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 장르

Search Result 17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Feature reduction based on distance metric learning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거리 함수 학습을 활용하여 장르 분류를 위한 특징 셋의 간소화 방법 연구)

  • Jang, Dalwon;Shin, Saim;Lee, JongSeol;Jang, Sei-Jin;Lim, T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3-4
    • /
    • 2014
  • 음악 장르 분류 분야에서는 다양한 특징을 모아서 특징 벡터를 만들고 이를 support vector machine (SVM)와 같은 분류기에 입력하는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리 함수 학습를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특징 벡터의 간소화에 적용하였다. 여러 거리 함수 학습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고, 기존의 논문들에서 사용되었던 특징 셋을 활용하여 기존 특징 셋에 대해서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특징 셋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지 살펴본다. 우리의 실험에서는 168차원의 특징 셋을 10차원까지 줄였는데, 이 경우 분류 정확도가 2% 이내로 저하되었다.

  • PDF

Audio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Spectrogram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한 딥 러닝 기반의 오디오 장르 분류 기술)

  • Jang, Woo-Jin;Yun, Ho-Won;Shin, Seong-Hyeo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90-9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한 딥 러닝 기반의 오디오 장르 분류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오디오 장르 분류는 대부분 GMM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GMM의 특성에 따라 입력 성분들이 서로 직교한 성질을 갖는 MFCC를 오디오의 특성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딥 러닝을 입력의 성질에 제한이 없으므로 MFCC보다 가공되지 않은 특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오디오의 특성을 더 명확히 표현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 러닝에 효과적인 특성을 구하기 위하여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을 사용하여 오디오 특성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한면 MFCC를 특성으로 하는 딥 러닝보다 더 높은 인식률을 얻을 수 있다.

  • PDF

Music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using Spikegram (스파이크그램을 이용한 심층 신경망 기반의 음악 장르 분류)

  • Yun, Ho-Won;Jang, Woo-Jin;Shin, Seong-Hyeon;Jang, Won;Cho, Hyo-Ji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29-3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청각 기관을 모델링 한 스파이크그램 (spikegram)을 이용한 심층 신경망 기반의 음악 장르 분류 기술을 제안한다. 분류 대상은 GTZAN 데이터 세트의 10개 장르로 정의한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 기관의 인식 방법을 모델링한 방법을 이용하여 스파이크그램을 구하고, 스파이크그램에서 새로운 특성 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심층 신경망에 적합한 특성 벡터를 구하고 이렇게 구한 특성 벡터로 신경망을 학습시켜 기존에 사용하던 다양한 방법들보다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 PDF

Applying distance metric learning for improvement of genre classification (장르 분류 성능 향상을 위한 거리함수 학습의 활용)

  • Jang, Dal-Won;Sin, Sa-Im;Lee, Jong-Seol;Jang, Se-Jin;Lim, T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36-37
    • /
    • 2013
  • 음악 장르 분류 분야에서는 다양한 특징을 모아서 사용하는 방법과 support vector machine (SVM) 분류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리 함수 학습를 음악 장르 분류에 적용하여 성능 향상을 꾀한다. 여러 거리 함수 학습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특징 셋을 활용하여 다양한 특징 셋에 대해서 적용하였을 때, 실제 성능 향상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세 종류의 특징 셋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두 가지 특징이 같이 있는 특징 셋에 대해서만 성능 향상이 있었으며, SVM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지 못 했다.

  • PDF

Extraction of Temporal and Spectral Features based on Spikegram for Music Genre Classification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스파이크그램 기반의 시간 및 주파수 특성 추출 기술)

  • Jang, Won;Cho, Hyo-Jin;Shin, Seong-Hyeo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49-5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시간 및 주파수 기반 스파이크그램 특성 추출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악 장르 분류 시스템에서는 푸리에 변환 기반의 입력 특성을 주로 사용해 왔다. 푸리에 변환은 시간 축에서 프레임 단위로 평균적인 주파수 정보를 취하므로 낮은 시간 해상도를 갖지만, 스파이크그램은 샘플 단위의 주파수 정보를 갖고 있어 고해상도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제안하는 기술은 이러한 시간 기반 특성을 추출하여 주파수 기반 특성 및 SNR 특성과 함께 심층 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제안하는 특성을 사용하여 시간 기반 특성을 사용하지 않은 기존 스파이크그램 특성 기반 분류기의 성능을 개선하였으며, 다른 특성 및 분류기에 비해 적은 수의 특성 입력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얻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ultiple Classification of Audio Genre and Quality based on Deep Learning (딥 러닝 기반의 오디오 장르 및 품질의 다중 분류 기술)

