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 산업

Search Result 1,11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한미 FTA와 디지털환경의 지역방송 콘텐츠 활성화 방안

  • Kim, Deok-Mo;Kim, M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322-330
    • /
    • 2008
  • 한미 PTA 타결로 미디어 자본의 시장 침투와 전면적인 콘텐츠 경쟁 상황에서 국내방송과 통신융합이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변화에 따른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전환이 방송콘텐츠 산업의 향후 방향을 짚어보았다. 나아가 지역방송의 지상파 디지털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경쟁력 제고 방안, 지역방송의 역할로써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의 계승발전과 지역민의 통합과 화합을 위한 소통의 장의 수행, 그리고 새롭게 발족하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역방송발전위원회에 정책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 PDF

2013년 방송통신 정책방향

  • Ra, Bong-Ha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10-16
    • /
    • 2012
  • 모바일 혁명으로 대변되는 제2의 인터넷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방송통신산업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구글, 애플 등 플랫폼 사업자를 중심으로 생태계 경쟁이 심화되면서, SW 콘텐츠 개발자 등에게 새로운 성장기회가 형성되고 있고 정보의 생성 및 유통속도가 가속화되면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신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중심으로 방송통신망이 융합되면서 스마트TV 등 인터넷 동영상서비스가 확산되고, 방송시장 내에서도 유료방송서비스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스마트 생태계 구축경쟁과 인터넷 중심 융합으로 특징지워지는 새로운 방송통신 패러다임은 기존 방송통신산업구조와 규제체계의 전환을 촉구하고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을 촉진하고 방송통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C(콘텐츠)-P(플랫폼)-N(네트워크)-T(기기)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선 방송통신 분야의 정책환경 변화를 살펴본 후 네트워크 고도화, 방송통신 R&D, ICT 중소 벤처기업 육성, 방송통신콘텐츠산업 경쟁력 제고 등 방송통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정책과제들을 살펴본다.

A Study on Revitalization for Broadcasting Equipment (국내 방송장비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 Jeon, Gun-Pyo;Jang, Won-Gyu;Lee, S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317-318
    • /
    • 2010
  • 방송 산업은 종래 아날로그 TV에서 최근 디지털 TV로의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디지털 방송의 도입에 부응하는 국내 방송 장비의 수급은 수요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있다. 특히,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의 TV는 이미 디지털화 하거나 2011년 전환 예정으로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디지털 전환에 맞물려 방송장비 시장이 2015년 810억 달러를 상회하는 등 큰 규모로 확대가 예상되나 국내 방송장비 산업체는 방송사의 수요 독점과 영세성 등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방송장비 산업의 취약성 극복을 위하여 대규모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나 보다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산업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방송장비 산업 활성화 방안으로 철저한 수요조사에 따른 경쟁력 있는 개발 대상 장비 선정, 지원 체계의 일원화, 해외 시장 진출시 요구되는 인중 비용 지원, 국내 장비의 고품질화 실현을 위한 인력 양성과 홍보 강화 등을 제안한다. 국내 방송장비 산업에 대한 관심과 활성화 지원은 방송 콘텐츠 성장의 굳건한 인프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방송통신 융합 분야의 리더로 성장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되었다.

  • PDF

스마트시대의 방송통신 정책방향

  • Jeong, Han-Ge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
    • /
    • pp.10-16
    • /
    • 2011
  • 스마트기기 및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성장 등에 따라 인터넷 경제는 재도약하고 있으며, 거대 플랫폼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모바일 생태계 구축경쟁에 따라 모바일 앱, 소셜커머스 등 분야에서 중소벤처기업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한 국경간 콘텐츠 공급 확대, 오픈마켓 활성화 등에 따라 글로벌콘텐츠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일상화에 따라 사회 정치 문화, 방송통신 산업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 생태계 구축경쟁과 인터넷 중심 융합으로 특정지워지는 새로운 방송통신 패러다임은 기존 방송통신산업구조와 규제체계의 전환을 촉구하고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을 촉진하고 방송통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C(콘텐츠) - P(플랫폼) - N(네트워크) - T(기기)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선 방송통신산업 동향과 정책환경 변화를 살펴본 후 네트워크 고도화, 전략적 R&D, 중소 벤처기업 육성, 콘텐츠산업 경쟁력 제고 등 방송통신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정책과제 들을 살펴본다.

