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사성 복사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Ultra-wideband Antipodal Vivaldi Antenna with H-shaped Parasitic Patches (에이치(H)자 형태의 기생패치를 가진 초광대역 안티포달 비발디 안테나)

  • Jung, Dongke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9
    • /
    • pp.1642-1648
    • /
    • 2017
  • Ultra-wideband antennas are desired for several applications including satellite communications, radars, remote sensing system, telescopes, and microwave imaging systems. There are many types of wideband antenna structures, but the tapered slot Vivaldi antenna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weight, scan angle capabilities, end-fire radiation, and ease of feeding and system integration. In this paper, a modified antipodal Vivaldi antenna is presented. A novel AVA with H-shaped parasitic patches has the capacity to improv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in the whole operation frequencies. A prototype of the modified antenna with RT/duroid 5880 substrate of a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epsilon}_r$) of 2.2, and a thickness of 31mil is fabricated and experimentally studied as well. It measures a ${\mid}S_{11}{\mid}$ of less than -10dB and gain of 9-12dBi over 7.8-52.5GHz which shows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simulated one.

Development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 진공예냉장치 개발)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5-201
    • /
    • 2002
  • 입고ㆍ예냉ㆍ출고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진공압력을 작물의 품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챔버내에 콜드트랩을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예냉장치를 개발하여 고랭지 배추와 느타리버섯, 상추를 대상으로 예냉성능을 평가하고 예냉이 이들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 새로 개발된 진공식 예냉장치는 공급컨베이어, 좌우 자동 슬라이딩 문, 이송컨베이어, 진공챔버, 진공펌프 콜드트랩, 냉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를 공급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작동을 시작하면, 입구문이 열리고 팔레트가 진공챔버내로 이송되면,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챔버내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콜드트랩과 냉동기가 작동되어 예냉이 시작된다. 예냉이 완료되면 출구문이 열리고 이송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나. 제작된 예냉장치의 예냉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고랭지 배추, 상추를 대상으로 냉각속도, 냉각균일도, 예냉후 저장중 품질변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결과 냉각소요시간은 느타리버섯의 경우 초기품온 15.2$^{\circ}C$에서 $1.5^{\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고랭지배추는 13.5$^{\circ}C$에서 3.7$^{\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18분, 상추는 13.4$^{\circ}C$에서 2.$0^{\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소요되었다. 평균냉각속도는 느타리버섯이 34.3$^{\circ}C$/h, 고랭지배추 32.6$^{\circ}C$/h, 상추 28.5$^{\circ}C$/h로 나타났다. 라. 또한 각층간의 냉각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상자내에서 표면 품온과 내부품온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였다.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

  • PDF

X-ray Image Processing for the Korea Red Ginseng Inner Hole Detection (홍삼 내공검출을 위한 X-선 영상처리기술)

  • 손재룡;최규홍;이강진;최동수;김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57-463
    • /
    • 2002
  • 이 연구는 x-선 투과영상을 이용하여 홍삼의 내공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x-선관에 조사되는 x-ray 양의 차이에 따른 위치별 밝기 값 차이를 보정하고 내공 검출에 적합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x-선관에 조사되는 x-ray양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하며, 이것은 위치에 따른 gray 값의 분포가 달라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2) 홍삼을 2치화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x-선 조사강도에서 입력된 원 영상에서 빈 영상을 뺀 감산 영상을 만들어 줌으로써 가능하였다. 3) 조사강도 별 감산영상처리 결과 36kV/4.15mA와 39kV/4.15mA에서는 조사량이 많아서 홈삼 지근 부분의 영상이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4) 내공 검출을 위해서는 정상부분과 내공부분의 자기 값 차이를 크게 하는 전처리 영상을 만들 필요가 있었고, multiple 감산영상에서 뚜렷한 골짜기가 나타났으나 주근의 내공부분의 밝기값 보다 지근의 정상부분의 자기 값이 더 낮게 나타나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홍삼 위치에 따라 부분 보정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5) x-선관의 놓인 위치에 따라서 내공판정시험 결과 중심에 있을 때에 비해 가장자리에 있을 때는 영상이 일부 손실되었으며, 중심 위치에서 서로 다른 굵기의 홍삼에 대해서는 모두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6) 완전한 홈삼으로 내공판정시험 결과 내공주위의 정상부분가지도 일부 내공으로 잘못 검출되었으나 이것을 재차 line profile에 의해 한 라인씩 문턱 값을 설정하여 내공만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양체의 접종작업은 모든 배양실이 인력에 의존하였으며, 배양체를 배지와 분리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배양작물에 따라 생육정도를 2~3등급으로 구분하여 배양용기의 배지 위에 치상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으며, 작업능률은 호접란의 경우 배양병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6병, 심비디움은 원형 플라스크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10병 정도였다. 바. 식물체의 대량증식에 사용되는 플라스크, 배양병, PE용기 등 배양용기의 세척작업은 농원의 1개배양실에서 간이식 세척기, 이 외의 9개배양실은 모두 물에 담겨 두었다가 세제와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인력으로 세척하고 있어 생력화 기술개발이 요구되었다.도가 빠를수록 건조속도가 빨라졌으며, 건조에너지도 1,334kcal/kg.water로 비슷하게 소요되었다. 마. 시험구와 대비구의 건감률은 시험구에서 1.08~1.36w.b./h로 나타나 대비구보다 약 9.9~18.3%가 높게 나타났고, 건조에너지는 10.2~14.6%가 절감되었다. 발아율은 열풍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시험구가 대비구보다 발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동할률 증가량도 원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System to Measure Transmitted Ultrasonic Speed of Raw Ginseng (수삼의 초음파 전달속도 계측 자동화 시스템 개발)

