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성토양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초

대두품종(大豆品種)과 선발(選拔) Rhizobium japonicum간의 숙주(宿主) 친화성(親和性) (Host Specificities Between Soybean Varieties and Rhizobium japonicum Strains)

  • 김창진;이윤;김성훈;유익동;민태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5-350
    • /
    • 1986
  • 우수(優秀) 대두접종제(大豆接種劑)로 이용할 균주(菌株)의 선발을 목적으로 국내(國內)에서 선발한 R. japonicum 균주(菌株)들과 현재 대두장려품종으로 보급되고 있는 대두품종들과의 상호(相互) 접종실험(接種實驗)을 통하여 숙주친화성(宿主親和性) 정도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 근류균주별(根瘤菌株別) 대두품종(大豆品種)과의 친화성(親和性) 정도를 보면 R. japonicum R-214, R-138 균주(菌株)가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 및 총(總)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도 높아 대두품종(大豆品種)과 친화성(親和性) 범위가 비교적 넓었으며 R. japoncum R-224 균주(菌株)는 아주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균(根瘤菌)과의 친화성(親和性)은 황금(黃金)콩, 장백(長白)콩 등이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장엽(長葉)콩, 단엽(短葉)콩, 백운(白雲)콩, 동북태(東北太) 등의 순이었고 방사(放射)콩이 제일 낮았다. 3. 일반적으로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이 우수(優秀)한 균주(菌株)가 열등한 균주(菌株)보다 숙주친화성(宿主親和性) 범위가 넓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대전지역 토양에서 유해 방사성가스인 라돈 농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armful Radioactive Gas(Rn$_222$)-Concentration in Soils, Taejeon City)

  • 김승오;김해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489-496
    • /
    • 1997
  • The ar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armful radioactive gas($Rn^{222}$)-concentrations in soils and to suggest the anormalous regions of $Rn^{222}$-concentration in Taejeon area. The range of $Rn^{222}$-concentration in the soils (45 samples) of the survey area is 100 to 2, 475 (pCi/L) and mean$\pm$$\sigma$ of those values is 489$\pm$ 505 (pCi/L). The 2% (4 samples) of soil-gas samples (45 ones) collected In the survey area is corresponded to high rusk level, 53% (24 samples) to medium one and 43% (19 samples) to low one. Especially. The $Rn^{222}$-concentration is relatively higher in schistose granite region than in other rock Mts (two-mica granite and biotite ganite) in the survey area. The $Rn^{222}$-concentration is propotional to the uranium contents in the soils. The soil hardness among the various factors is correlative with $Rn^{222}$-concentrations. To prevent the damage from $Rn^{222}$-concentrations,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cracks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to consider methods reducing $Rn^{222}$-concentration for the anormalous regions.

  • PDF

국내 화산암 지역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 물질에 대한 환경 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Radionuclides in Groundwaters in Volcanic Rock Areas: Korea)

  • 정도환;김문수;주병규;홍정기;김동수;김현구;김혜진;박선화;한진석;김태승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36-45
    • /
    • 2013
  • We analyzed natural radionuclides in 80 wells in volcanic rock areas and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to $9.70{\mu}g/L$ (median value: 0.21) ${\mu}g/L$, 38~29,222 pCi/L (median value: 579), respectively. In case of gross-${\alpha}$, 26 samples exceeded MDA (minimum detectable activity, < 0.9 pCi/L) value and the activity values ranged from 1.05 to 8.06 pCi/L.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s did not exceed USEPA MCL (maximum contaminant level) value of Uranium ($30{\mu}g/L$) and gross-${\alpha}$ (15 pCi/L). But Rn concentrations in 4 samples exceeded USEPA AMCL (Alternative maximum contaminant level, 4,000 pci/L) and one of them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29,222 pCi/L) than the others. The levels of uranium concentrations in volcanic rock aquifer regions were detected in order of andesite, miscellaneous volcanic rocks, rhyolite, basalt aquifer regions. Radon, however, was detected in order of miscellaneous volcanic rocks, rhyolite, andesite, basalt aquifer reg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ranium and radon was r = 0.45, but we found that correlations of radionuclides with in-situ data or major ions were weak or no significa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depth of wells and uranium concentrations was a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depth of wells and radons.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volcanic rock aquifers showed lower levels than those of other rock aquifers such as granite, metamorphic rock aquifers, etc. This result may imply difference of host rock's bearing-radioactive-mineral contents among rock types of aquifers.

