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선조사 식품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9초

전자선 조사 동결건조 김치분말의 품질 특성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yophilized Kimchi Powder)

  • 홍상필;김은미;양지나;안동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4-618
    • /
    • 2007
  •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를 동결건조한 후 방사선량 별로 나누어 이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잔존 미생물수 분석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김치의 양념소재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는 pH 및 적정산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이의 동결건조물의 방사선 조사 처리구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 숙성김치의 색도는 미숙성김치에 비해 L, a 및 b값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조사처리 후에는 조사선량의 강도에 의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고 미숙성김치는 숙성김치보다 색상에서 다소 변화를 보였다. 미숙성김치분말보다 숙성김치분말은 미생물에 대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 kGy 조사 시에는 특히 총균수와 젖산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숙성김치분말에는 ethanol, 1-propene-3-methyl, disulfide dimethyl 및 disulfide methyl propyl 등의 휘발성 성분이 다소 많았고 특히 disulfide dipropyl 성분은 숙성김치분말에만 존재하는 특성을 보인 반면 그 외의 성분에서는 오히려 미숙성김치분말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함에 따라 숙성김치분말에서는 2-butanone과 acetic acid, 핵산 및 butanal 2-methyl 성분 등이, 미숙성김치분말에서는 hexane 및 butanal 2-methyl 성분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황화물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한 김치분말에 대하여 이미, 이취 및 매운맛에 대한 관능평가결과 모두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와 이취는 증가하였으나 조사랑 30 kGy 까지는 수용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험인식의 낙관적 편견에 대한 프레임과 관여도의 역할 (The Effects of Message Frame and Involvement on Optimistic Bias)

  • 이민영;이재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8권
    • /
    • pp.191-21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뉴스 메시지의 프레임과 개인의 관여도가 과학기술 관련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험에 대한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 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가설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는 피험자를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고관여자와 저관여자 집단으로 구분하고 뉴스 메시지의 프레임에 따라 이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위험인식 과정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부정프레임 기사를 접한 저관여자를 제외하면 실험조건 별 사회수준 위험인식은 상대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수준의 위험인식은 기사 프레임과 관여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수준의 위험인식을 실험조건 별로 비교하여 낙관적 편견이 나타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 PDF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가 숙성(熟成)시킨 감자 괴경(塊莖) 박편(薄片)에서 Invertase, 핵산(核酸) 및 호흡작용(呼吸作用)의 발달(發達)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Development of Invertase Activity, Nucleic Acids, and Respiratory Activity in Aging Potato Tuber Slices)

  • 이미순;김홍열;홍영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7-162
    • /
    • 1973
  • 무균(無菌) 상태하에서 습윤한 여지위에 숙성(熟成)시킨 감자 괴경 박편(塊莖 薄片) $(1mm{\times}1.5cm)$을 재료로 방사선(放射線)의 작용기작(作用幾作)연구를 행하였다. Invertase, 핵산 및 호흡작용의 time courses를 결정하고 이들 세작용의 방사선(放射線)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세 작용 중 어느 것도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선량에서 심하게 억제되지 않았다. $^3H-thymidine$의 incorporation 결과는 방사선(放射線)의 작용부위가 mitosis나 $G_2$ period에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감마선 조사 건조과일의 품질평가 및 물리적 판별 (Quality Evaluation and Physical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Dried Fruits)

  • 정재훈;정윤미;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59-1564
    • /
    • 2012
  • 건포도(Thailand산), 건망고(Philippine산), 건무화과(Iran산)를 0~5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총균수 및 기계적 색차를 측정하고 조사여부 판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총 균수 측정 결과 3 kGy 이상으로 조사된 시료에서는 대부분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과일의 색차 측정에서, 건망고의 색 변화가 방사선조사에 가장 민감하였다. PSL 측정 결과, 건포도의 경우 비 조사시료는 음성으로, 조사시료는 중간 값으로 확인되었고 건망고의 경우 모든 시료가 음성으로 확인되었으며, 무화과의 경우 5 kGy 조사시료만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건조과일의 경우 PSL 측정법은 screening 방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낮았다. TL 측정 결과 건무화과의 경우 조사시료는 $150{\sim}200^{\circ}C$ 사이에서 특유의 발광곡선을 나타내었고, 신호 강도 또한 조사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TL 적용이 가능하였다. ESR 측정 결과 건포도와 건망고의 경우 조사시료에서 multi-component 신호를 보여주었고, 신호 강도 역시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ESR 적용이 가능하였다.

ESR spectroscopy에 의한 감마선 조사된 수입 향신료의 검지 (Detection of Gamma-Irradiation Treatment in Imported Spices by ESR Spectroscopy)

  • 한정은;이은정;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60-1063
    • /
    • 2003
  • ES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입산 향신료 3종에서 생성된 ESR 신호 크기에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입산 향신료 3종(겨자, 오레가노, 월계수)를 0, 1, 5 및 10kGy의 Co-60 감마선을 조사한 후, 이를 시료로 Bruker-EP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ESR 신호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조사 직후 감마선 조사된 겨자와 월계수는 조사시료에서 특유의 신호를 나타내어 비조사시료와 뚜렷이 구별할 수 있었고 오레가노는 비조사시료에서 single- line을 보였으나 조사시료와 비교하여 신호 크기가 매우 커서 비조사시료와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모든 적용선량$(1{\sim}10kGy)$의 범위에서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ESR 신호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조사선량과 생성된 ESR 신호 크기와의 상관계수인 $R^2$ 값은 $0.9939{\sim}0.9993$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상온에서 12주 후에도 ES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추가루의 저장성(貯藏性)과 방사선 처리효과(處理效果) (Storage Stability and Irradiation Effect of Red Pepper Powder)