  • 서동현;김기대;강호양;김찬수;이현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92-59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수삼의 가공전 선별을 위해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초음파 전달 속도 계측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시스템은 제어용 컴퓨터, 시스템 구동 및 탐촉자 이동 장치, 하중 변환장치, 초음파 발생 및 송수신 장치 등으로 구성되었다. 2. 제어 및 계측용 프로그램은 압축력, 측정 대상물의 크기, 초음파 전달 시간을 순차적으로 계측하여 초음파 전달 속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Visual Basic 6.0으로 작성되었다. 모터의 작동, A/D 변환, RS232C 통신 등과 관련된 부분은 각각의 모듈화된 함수로서 구동하고자 하였다. 3. 개발된 시스템의 속도와 거리별 이동 거리별 오차를 측정한 결과 0∼0.04mm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 값은 시스템의 허용오차인 0.17mm 오차보다는 현저히 작은 값이었고 15mm/s와 30mm/s의 이동 속도에서 모두 비슷한 크기의 오차값을 나타내었다. 4. 개발된 시스템의 속도별 반복정밀도 실험 결과 측정위치에서의 반복에 의한 정지 위치 오차는 전 구간에서 0.02mm 이내로 나타났고, 이동 평판의 이동속도가 15mm/s였을 경우에는 이동 회수 30회, 이동 거리 60mm일 때 최대 편차 0.019mm를 나타냈으며 이동속도가 30mm/s일 경우에는 이동 회수 40회, 이동거리 20mm에서 0.02mm의 최대 편차를 나타내었다. 5. 5개의 알루미늄 조각의 크기를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 측정값의 최대 편차는 0.08mm였다. 이 값은 시스템의 허용오차인 0.17mm의 50% 수준으로 시스템은 대상물의 크기 측정에 적당하다고 사료되었다. 6. 절단된 수삼의 초음파 전달속도는 평균 396.4m/s였다.를 축열재로 사용할 경우 재생기를 반으로 나누어서 가열부 쪽에 철선을, 냉각부 쪽에 철망을 삽입한 것이 반대로 삽입한 것보다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

  • PDF

A Study of Uniformity Test in PET/CT (PET/CT 장치의 uniformitly측정에 관한 연구)

  • Kim, Su-Keun;Jung, Hee-Il;Park, Soung-Ock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1
    • /
    • pp.13-19
    • /
    • 2006
  • The PET scanner can detect the photon pair arriving from the source in phantom. The number of light photons released by the crystal(scintillator-BGO or LSO). In recent scintillation crystals in block structures were incorporated into full ring systems, and their resulted marked improvement in spatial resolution and increase in a sensitivity to annihilations. The uniformity of the crystal sensitivity is very important to makes correct information of abnormal states in organs. These factors influenced by the dection efficiency of the scintillators. We have study about the uniformity of crystals to the annihilation, And study about the standard deviation to average counts.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in central detector groups more uniformed than circumferenced detector groups. It is caused detected quanta of gamma ray by the geometrical factors of PET detector. PET cameras are available with different geometric arrangement and several parallel rings orien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center groups from 7th to 40th groups are comparatively uniform and sensitive. But at the circumferenced detectors decreased the sensitivity and uniformity.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proof performance of fire damper according to change of the insulation conditions on the exposed side and unexposed side of the coaming (코밍 노출면 방열 두께 및 비 노출면 방열 길이 변화에 따른 방화 댐퍼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Tai-Jin;Kim, Joung-Sik;Lim, Young-Soo;Lee, Kyung-Hyun;Kang, Ho-Keun;Park, Sung-Ho;Kim, You-Tae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8 no.1
    • /
    • pp.99-104
    • /
    • 2014
  • In this paper, Fire resistance tes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insulation conditions on the exposed side and unexposed side of the coaming to obtain optimal insulation conditions for class H-120 insulation in connection with specimen-1 of the preceding paper for the evaluation of fireproof performance for fire dampers according to hydrocarbon fire conditions. As a test result, specimen-2(88 mm, $171^{\circ}C$) was satisfied class H-120 insulation, but specimen-3(76 mm, $181^{\circ}C$) was exceeded thermal insulation acceptance criteria at 110 minutes, therefor, specimen-2(88 mm) is optimal insulation conditions as possible lightweight than specimen-1. Test result comparison, we concluded that temperature rising of the coaming insulation surface was influenced by conductive heat from the bulkhead, and coaming surface was influenced by radiant heat from blade & coaming.