국내 변성암 지역 음용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238U, 222Rn)의 환경 특성 연구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238U, 222Rn) Concentration in Drinking Groundwaters of Metamorphic Rock Areas: Korea)

  • 주병규;김문수;정도환;홍정기;김동수;노회정;윤정기;김태승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3호
    • /
    • pp.82-92
    • /
    • 2013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238}U$, $^{222}Rn$) for 353 drinking groundwater wells in metamorphic rock areas in Korea. Uranium concentrations ranged from N.D (not detected) to 563.56 ${\mu}g/L$ (median value, 0.68 ${\mu}g/L$) and radon concentrations ranged from 108 to 11,612 pCi/L (median value, 1,400 pCi/L).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generally are similar to USA with similar geological setting. Uranium concentrations in 9 wells (2.6%) exceeded 30 ${\mu}g/L$, which is the maximum contaminant level (MCL)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radon concentrations in 46 wells (13%) exceeded 4,000 pCi/L, which is the Alternative MCL (AMCL) by the US.EPA. The log-lo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ranium and radon was 0.3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ranium and pH was 0.12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adon and temperature was -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ranium and $HCO_3$ was 0.09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ranium and Ca was 0.11. The median value of uranium was high Chung-Buk (1.78 ${\mu}g/L$), Gyeong-Buk (1.37 ${\mu}g/L$), In-Cheon (1.06 ${\mu}g/L$) for each province. On the other hand, the median value of radon was high In-Cheon (2,962 pCi/L), Chung-Buk (2,339 pCi/L), Jeon-Buk (2,165 pCi/L) for each province. Jeon-Buk for log-log correlation coefficient is the highest (0.63) among provinces.

깊이별 토양 휴믹산과 풀빅산의 특성 분석: 양성자교환용량, 원소성분비, 13C NMR 스펙트럼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from Soils in Different Depth: Proton Exchange Capacity, Elemental Composition and 13C NMR Spectrum)

  • 신현상;이창훈;이동석;정근호;이창우
    • 분석과학
    • /
    • 제16권4호
    • /
    • pp.283-2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깊이별 토양시료에서 추출한 휴믹산과 풀빅산의 산성 작용기 및 구조 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토양 깊이별 방사성 핵종 농도 분포 및 이동성에 대한 휴믹물질의 역활 규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휴믹산과 풀빅산 분자의 산성작용기 특성은 pH 적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성자교환용량 (PEC) 및 평균 $pK_a$ 값을 얻었다. 휴믹산과 풀빅산의 구조적 특성은 원소성분비 분석 및 CPMAS $^{13}C$ NM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H 적정 분석 결과, 휴믹산의 PEC 값은 $3.8{\sim}4.8meq\;g^{-1}$의 범위이었다. 풀빅산은 휴믹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5.5{\sim}7.0meq\;g^{-1}$의 PEC 값을 보였다. 깊이별 토양 휴믹산은 표층에서 보다 하층 (> 8 cm)에서 더 높은 PEC 값을 나타냈다. 원소성분비 (H/C) 및 $^{13}C$ NMR 스펙트럼 분석 ($C_{arom}/C_{aliph}$) 결과, 휴믹산이 풀빅산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방향족성이 높고, 카르복실기 탄소 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깊이별 비교의 경우, 휴믹산은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방향족성 및 카르복실 탄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풀빅산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함량 분포를 보였다.

벼 재배 Lysimeter 환경에서 제초제 $^{14}C$-molinate의 분포 및 이동성 평가 (Distribution and Mobility of Herbicide $^{14}C$-Molinate in a Rice-Paddy-Soil Lysimeter)

  • 박병준;김찬섭;박경훈;박현주;임건재;최주현;심재한;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2-182
    • /
    • 2006
  • 벼 재배환경 중 lysimeter를 이용하여 $^{14}C$-molinate를 처리한 후 20주 동안 조사한 결과 총 용탈수량은 lysimeter 토양의 2.31 pore volume인 217,465 mL 이었으며, 용탈된 방사능은 1년차 실험에서 1.05%, 2년차 실험에서는 0.34% 수준이었다. 지표면에서 방출된 $CO_2$ 양은 1년차 실험이 6.47%, 연속 실험한 2년차 실험이 0.03%로 약 500배 가량 감소되어 검출되었다. 토심별 방사는 분포는 1년차 실험의 경우 토심 $0{\sim}10cm$는 18.0%, $10{\sim}20$ cm은 4.3%로 분포되어 토심 20 cm 이내에 90%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토양에 총처리 방사능의 24.8%가 잔류되었다. 또한 2년차 실험에서는 토심 $0{\sim}10$ cm는 13.3%, $10{\sim}20$ cm는 1.1%로 분포되었고, 처리 방사능의 18.0%가 토양에 잔류되었다. 수확 후 벼로 흡수 이행된 $^{14}C$-molinate의 방사능은 처리방사능의 11.46%이었으며, 그 분포는 볏짚 11.11%, 현미 0.24%, 왕겨 0.08%, 그리고 이삭이 0.03%로 주로 볏짚에 분포되어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잎과 줄기에 축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수확 후 lysimeter의 표지물질의 종합적인 분포비는 최초 처리한 방사능의 25.24%는 토양에, 11.64%는 벼에 분포하였으며, 1.05%는 용탈수로 용탈되었고, 0.02%는 휘산성 유기화합물로 전환되었으며, 6.47%는 $^{14}CO_2$로 무기화되어 총회수율은 44.42%이었다. 처리 방사능의 55.58%는 소실되었는데 이는 주로 물중에서의 휘산과 수도체로 흡수 이행되어 휘산되었다.