Overview of Korean Broadcasting Equipment Market (방송장비산업의 현황 및 전망)

  • Kim, S.M.;Park, K.M.;Koh,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3
    • /
    • pp.111-121
    • /
    • 2011
  • 급변하는 디지털방송 시장 환경과 향상된 국내 디지털방송 기술을 고려할 때, 국내 방송장비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들이 다가오고 있으나 실효성 높은 방송장비 육성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방송장비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첫 걸음으로 방송장비산업의 범위를 정하고 분류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방송장비 보유 현황 및 국산화율을 파악하였다. 방송장비는 170여 개의 다양한 품목을 4대 분류, 23개의 중분류로 나누었다. 이들 장비 중 영상장비들의 보유비중 및 보유대수는 높으나 국산장비 이용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호환성, 예산규모, 장비대당 가격, 핵심장비의 기준에서 중요한 품목들이 제조사들의 주요 생산장비에는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규모 추정 결과, 그간 별로 논의되지 않았던 비방송사의 방송장비 투자규모와 수입규모가 매우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디지털방송시대를 여는 알티캐스트(주)를 찾아서

  • The Korea Society of Space Technology
    •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Space Industry
    • /
    • v.9 no.3 s.23
    • /
    • pp.92-96
    • /
    • 2001
  • 지상파 방송 3사의 디지털TV 본방송을 시작으로 내년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이 본방송을 실시한다는 방송 일정을 제시함에 따라 관련업체들의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방송의 핵심서비스를 주도해 나가는 데이터방송 솔루션 업체(주)알티캐스트를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Possibility of RO as a Local Media (지역매체로서의 중계유선방송(RO)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 Nam, Cho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9 no.2
    • /
    • pp.213-223
    • /
    • 2008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background and industrial difference of RO and SO. RO was launched for solving a problem of terrestrial broadcasting. After solving a problem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RO has played a roll as a local media. On the other hand, SO was launched by government's policy so SO has been protected and brought up by government. Because market of RO and SO is overlap and competitive, RO has been restricted by government for issuing new license and renewal of permission. Presently, environment of media has been changed very dramatically, so various niche media are needed for various customer's needs. In addition, local media are in trouble of playing a role as a public broadcasting service in Korea. Therefore, RO might be a good solution.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user's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This study shows possibility of RO's roll and function as a local media.

  • PDF

Considering Service Factors in R&D Project Selection: An Application to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Sector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방송통신융합 분야 R&D 프로젝트 선정)

  • Jun, Hyo-Jung;Kim, Tae-Sung;Yeon, Seung-Jun;Ha,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455-465
    • /
    • 2008
  • Recently the discussion o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has been actively advanced, the convergence service which pulls down the guard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is already embodied from the market. We need to clearly define a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in order to develop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based on future demands for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consider both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s 'services-centered industries' and suggest new R&D project selection criteria. This could be used to present a new direction in R&D project management.

  • PDF

신뢰할 수 있는 방송·미디어와 AI

  • Jeong, Byeong-Hui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5 no.1
    • /
    • pp.42-48
    • /
    • 2020
  • 최근 모든 분야의 산업 발전에 있어 AI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초연결성, 초지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산업의 혁명인 4차 산업혁명은 핵심 기술인 AI가 견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AI 산업의 시장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반면, 성장률의 둔화 추세와 이런 결과를 뒷받침하는 우려 사항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AI의 판단에 대한 신뢰는 AI의 활용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주요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방송·미디어에서도 AI에 대한 신뢰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에서 어떤 활동들을 하고 있는지 특히 유럽의 동향을 위주로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사람들이 대부분의 생활 정보를 얻는 방송·미디어에서 신뢰할 수 있는 AI를 활용하기 위한 방송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국 2001년도 주요업무 계획

  • The Korea Society of Space Technology
    •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Space Industry
    • /
    • v.9 no.1 s.21
    • /
    • pp.46-63
    • /
    • 2001
  • 최근 들어 전파 이용은 기존의 이동전화.방송에서 교통, 의료, 과학, 치안 등 모든 분야로 확대되고, 다양한 전파응용기술이 발전하면서 무선국 수가 1990년 기준(22만 5천국)으로 1995년에는 10배, 2000년에는 100배를 상회하여 매 5년마다 10배씩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전파통신서비스 시장 또한 1990년 718억원에서 1999년 9조8천억원으로 연평균 70%이상 성장하였고, 전파산업의 GDP 비중 역시 1996년 3.5%에서 1999년 5.1%로 증가하는 등 국가 경제에서 전파산업의 비중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전파는 국민 경제의 핵심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정통부 전파방송관리국은 전파통신 기반확충과 효율적 전파관리, 방송매체의 디지털화와 방송기술의 고도화, 전파.방송산업의 활성화 지원, 우주통신 개발촉진 및 이용의 활성화, 전파 환경 보호 및 전파이용질서의 확립 등을 2001년도 중점사업으로 하고 있다. 이에 전파방송관리국의 2001년 주요 업무계획 내용을 원문 그대로 게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