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시스템

Search Result 4,359,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Broadcasting Information System (웹 기반 방송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i Hyuk;Yum, Chang Sun
    • Smart Media Journal
    • /
    • v.6 no.1
    • /
    • pp.54-60
    • /
    • 2017
  • Recently, broadcasting companies have been faced with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emergence of new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cable TV and DMB, and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such as convergence i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media. To cope with these changes, broadcasting companies are showing increasing interest in building new broadcasting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presents how to develop a web-based broadcasting information system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broadcasting company. For developing the system, the study describes system configuration, business function relationship diagrams and business flow diagrams, entity relationship diagrams, major programs, and graphic user interfaces. The newly developed web-based broadcasting information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business productivity to a significant extent through faster decision-making and business execution in and out of the company.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Digital Public Address System with Sensing and Unicasting (센싱과 개별 방송이 가능한 지능형 디지털 전관 방송 시스템 개발)

  • Kim, Jung-Sook;Jung, Jun-Ho;Chung, Jang-Young;Song, Che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193-194
    • /
    • 2012
  • 현재 자연재해 증가와 응급 상황 발생이 빈번해짐에 따라 정부에서 소방법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빌딩에서는 응급 상황이나 자연 재해 발생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피를 위한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는 전관 방송 시스템 설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빌딩에 설비되어 있는 각종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받아 이들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빌딩 상황에 맞는 안내 방송과 응급 상황시 대피를 위한 안내 방송뿐만 아니라 빌딩에 있는 각 호수별로 ID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방송이 필요한 장소에만 개별 방송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The evaluation mechanism for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s based on the evaluation measures in information retrieval (맞춤형 방송의 통계적인 성능평가 방법)

  • Shin, Saim;Lee, Jong-Soel;Lim, Tae-Boem;Lee, Soe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729-732
    • /
    • 2007
  • 맞춤형 방송 솔루션은 디지털 TV 서비스 외에도, 향후 유망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IPTV, DMB 등의 다양한 방송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방송 서비스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성능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정보검색 시스템 평가에 사용하는 정확률, 재현률과 역순위 평균 수치를 적용하여 맞춤형방송의 추천결과와 실제 시청자의 시청 프로그램의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정확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통계적으로 평가 가능한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그 동안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지속적인 성능향상과 연구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의 산업화와 다양한 장비로의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Broadcasting Signal Monitoring System (다매체 방송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Suh, Young-Woo;Yim, Zungkon;Park, Sung-Ch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39-40
    • /
    • 2015
  • 방송망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을 위해 다양한 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신호의 특징상 송신 장비의 열화가 진행되더라도 수신 장비의 채널 복호 및 오류정정, 다양한 형태의 페이딩(fading) 간섭으로 인해 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운영 인력의 축소, 관리 대상 매체의 증가 등 방송사의 인력관리의 문제등도 감안할 때, 다양한 매체의 종합적인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집약적이고 시간 지속적인 측정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매체 다채널 방송 환경에서 효율적인 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해 집적화된 형태의 방송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매체의 튜너를 하나의 제어기에 연결하고 이를 스케줄링 기법에 의해 순차적으로 측정한 후 방송 품질의 핵심 파라미터 측정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단기 및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일간, 월간, 연간 신호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시간 및 계절에 따른 신호 품질의 변화 및 순간적인 방송 신호의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 PDF

Development of a Portable Transmission System for Verifying AT-DMB Services (AT-DMB 서비스 검증을 위한 휴대용 송출 시스템의 개발)

  • Bae, Byung-Jun;Lee, Ji-Bong;Song, Yun-Jeong;Lee, Soo-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92-194
    • /
    • 2010
  • AT-DMB 시스템은 계층 변조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모바일 방송 서비스로써 먼저 자리 잡은 지상파 DMB 방송과의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2배의 데이터 전송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AT-DMB 서비스가 상용 방송으로써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상파 DMB와는 차별성을 가지는 AT-DMB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상용 AT-DMB 수신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T-DMB 방송 서비스 및 수신기의 개발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AT-DMB 휴대용 송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휴대용 송출 시스템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설계 및 구현하여, 이미 검증된 AT-DMB 수신기로 구현된 기능을 검증한다. 또한 상용 지상파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상파 DMB 시스템과의 역호환성을 유지하는지 확인한다.

  • PDF

Transmission Performance Analysis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의 전송성능 분석)

  • Lee, Hyun;Park, So-Ra;Yang, Kyu-Tea;Hamn, Young-Kwon;Lee, Soo-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8 no.3
    • /
    • pp.228-237
    • /
    • 2003
  • Eureka-147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 on which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is based, was designed for the requirements of CD qualify audio with ${10}^{-4}$ bit error rate. Audio program may be primary service in DAB system, but multimedia program can be primary service in DMB system. Therefore, the bit error rate required must be below ${10}^{-7}$${10}^{-8}$ to transmit multimedia data via DMB channel.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and keep backward compatibility of DAB system we propose an outer channel coding scheme using Reed-Solomon coding and convolutional interleaving. This paper shows the simulation results for DMB channel performance based on mobile channel model. Also, it describes the needs and the effects of the outer channel cod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Mode Mobile Broadcasting EWS Encoding and Decoding Systems (멀티모드 이동 방송용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송·수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won, Ki Won;Park, Yong Suk;Park, Se Ho;Paik, Jong 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C no.12
    • /
    • pp.1281-1288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mode mobile broadcasting Emergency Warning System (EW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which enables the propag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using the encoding and transmission, reception and decoding methods specified in diverse mobile broadcasting standards. The implemented system supports global mobile broadcasting standards such as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ISDB-T), and the Digital Radio Mondiale (DRM) digital radio standard. The system consists of two key part: an encoding/transmission part and a reception/decoding part. The multi-mode mobile broadcasting EWS encoding and transmission system generates EWS data according to each broadcasting specification. The generated EWS data is then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interface which meets the commercial broadcasting equipment specification. The receiver system receives and decodes the EWS data on a single hardware platform and can display the results on screen. Verification and conformity testing has been carried out on the implemented system by transmitting emergency data for each mode in real-tim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ext on the receiver display.

Design of Remote Broadcasting System Using LTE Moudule (LTE 모듈을 활용한 원격방송 시스템 설계)

  • Chae, Min-uk;Lee, Cho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9-391
    • /
    • 2019
  • In this study, we design a remote broadcasting system that can output announcement to a remote place using wired/wireless telephone. The designed remote broadcasting system uses the LTE module to amplify the telephone voice received wirelessly through the amplifier and output it. Also, a text message for broadcasting can be sent to a remote broadcasting system through a wired/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and the remote broadcasting system that receives the broadcasting text message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corresponding announcement stored in the voice device. For security reason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is analyzed by a comparison algorithm so that only the administrator and registered users can use the system. At this time, the recorded announcement broadcast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only when it is confirmed as the registered user. The system designed in this study allows the user to output announcements quickly without being limited by time and place.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TV Additional Service (디지털 방송 부가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재호;박용국;송병철;원광호;황인출;이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385-388
    • /
    • 2002
  • 최근 디지털 방송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다양한 방송 부가서비스가 가능하게 되고 소비자 또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방송매체와 통신을 결합시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전화와 디지털 방송을 연동하여 특정 채널시청에 따른 소비자 보상시스템을 개발하여 무료 및 할인 전화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