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허가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ocal Channel and Renewed License of Cable TV System Operator in Korea (케이블TV SO의 지역채널 운영 및 재허가 심사에 관한 연구)

  • Jung, In-Sook;Chung, Sang-Yun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4
    • /
    • pp.58-75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management of cable local channel and its related issue of renewed license. Programming of the local channel is the special obligation duty on the cable system operators(SO) under the article 70 (3) of the Broadcast Act. The law provides that SO should operate a local channel which produce, program and transmit the local information, a broadcast program guide and the official announcement items etc.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nd the article 55 of the Enforcement Decree defines the scope of broadcast program which transmit through the local channels. And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grants a renewed licence 3-5 years based on the level of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under the article 31 of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Rules of Broadcast Evaluation. However, the management of local channel does not give the operators real benefit for the investment of a significant cost, and it could be a reason why the local channel programming has not been vitalizing despite of the legal coercion. To solve the several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xperts concerned and literature review for the government documents. The result shows that each SO local channel schedule almost 24 hour a day, but much of them is the repeat programming. In addition to that, the outcome reveals that the scale of the cost investment on the local channel is decreasing and the evaluation score of its management is not so positive figures.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policy of the cable local channel needs revised policy alternatives or paradigm on the basis of realistic goals.

  • PDF

An Analysis of Demand Features for DMB Services (DMB 방송서비스에 대한 잠재적 수요특성 분석)

  • Byun,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2 s.86
    • /
    • pp.18-27
    • /
    • 2004
  • 디지털 기술에 기반하여 출현한 DMB 방송서비스는 이동 TV 수신이라는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였으며, 아울러 CD 수준의 음질과 문자방송 수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이다. 국내에서는 DMB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방송법 개정이 논의되고 있으며, 2004년에 수도권을 대상으로 TV의 12번 채널(6MHz 대역)에 3개의 지상파 사업자 허가를 준비중에 있다. 또한 위성 DMB 부문에서는 사업자 차원에서 서비스가 준비되고 있다. 지상파 DMB 방송은 무료로 제공되며, 주로 광고 수익 등으로 운영되는 반면 제공되는 채널 수가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위성 DMB 방송은 지상파에 비해 채널이 다양한 반면 월 일정액의 이용요금을 추가로 징수할 예정이다. DMB 서비스는 방송. 통신 융합시대를 이끌어 갈 주역으로, 방송 .통신 업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므로 DMB 서비스의 성공은 전후방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DMB 서비스에 대하여 시장에서 요구하는 잠재적인 수요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잠재 소비자 1,00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경쟁 서비스에 대하여 DMB 서비스 포지셔닝(positioning)을 시도하였으며, DMB에 대한 홍보활동의 필요성, 콘텐츠에 대한 수용도, 사업자의 초기 시장진입 전략 등을 제안하였다.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지상파 차세대 TV방송 활성화 정책방안 - ASTC 3.0 부가서비스(UHD모바일) 규제 완화와 지원을 중심으로-

  • Mun, Myeong-Seok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5 no.3
    • /
    • pp.84-100
    • /
    • 2020
  • 미디어 환경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모든 미디어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어느 단말기기(Anydevice)로도 원하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 미디어 정책의 주요 변화가 있었을 때는 1995년 케이블방송 도입, 2002년 위성방송 도입, 2008년 IPTV 도입, 2013년 OTT의 등장이다. 국내의 경우 2012년 지상파TV의 디지털 전환도 큰 정책변화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국내 미디어 정책 및 제도는 미디어 환경변화와는 무관하게 여전히 매체별 접근에 기반한 미디어 산업 균형발전 논리를 추구하고 있다. 미디어 정책변화에 따른 지상파 차세대 TV방송(ATSC 3.0) 활성화에 대한 현안 사항을 쟁점별로 분석하여 정책방안을 제언하면 첫째, 아날로그 시대부터 유지되어온 국내 방송정책 및 법제의 플랫폼별 칸막이 규제를 풀어 지상파 플랫폼 규제를 완화하여야 한다. 둘째, 정부의 지상파 ATSC 3.0 부가서비스(이동)부터 규제 완화와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지상파 차세대 ATSC 3.0에 대한 재난매체 지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술중립적 서비스 허가체계인 Negative 규제방식을 도입하여 사업자의 기술결합과 기술혁신에 대한 유인 독려가 필요하다.

