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율

검색결과 1,181건 처리시간 0.052초

드론 열화상 화소값의 타겟 온도변환을 위한 방사율 영향 분석 (Study on the Effect of Emissivity for Estima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from Drone-based Thermal Images)

  • 조현정;이재왕;정나영;오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9
    • /
    • 2022
  • 최근 열화상 카메라의 수요 증가와 함께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연구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기존의 드론에 열화상 카메라를 부착하여 촬영하는 등의 단순 촬영에서 나아가 열 영상 처리를 통한 디지털 트윈 구축, 영상화된 데이터를 통한 관리 시스템 구축 등 열 영상 처리 후 데이터를 응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화상 카메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소값인 DN값(Digital Number)이 실제 표면 온도로 변환하기 위한 관계식 유도과정에서 방사율이 DN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DN값은 열 영상의 스펙트럼 밴드 값을 나타내는 숫자로 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DN값은 실제 표면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값이 아닌 열이 높고 낮음을 밝기로 표시한 밝기 값으로 실제 표면 온도와 비 선형적인 관계이다. 그러므로 열화상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 이미지의 DN값을 실제 표면 온도와 관계성을 보일 수 있다면 데이터를 처리하기 수월하며, 더 많은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실제 표면 온도와 열 영상의 DN값의 관계를 분석하고, 열화상 카메라와 같은 원리로 작용하는 비접촉 열화상 온도계가 실제 표면 온도에 근접한 참값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방사 조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제 표면 온도 및 DN값의 관계 그래프와 방사 조정된 비접촉 열화상 온도계 및 DN값의 관계 그래프가 유사한 선형관계를 보였으며 방사율을 조정하기 전보다 조정한 후의 비접촉 온도가 실제 표면 온도에 더 근접한 결과를 얻었다.

AMP와 $MnO_2$에 대한 방사성핵종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Radionuclides on AMP and $MnO_2$)

  • 김창규;김철수;김용재;노병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15-12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AMP와 $MnO_2$에 대한 해수중 방사성 핵종 및 안정원소들의 흡착율을 검토하였다. $^{137}Cs$, $^{85}Sr$$^{131}I$에 대한 AMP의 흡착율은 각각 97.5%, 11.8% 및 15.1%를 나타낸 반면, 기타 다른 핵종 및 원소에 대한 흡착율은 6% 미만이었다. $MnO_2$에 대한 흡착율은 $^{40}K$, $^{137}Cs$$^{203}Hg$를 제외한 대부분의 방사성핵종 및 안정원소에 대해 90% 이상이였으나, $^{40}K$, $^{137}Cs$$^{203}Hg$의 흡착율은 8% 미만이였다.

  • PDF

감마선 검층자료를 이용한 국내 대심도 시추공 암반의 열생산율 평가 (Evaluation of Heat Production in Deep Boreholes by Gamma-ray Logging)

  • 조영욱;김명선;이근수;박인화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4권1호
    • /
    • pp.20-27
    • /
    • 2021
  • 암석의 열생산율은 구성 광물 내 방사성 동위원소의 방사성 붕괴와 감마선 방출에 의한 열에너지에 기인하며, 그 크기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인 U, Th, K의 함량에 지배적이다. 그러므로 암반의 열생산율은 암석의 밀도와 주요 동위원소의 함량에 기반해 평가할 수 있다. 심부 암반의 열생산율 평가에 필요한 방사성 동위원소의 농도는 시추공에서 회수된 암추 또는 암편에 대한 질량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대심도 시추공의 경우 요구되는 분석량과 그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문제로 적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시추공을 대상으로 하는 물리검층 중 암반의 감마선 스펙트럼으로부터 U, Th, K의 함량을 유추할 수 있는 기술이 있지만, 열생산율 평가를 위해 별개의 밀도검층 자료를 필요로 하며, 상용화된 장비의 적용 심도 또한 아직은 제한적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시추공 암반이 방출하는 감마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자연 감마선 검층 결과로부터 열생산율을 유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국내외에서 비교적 쉽게 암반의 열생산율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기술보고에서는 국내 상용화된 대심도 시추공 물리검층 장비 및 기술을 활용해 감마선 검층 기반의 열생산율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국내 약 2 km 깊이의 대심도 시추공에 대한 적용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복사 장치를 이용한 온도와 형상계수의 변화에 따른 방사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Emissivity with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Shape Factor Using the Radiation Apparatus)

  • 김청래;정병철;강형석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135-140
    • /
    • 2005
  • Voltage of radiometer is measured experimentally using the radiation apparatus in each case of iron- and copper-plates as specimen heating device. The length between radiometer and conical shield and the temperature of specimen heating device are considered as variables. The length between radiometer and conical shield controls the amount of radiation from the specimen heating device. Emissivity for both iron-and copper-plates are calculated by using Stefan-Boltzmann equation. One of results shows that emissivity for both materials increases as the length between radiometer and conical shield increases.

  • PDF

안전모내 탈취효과 증대를 위한 내피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safety inside skin for more efficient deodorization in safety helmets)

  • 최명호;지용헌;곽상영;이재영;황상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104-2105
    • /
    • 2008
  •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착용하는 안전모는 안전모 본연의 기능 때문에 통풍의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들은 작업 시 많은 땀을 흘리게 되며 작업자들이 흘리는 땀은 머리받침 끈과 머리고정대등에 흡수되어 각종세균을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냄새가 나게 된다. 최근 들어 원적외선 방사율이 뛰어난 천연소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원적외선은 항균과 탈취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나열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소재와 수분의 흡,배출 능력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하여 안전모내부의 냄새와 세균번식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톱밥·귤박 혼합보드로 제조한 세라믹의 표면온도 변화 및 원적외선방사 특성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and Far-infrared Emissivity in Ceramics Manufactured from a Board Mixed with Sawdust and Mandarin Peel)

  • Hwang, Jung-Woo;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66-79
    • /
    • 2019
  • 본 연구는 톱밥과 농업부산물인 귤박을 이용하여 보드를 제조하고 세라믹화 하여 표면온도 및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조사하였다. 세라믹의 표면온도는 경과시간 10분까지는 급속히 상승하였고, 30분 후에는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귤박 혼합율별로는 별 영향이 없었다. 원적외선 방사율은 귤박 혼합율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탄화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