenario in Mobile DMB Device Environment)

  • 오정민;김경록;문남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C)
    • /
    • pp.139-143
    • /
    • 2007
  •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전세계적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이는 특화된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한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기존 방송 콘텐츠를 활용하여 데이터 방송 부가 콘텐츠를 제작하는 모델안을 제안한다. 연구 모델은 1)시나리오 기반으로 기존 데이터 방송 콘텐츠 분석, 2)분석된 객체 아이템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 3)부가 콘텐츠 화면 구현의 단계로 구성한다. DMB 단말환경에서 가볍게 움직이는 콘텐츠 제작을 위해 메타데이터를 25개로 제한하고 이 안에서 Content Description, Shot Detection, Object Tracking로 메타데이터를 구분하여 스키마 다이어그램을 설계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익숙한 콘텐츠를 재가공하여 제공함으로 DMB 수요 활성화 측면과 CP의 제작 비용감소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딥러닝 기반 방송 콘텐츠 클래스 분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roadcast Content Clas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 김신;윤경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4-335
    • /
    • 2018
  • 최근 수 년간 비디오 콘텐츠 소비 공간이 인터넷으로 확장되며 지능적 비디오 콘텐츠 추천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지능적 비디오 콘텐츠 추천 기술은 사용자의 기호나 업로드된 비디오 콘텐츠의 제목 등을 기반으로 하여 비디오 콘텐츠 클래스에 대한 분석 없이 유사한 비디오 콘텐츠를 탐색하고 추천해주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적 콘텐츠 추천을 위한 딥러닝 기반 방송 콘텐츠 클래스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방송 콘텐츠 내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 클래스를 분류하며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