  • Shin, Seonghyeon;Cho, Hyojin;Jang, Wo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53-5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하여 딥 러닝 기반으로 오디오 장르와 품질의 다중 정보를 동시에 분류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 딥 러닝 기반의 오디오 정보 인식 기술은 각각의 정보 인식을 목표로 독립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여러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기 위하여 각각에 특화된 여러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오디오의 대표 특성인 스펙트로그램을 기반으로 범용성이 있는 특성을 추출하고, 단일 네트워크로 학습시켜 장르 및 품질을 동시에 분류하는 다중 분류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단일 분류 성능과 유사한 다중 분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 PDF

RTTC System through Fusion of Dynamic and Static Game Elements (동적·정적 게임 요소의 퓨전을 통한 RTTC 시스템 )

  • Chang-Jo, Sung;Kyung-Soo, Park;Seo-Hyun, Kim;Chae-Lim, Lee;Ji-Hye, Huh;Sung-Jun, Par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1
    • /
    • pp.183-189
    • /
    • 2023
  • Most of the games in the RTS genre, including games such as Starcraft and LOL, which are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works in E-sports, have become increasingly uniform and boring. In order to make more changes in a uniform and boring system, I thought it could be solved through a combination of genres that have been fully developed and verified, so I tried to present a new game paradigm. To this end, let's focus on the genres of RTS andt TCG among the popular game genres and present a new paradigm by combining the dynamic and static features of these two genres. The new Real-Time Trading Card (RTTC) genre of gam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refers to a new type of game system that fuses the dynamic and static elements of the game. This mixed genre can be a new paradigm for games that can satisfy both gamers and viewers by minimizing the uniformity of the game while adding the randomness of c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RTS called real-time warfare.

360VR 영상 제작기술 동향

  • Nam, Seung-Ji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3 no.4
    • /
    • pp.10-18
    • /
    • 2018
  • 360VR은 기존의 미디어와 차별화된 현실감을 제공하는 장점으로 인해 차세대 미래미디어의 대표 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360VR 영상의 획득과 제작에 사용되는 장비 및 기술을 살펴보고, 360VR 콘텐츠의 제작 사례를 기반으로 몰입형 콘텐츠 제작기술이 방송 및 기타 장르에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몰입형 콘텐츠 제작의 제약 요소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 및 몰입형 미디어의 발전방향을 알아보았다.

The Chronotope of Medical Drama (메디컬 드라마의 크로노토프)

  • Won, Yong-Jin;Lee, Jun-Hyung;Park, Seo-Yeon;Lim, Cho-Yi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2
    • /
    • pp.169-216
    • /
    • 2019
  •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Bachchin's Chronotope as a tool for analyzing coevolution between the genre of the epic and society. Bachchin says through the concept of chronotope, literary works are on the foundation on which the axs of time and space intersect, and the literary works standsuch intersections are always conversing with social and historical chronotopes and mutually penetrating. Thus, finding and analyzing chronotope in literary works and extended things such as films and dramas reveals how chronotope and chronotope of a society have created specific social realities through a process of resonance. To make analytical use of this concept, we proposed a "cronotope drama analysis method" and concretely analyzed the genre of Korean medical dramas. The naturalized categories of health care, health, and disease are socially constructed entities, and the analysis of public works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is process of social construction is essential but was under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Korean medical drama's "Chronotope" has evolved using "Chronotope of the school" and "Chronotope of the secret chamber". At this time, the genre of Chronotope was expanding spatially and converging in time.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structures and systems within the genre has grown, and the capacity of individual actors has decreased. This change in chronotope was interpreted as resonating with the social reality of neo-liberalistic spatial expansion and simultaneous production. The neo-liberalistic trend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has embraced the category of health care and was further influencing the chronotope of drama text.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the popular understanding of health care produced by the medical drama genre has taken a break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ocial reality of health care again.

A Study on the Streaming-Friendly Game Design and Suggestion of Game Planning Guidelines through the Analysis of Game Streaming (인터넷 게임 방송 분석을 통한 방송 친화적 게임 디자인 연구와 게임 기획 가이드라인 제시)

  • Kim, Young-Bum;Sohn, Kee-Hoon;Lee, Taek-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2
    • /
    • pp.538-547
    • /
    • 2021
  • This study seeks to derive game design elements that turn out game streaming-friendly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et game streaming.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previous studies on the motivation of watching internet game broadcasting and simplified the motivations to 'Expertise' and 'Amusement', the goal that game streaming should aim for, and divided streamer's streaming types into 'Reviewer', 'Master', 'Entertainer' and 'Acrobat' by those two options. Based on the categories, this study analyzed game streaming videos of various genres and confirmed that both the number of videos and the number of views by the streaming type were the highest in the 'Acrobat' group.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s that and revealed different figures by the type although they belong to the similar gen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two games, this study identified 's advantages in three points-Fortune, Setup Time, Control View- and finally suggested some guidelines for streaming-friendly game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