  • 이정혜;최언호;김형수;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9-204
    • /
    • 1977
  • 경기도 이천(利川)에서 수확한 고추(새마을 금장고추 2호)를 건조제분하여 평형수분(平衡水分)을 측정하였으며 125, 250, 500, 1,000 krad의 Co-60 감마선을 조사(照射) 후 저장 중 capsaicin, capsanthin 및 미생물 수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5^{\circ}C$에서 고추의 평형수분함량은 상대습도 43.7, 53.3, 64.4, 75.4, 84.3%에서 각각 13, 18, 25, 28, 37%이었다. 2) 제분도(製粉度)가 낮을수록, 즉 고추가루의 입경(粒徑)이 클수록 평형수분함량이 낮아 장기저장에 유리하였다. 3) 고추가루중의 생존(生存)미생물 수는 g당 약 $10^8$개나 되었으며 혼합미생물의 $D_{10}$ 값은 210 krad이었다. 4) 수분, capsanthin은 500, 1,000 krad 조사선량(照射線量)에서 저장중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capsaicin은 방사선조사(照射)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 PDF

방사선 조사된 수입 참깨, 들깨의 광여기 발광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of Irradiated Importation Sesame and Perilla Seeds)

  • 이상덕;우시호;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3-177
    • /
    • 2001
  • 본 연구는 PPSL를 이용하여 수입 참깨와 들깨의 방사선 조사여부가 확인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측정시간이 증가할수록 photon count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수입 참깨 및 들깨와 여기에서 분리된 광물질의 photon count는 방사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10 kGy에서는 5 kGy에서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photon count를 보였다. 참깨 와 들깨(5 g) 자체와 분리된 광물질(1㎎)로부터 측정된 photon count는 모두가 비슷한 수치를 보여 광물질에서 더 높은 photon count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깨, 들깨 자체로 측정된 시험구 보다 분리된 광물질에 대한 시험구에서 더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PPSL 측정시 참깨 및 들깨 자체를 사용하거나 분리된 광물질을 사용하여도 조사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 PDF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발아식품(發芽食品)의 Batch Scale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4보(第四報) : 밤의 저장(貯藏)- (Batch Scale Storage of Sprouting Foods by Irradiation Combined with Natural Low Temperature -Ⅳ. Storage of Chestnuts-)

  • 조한옥;양호숙;변명우;권중호;김종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1-237
    • /
    • 1983
  • 감마선(線) 조사(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밤의 상업적(商業的) 저장법(貯藏法) 개발(開發)을 목표(目標)로 $15{\sim}30Krad$ 범위의 감마선(線)을 조사(照射)하고 자연저온(自然低溫) 저장고(貯藏庫)에 batch scale로 저장(貯藏)하면서 이화학적(理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밤의 발아율(發芽率)은 저장(貯藏) 7 개월(個月)에 비조사구(非照射區)는 100% 발아(發芽)하였으나 적정선량(適正線量)이라 생각되는 $20{\sim}25Krad$ 조사구(照射區)는 $5{\sim}14%$만 발아(發芽)하였고, 부패(腐敗) 및 중량변화(重量變化)에서도 방사선(放射線) 조사구(照射區)가 비조사구(非照射區) 보다 양호(良好)하였으며, 육질(肉質)및 조직(組織)도 25 Krad 범위(範圍)의 조사구(照射區)가 우수하였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 변화(變化)에 있어서 9 개월간(個月間) 저장중(貯藏中)에 수분(水分) 및 환원당은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전당(全糖)의 감소(減少)와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하였는데 이러한 변화(變化)는 비조사구(非照射區)가 조사구(照射區)보다 심하였다. Ascorbic acid 는 저장기간(貯藏間)이 경과(經過)함에따라 각구(各區) 모두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보였으며 비조사구(非照射區) 보다 조사구(照射區)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 PDF

감마선조사 닭고기의 미생물학적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and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Chicken)

  • 곽희진;정차권;강일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17-624
    • /
    • 2001
  • 계육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 계육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3kGy의 감마선 조사는 저온성 세균을 약 1.5 log cycle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일반세균도 검출한계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7kGy이상의 조사로 모든 오염미생물은 완전히 사멸시킬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 조사후 냉동저장의 병용은 육제품의 초기살균과 미생물의 생육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시험의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 닭고기 현탁액의 S.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0.I~8.3mg/plate의 범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 닭고기(10kGy)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설치류 망상적혈구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된 닭고기의 염색체 이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 감마선 조사 닭고기는 시험적용 용량인 1250~2500mg/plate의 범위에서 소핵을 가진 망상 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유전독성학적 측면에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 PDF

화학적 특성검지에 의한 지방산 고함유 농산물의 저장기간에 따른 전자선 조사 여부 검지 (Determination of Electron Beam-Irradiation by the Chemical Detection Methods According to Storage Period in Fat-riched Agricultural Products)

  • 김동용;백지영;류형원;진창현;최대성;육홍선;변명우;정일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97-3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ct whether agricultural products were electron beam irradiated or non-irradiated by chemical methods according to increase of storage period. The three fat-rich samples including soybean, walnut, and sesame were chosen as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n were irradiated with doses of 1~10 kGy by using 10 MeV electron beam facility. At the result, 8-heptadecene and 1,7-hexadecadiene, which are indicators of electron beam-irradiation in chemical method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method, were detected in all three samples. The levels of two irradiation indicators were increased by electron beam-irradi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wo irradiation indicators also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in 6 and 12 months after irradiation, though levels of those were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mean that the quantification of 8-heptadecene and 1,7-hexadecadiene could determine whether electron beam were irradiated or non-irradiated until 12 month after irradiation in 3 fat-rich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soybean, walnut, and se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