지상파 4K UHDTV 제1차 실험방송 결과와 향후 추진 계획

  • Im, Jung-Gon;Kim, Byeong-Seon;Ham, Sang-Jin;Jeon, Seong-Ho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8 no.2
    • /
    • pp.7-26
    • /
    • 2013
  • 지상파 방송 4사(KBS, MBC, SBS, EBS)는 지난 2012년 10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개월간 KBS 관악산 송신소에서 지상파 상용망에서 4K-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실험방송을 실시하였다. 세계 최초로 이루어진 실험인 만큼,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의 DTV 선진국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무선국 허가에서부터 송출, 전송, 수신, 평가 등 실험방송 기획, 구축 및 운용은 KBS에서 담당하였고, KBS를 포함한 각 사들은 4K UHDTV 실험방송용 콘텐츠의 기획, 제작, HEVC 부호화, TS 스트림 다중화를 담당하였다. 본 실험방송을 통해 지상파 방송사들은 6MHz 대역에서 4K-UHDTV 서비스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고, 콘텐츠 제작 노하우를 확보하였다. 더불어 방송망 계획을 위한 전송, 부호화, 수신 파라미터 도출에 성공하였다. 2012년의 1차 실험방송에서는 6MHz 대역을 활용한 100W급 4K-30프레임 송수신 실험, 관악산 송신소 중심 5km 반경 15개 지점에 대한 필드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013년에는 1kW급 4K-60 프레임 중심의 제2차 실험방송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상용 방송네트워크를 활용한 4K UHDTV의 조기 실현 가능성을 다각도로 파악할 가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An Evaluation of Broadcaster Licensing Policy in Korea since 1990 (1990년 이후 방송사업자 인허가정책에 대한 평가)

  • Jung, In-Sook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18
    • /
    • pp.199-229
    • /
    • 2002
  •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broadcaster licensing policy during 1990-2001 in Korea. It is to seek the answers about how the examin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applied to broadcaster licensing has been changed for the last decade.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quired six cases such as private broadcasting licence (1990 October), cable TV program provider licences(1993 July), cable TV system operator licences(1994 January), private local broadcaster licences(1994 July), satellite broadcaster licence(2000 December) and cable TV home shopping channel licences(2001 March). It examined the degree of specifi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standards based upon the government white paper; average points per item, average points per quantitative item, and average points per qualitative item etc. The government hadn't opened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how it licensed broadcasters until 1990 and the uncertain attitude brought distrust on the government broadcasting policy. The first white paper about broadcaster licensing was made in 1994 after cable TV broadcaster licensing was finish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broadcasting licensing policy rapidly developed in the dimension of transparency from 'a secret room policy' to 'a sunshine policy' for the last decade. But it still needs improvement in the dimension of fairness of examination. Now one of the main distrust is the ratio that the one of qualitative examination standards are much more than the qualitative one.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Redundant Transmission and Interleaving for WLAN Internet Local Broadcasting (무선랜 인터넷 지역 방송에서 복수전송과 인터리빙 효과 연구)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6
    • /
    • pp.43-48
    • /
    • 2012
  • In As the proliferation of wireless LAN and smart devices like smart phone, the importance of the wireless Internet local broadcasting service is increasing. In order to provide broadcasting data for the multiple devices, one-way roadcasting technology which could not support re-transmission, should be used and the receiving frame error is major problem. Furthermore unlicense devices cause interference to the receiver, burst frame error tends to be happened. In this paper, new method to overcome the burst and random frame error is proposed and the effect is analyzed.

A study on interactive digital publication TV broadcasting system composition by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위성통신을 이용한 대화형 디지털 독서출판 TV방송 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 강명구;진용옥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4 no.4
    • /
    • pp.845-852
    • /
    • 2000
  • In the 21s1 century, it may be possible to offer comprehensive service by integrating all communication media unde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without the classifica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will be begun to perform HDTV broadcasting by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area in 2001yr and will permit over 100 channels for satellite communication, thus multi-channel TV broadcasting age has com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ture environment of TV broadcasting and service area in ISDB age and to present new interactive type publication satellite TV transmission system, which provides customizing type digital screen book publication, by analyzing satellite broadcasting technology to create Korean cultural ar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PDF

Freedom of Broadcasting and on the Structure Restricting of Broadcasting in the Constitution (헌법상의 방송의 자유와 방송규제의 법리)

  • Cha, Su-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4
    • /
    • pp.164-172
    • /
    • 2008
  • For a long time, the basis of Korea Broadcasting law and regulation system has been center around television,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 of Korea Broadcasting law and regulation system. It precludes all doubts that freedom of broadcasting is one of those fundamental human rights that constitute the comer stones of democracy, just as is the case with the pr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regulations on the freedom of broadcasting under the Constitutional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viewpoint of freedom of expressio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inqures into the meaning and legal characters of freedom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and the structure restricting freedom of broadcasting on the ground of functions and role of broadcasting in our contemporary society, comparing with those of the Unites states of America and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rends on Technologies for Interoperability of Various Conditional Access Systems (접근제어시스템간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기술 동향)

  • Moon, J.Y.;Oh, B.J.;Paik, E.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5 s.101
    • /
    • pp.21-29
    • /
    • 2006
  • 허가받은 가입자만이 유료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접근제어시스템은 유료콘텐츠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이 된다. 현재 접근제어시스템시장은 업계 1, 2위를 다투는 NDS와 나그라비전의 시장 점유율 합이 70%를 넘는 독점적이고도 폐쇄적인 시장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접근제어시스템이 과금과 직결되기에 콘텐츠 사업자 및 셋톱박스 제조업체가 일단 하나의 접근제어시스템을 선택하고 나면 쉽게 다른 시스템으로 바꾸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가입자는 방송 서비스 사업자를 바꿀 때마다 새로운 셋톱박스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시장에서 다양한 접근제어시스템들이 공존하며 자유롭게 경쟁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들이 표준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접근제어기술에서 서로 다른 접근제어시스템간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기술 동향을 알아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