부분관통정의 유사표피인자 계산을 위한 새로운 방법 (A New Method to Calculate Pseudoskin Factor of a Partially-Penetrating Well)

  • Lee, Kun-Sang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2-47
    • /
    • 1999
  • 층간 교차유동이 일어나는 다층 대수층에 존재하는 부분 관통정에서의 유사정상상태 유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관통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감소를 나타내는 유사표피인자를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해법을 제시하였다. 이 해법은 기존에 제시되었던 방법들이 가진 기하학적 또는 계산시간 상의 한계성을 극복한 것이다. 본 계산을 위하여 폐쇄 대수층에서의 장기 압력 거동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유사정상상태 확산방정식을 방사형 시스템에 적용하고 그 해를 이용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원통좌표계 시스템에서 본 해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기존의 결과와 비교해볼 때 본 해법을 이용할 경우 최소의 계산량으로 매우 정확한 유사표피인자 값을 계산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해법은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시스템에 매우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 PDF

흡착재의 종류에 따른 경화체의 라돈가스흡착 특성 (Properties of Radon Gas Absorption of Matrix According to Types of Absorbent)

  • 권오한;임현웅;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2017
  • 라돈은 토양이나 암석, 지하수 안에서 우라늄(U-238)이 핵분열 할 때 발생하는 무색, 무취, 무미의 반응성이 거의 없는 비활성 단원자 분자 기체로 반감기 동안 연쇄적으로 붕괴하는데 이때 방사성 핵종(Bi, Po, Pb)이 만들어 지며 이를 자손핵종이라 한다. 이는 공기 중의 먼지 등에 흡착하여 사람이 호흡할시 폐에 흡착하여 붕괴하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알파선에 장기간 피폭하면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질에 관한 기준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내 라돈가스를 최소화 하고 저감하기 위한 무시멘트계 흡착재를 연구개발 하기위한 기초실험으로 흡착재의 첨가량에 따라 유동성 및 강도는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이는 흡착재의 밀도 및 공극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라돈가스 농도의 경우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가장 적합한 흡착재를 활용하여 보다 세밀하고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경화체상의 기초실험을 통해 추후 건축 마감재에 관한 실험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활성탄소 입도에 따른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공극특성과 흡착성능 평가 (Pore Characterisitics and Adsorp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agnesium Oxide Matrix by Active Carbon Particle Size)

  • 편수정;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9-65
    • /
    • 2018
  • 라돈가스는 암석이나 토양 등에 존재하는 자연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이 붕괴할 때 발생하는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이다. 인체가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5%는 자연 방사선에 의한 것이고, 그 중 50%가 라돈가스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라돈가스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흡연자는 1,000명 중 62명, 비흡연자는 1,000명 중 7명이 폐암 발병률에 노출된다. 이러한 라돈가스의 위해성을 저감하고자 활성탄소를 사용하여 경화체를 제작하여 그에 대한 공극 특성과 라돈가스 저감 특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성탄소를 활용하였을 경우, 측정기간이 길어질수록 라돈가스 농도는 급격한 저감과 그래프 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성탄소의 재료적 특성 중 하나인 공극 분포와 미세공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우라늄 오염 동전기 침출액의 재이용을 위한 침전-여과 방법 (Precipitation-Filtering Method for Reuse of Uranium Electrokinetic Leachate)

  • 김계남;손동빈;박혜민;김기홍;이기원;문제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71
    • /
    • 2011
  • 우라늄 오염토양을 동전기제염 시 많은 양의 동전기 침출액이 발생한다. 발생된 우라늄 침출액을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기술이 개발되었다. 동전기제염 시 발생된 우라늄침출액 내의 우라늄농도는 180 ppm이었고, Mg(II), K(I), Fe(II), Al(III) 농도는 20 ppm~1,210 ppm이었다. 우라늄침출액의 최적 처리공정은 혼합, 응집, 침전, 농축, 그리고 여과로 구성된다. 침전액의 pH를 11로 맞추기 위해, calcium hydroxide는 3.0g/100ml 그리고 sodium hydroxide는 2.7g/100ml이 필요했다. 여러 침전실험 결과 NaOH+0.2g alum+0.15g magnetite가 여과를 위한 최적 침전혼합제로 선정되었다. NaOH+0.2g alum+0.15g magnetite 투입 시 침전입자의 평균크기는 $600\;{\mu}m$이었다. pH=9에서 침전 후 상등액에 총 금속농도가 가장 낮았기 때문에, 최적 침전을 위하여 먼저 0.2g/100ml alum와 0.15g/100ml magnetite 투입한 후 pH=9일 때까지 sodium hydroxide을 투입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