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사선 비상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COVID-19: Focusing on Medicine Journals of MEDLINE in Korea (COVID-19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 MEDLINE 등재 국내 의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

  • Mijin Seo;Jisu L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3
    • /
    • pp.135-161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COVID-19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5 MEDLINE journals in 'Medicine and Pharmacy' studies and a total of 800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uthors from domestic affiliations made up 76.96% of the total, and the proportion of authors from foreign institutions decreas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The authors' majors were 'Internal Medicine' (32.85%), 'Preventive Medicine/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23%), 'Radiology' (5.74%), and 'Pediatrics' (5.50%), and 435 (54.38%) papers were collaborative research. As for author keywords, 'COVID19' (674), 'SARSCoV2' (245), 'Coronavirus' (81), and 'Vaccine' (80) were derived as top keywords. There were six words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COVID19,' 'SARSCoV2,' 'Coronavirus,' 'Korea,' 'Pandemic,' and 'Mortality.'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MeSH terms and author keywords, and common keywords such as 'covid-19,' 'sars-cov-2,' and 'public health' were derived. In topic modeling, five top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Vaccination,' 'COVID-19 outbreak status,' 'Omicron variant,' 'Mental health, control measures,' and 'Transmission and control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esearch areas and major keywords by year of COVID-19 research papers published during the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A Study on the Overall Economic Risks of a Hypothetical Severe Accident in Nuclear Power Plant Using the Delphi Method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원전사고의 종합적인 경제적 리스크 평가)

  • Jang, Han-Ki;Kim, Joo-Yeon;Lee, Jai-K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3 no.4
    • /
    • pp.127-134
    • /
    • 2008
  • Potential economic impact of a hypothetical severe accident at a nuclear power plant(Uljin units 3/4)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Delphi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expert judgements and opinions, in the process of quantifying uncertain facto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radioactive plume directs the inland direction. Since the economic risk can be divided into direct costs and indirect effects and more uncertainties are involved in the latter, the direct costs were estimated first and the indirect effects were then estimated by applying a weighting factor to the direct cost. The Delphi method however subjects to risk of distortion or discrimination of variables because of the human behavior pattern. A mathematical approach based on the Bayesian inferences was employed for data processing to improve the Delphi results. For this task, a model for data processing was developed. One-dimensional Monte Carlo Analysis was applied to get a distribution of values of the weighting factor. The mean and median values of the weighting factor for the indirect effects appeared to be 2.59 and 2.08,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higher than the value suggested by OECD/NEA, 1.25. Some factors such as small territory and public attitude sensitive to radiation could affect the judgement of panel. Then the parameters of the model for estimating the direct costs were classified as U- and V-types, and two-dimensional Monte Carlo analysis was applied to quantify the overall economic risk. The resulting median of the overall economic risk was about 3.9%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s(GDP) of Korea in 2006. When the cost of electricity loss, the highest direct cost, was not taken into account, the overall economic risk was reduced to 2.2% of GDP. This assessmen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justifying the radiological emergency planning and preparedness.

The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nd Safety of Sirolimus-eluting stent and Paclitaxel-Eluting Stent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일차적 관동맥 스텐트 삽입술 시 삽입된 Sirolimus-eluting stent 와 Paclitaxel-eluting stent의 임상적 안정성 및 유용성 평가)

  • Min, Gye-Sik;Han, Ma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6 no.1
    • /
    • pp.5-10
    • /
    • 2012
  • There is a still unsettled issue about the comparison of long-term clinical effects between sirolimus-(SES) and paclitaxel-eluting stents (PES) for the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Therefore,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4-year clinical outcome of SES as compared with PE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n patients with AMI. From January 2004 to August 2006, all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underwent primary PCI and acute NSTEMI underwent PCI by implantation either SES or PES were enrolled. The occurrence of death, cardiac death, recurrent infarction,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TVR) and stent thrombosis were analyzed. The composit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death, recurrent infarction and TVR) were also analyzed.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668 AMI patients had visited. Of them, total 522 patients (299 with SES and 223 with PES) were enrolled. During 4-year clinical follow-up, there were similar occurrences of death ($18.3{\pm}3.0%$ vs. $14.6{\pm}2.2%$, p=0.26), cardiac death ($11.2{\pm}2.6%$ vs. $6.8{\pm}1.52%$, p=0.39), re-infarction ($6.4{\pm}1.8%$ vs. $3.3{\pm}1.1%$, p=0.31), and stent thrombosis ($5.4{\pm}1.7%$ vs. $3.2{\pm}1.1%$, p=0.53) between the two groups, consecutively. The occurrences of TVR ($10.0{\pm}3.0%$ vs. $4.0{\pm}1.2%$, p=0.008) and MACE ($29.4{\pm}3.5%$ vs. $19.4{\pm}2.5%$, p=0.00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treated with PES than SES. In AMI patients treated with either SES or PES implantation, SES had a significantly lower risk of TVR and MACE during 4-year clinical follow-up. Rates of death, cardiac death or recurrent infarction, and stent thrombosis were similar.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