The Effect of Shading on Pedestrians' Thermal Comfort in the E-W Street (동-서 가로에서 차양이 보행자의 열적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 Ryu, Nam-Hyong;Lee, Ch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6
    • /
    • pp.60-74
    • /
    • 201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destrian's thermal environments in the North Sidewalk of E-W Street during summer heatwave. We carried out detailed measurements with four human-biometeorological stations on Dongjin Street, Jinju, Korea ($N35^{\circ}10.73{\sim}10.75^{\prime}$, $E128^{\circ}55.90{\sim}58.00^{\prime}$, elevation: 50m). Two of the stations stood under one row street tree and hedge(One-Tree), two row street tree and hedge (Two-Tree), one of the stations stood under shelter and awning(Shelter), while the other in the sun (Sunlit). The measurement spots were instrumented with microclimate monitoring stations to continuously measure microclimate, radiation from the six cardinal directions at the height of 1.1m so as to calculate the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UTCI) from 24th July to 21th August 2018. The radiant temperature of sidewalk's elements were measured by the reflective sphere and thermal camera at 29th July 2018. The analysis results of 9 day's 1 minute term human-biometeorological data absorbed by a man in standing position from 10am to 4pm, and 1 day's radiant temperature of sidewalk elements from 1:16pm to 1:35pm, showed the following. The shading of street tree and shelter were mitigated heat stress by the lowered UTCI at mid and late summer's daytime, One-Tree and Two-Tree lowered respectively 0.4~0.5 level, 0.5~0.8 level of the heat stress, Shelter lowered respectively 0.3~1.0 level of the heat stress compared with those in the Sunlit. But the thermal environments in the One-Tree, Two-Tree and Shelter during the heat wave supposed to user "very strong heat stress" while those in the Sunlit supposed to user "very strong heat stres" and "exterme heat stress". The main heat load temperature compared with body temperature ($37^{\circ}C$) were respectively $7.4^{\circ}C{\sim}21.4^{\circ}C$ (pavement), $14.7^{\circ}C{\sim}15.8^{\circ}C$ (road), $12.7^{\circ}C$ (shelter canopy), $7.0^{\circ}C$ (street funiture), $3.5^{\circ}C{\sim}6.4^{\circ}C$ (building facade). The main heat load percentage were respectively 34.9%~81.0% (pavement), 9.6%~25.2% (road), 24.8% (shelter canopy), 14.1%~15.4% (building facade), 5.7% (street facility). Reducing the radiant temperature of the pavement, road, building surfaces by shading is the most effective means to achieve outdoor thermal comfort for pedestrians in sidewalk. Therefore, increasing the projected canopy area and LAI of street tree through the minimal training and pruning, building dense roadside hedge are essential for pedestrians thermal comfort. In addition, thermal liner, high reflective materials, greening etc. should be introduced for reduc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shelter and awning canopy. Also, retro-reflective materials of building facade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control of reflective sun radiation. More aggressively pavement watering should be introduced for reduc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sidewalk's pavement.

CFD analysis of the effect of hydrogen jet flame in road tunnel (도로 터널 내 수소 제트 화염에 대한 CFD 해석 연구)

  • Park, Jinouk;Yoo, Yongho;Kim, Hwiseo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4 no.6
    • /
    • pp.629-636
    • /
    • 2022
  • Domestic eco-friendly vehicles currently account for 5.8% of the total registered vehicles in Korea. Hydrogen vehicles, one of the representative eco-friendly vehicles, have grown rapidly as they have been expanded to the market based on the government's policy to boost the hydrogen industry. Therefore, it is time to expand the safety review of hydrogen vehicles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uppl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ternal heat damage was analyzed when a jet flame was generated by a hydrogen car in a road tunnel. It was simulated using Fluent, and the amount of jet flame injection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hydrogen tank capacity of commercial hydrogen vehicles for road tunnels.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irection of the jet flame and the nozzle distance from the tunnel wall as variables. From the results, when the jet flame erupted in the road tunnel, high radiant heat emission of more than 20 kW/m2 was generated in most areas within ±5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vehicle (spray nozzle) and 5 to 7 m in the lateral direction based on the adjacent tunnel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