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사선기술

Search Result 2,6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ecent Status and Progress of Radiation Processing in the World (방사선처리기술 최근 동향)

  • Lee, Yun Jong;Lee, Byoung Hun;Im, Don-Sun;Kim, Jae-Ho;Nho, Young-Chang
    •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 /
    • v.2 no.1
    • /
    • pp.43-51
    • /
    • 2008
  • Radiation technology is currently used in a number of industrial processes such as sterilization, cross linking of polymer, food irradiation, rubber vulcanization in the tire manufacturing, contaminated medical waste, etc. Gamma ray and electron beam are the key examples of well-established economical applications of radiation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cent technological trends and activities for radiation processes in order for the industrial end users to better understand, and obtain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technology. It is clear that the radiation processing technology has potential for a variety of the industrial applications.

Characteristics of the Contact Angle Using the Microwave Plasma Treatment on Scintillator Panel Substrates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섬광체 패널 기판의 접촉가 특성변화)

  • Kim, Byoungwook;Kim, Youngju;Ryu, Cheolwoo;Choi, Byoungjung;Kwon, Youngman;Lee, Youngchoon;Kim, Myungsoo;Cho, Gyuseong
    •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 /
    • v.8 no.1
    • /
    • pp.43-47
    • /
    • 2014
  • By measuring decrease change of the contact angle after microwave plasma treatment on the glass and Al as a scintillator panel sample substrate, the adhesive performance of scintillator panel can be expected to improve. Also resolution and sensitivity of scintillator panel after microwave plasma treatment can be expected to maintain highly.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방어기술 개발 및 연구 현황

  • Ha, Jeong-U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15 no.1
    • /
    • pp.9-13
    • /
    • 1990
  • 1959년 한국원자력연구소가 창립됨과 동시에 &Health Physics&, 즉 보건물리라고 하는 명칭과 조직이 탄생되어, 방사선안전관리의 실무와 보건물리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초 10년간은 선진제국의 보건물리분야의 연구와 기술을 추적하여 우리나라의 방사선안전관리 기술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로서 개인방사선모니터링기술, 환경방사선(능) 모니터링기술 및 방사선방어용계측기기의 교정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개발이 추진되었으며, TRIGA Mark-II 연구용원자로의 가동에 따라 원자로 생체차폐체의 건전성 검증에 관한 유익한 방사선량 측정자료도 얻게 되었다. 즉 이 기간은 방사선안전관리의 체제정비 및 기초기술 확립에 노력한 기간이었다. 1970년대는 원자력 연구개발에 대한 기본방향과 정책의 변경등으로 보건물리 연구조직은 방사선안전관리, 환경연구 그리고 방사화학분야로 분산되었으며, 그로인하여 연구개발활동은 거의 정체되어 겨우 방사선안전관리 실무만이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방사선안전관리 및 그와 관련된 연구개발의 기반이 흔들리게 되었으나, 그러한 환경하에서도 방사선량측정평가기술, 방사선차폐설계기술 및 원자로사고시 피폭선량평가기술의 선진화에 필요한 지식을 얻었으며, 방사선 안전관리에 유익한 실무경험도 축적하게 되었다. 1980년대는 통합된 원자력 연구개발체제의 구축으로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일반공중의 피폭저감화 기술개발에 필요한 각종 최신기술을 도입하였고, 관리업무에 있어서도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성향상 및 새로운 관리기술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한 결과, 유익한성과를 얻게된 기간이다. 특히, 이 기간은 방사선안전관리기술의 선진화를 위한 지식이 축적되어 90년대의 방사선안전관리기술자립화를 위한 전환기로서, 이와같이 축적된 기술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에서는 우라늄단독투여군에 비해 cretinine의 배설이 상당히 증가하였다(P<0.05). 6. 우라늄오염에 의한 신장의 소견에 있어 우라늄단독투여군은 근위곡세뇨관상피의 공포화 및 종창, microvilli와 brush border의 손실, 세뇨관 상피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며, 간장의 충혈, 중심성 괴사 및 모세관 확장증도 관찰되었다. 그리고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에서는 우라늄 단독투여군에 비해 높은 방호효과가 관찰되었으나 다른 실험군에서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라늄의 체내오염시에는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가능한 빨리 병행투여하거나 dithiothreitol을 체내오염후 30분이 지나서 투여하는 방법이 우라늄오염에 대한 제염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우라늄에 의한 인체장해를 유의하게 경감시켜줄 것으로 사료되었다.내의 어떤 부위와도 관계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것이 $(^3H)$ QNB가 $(^3H)$ NMS보다 높은 최대 결합능력 $(B_{max})$을 나타낼 이유이다. (b) 두 종류의 다른 제제에서 우리는 같은 양상의 결과를 관찰하었기에 결점이 많은 homogenates 제제보다는 intact cell aggregates 제제를 수용체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실험모형(experiment model)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가 38.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ulcorner}$l9세(歲)이후${\lrcorner}$가 25.2%로서 전체

  • PDF

Inhibition of a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a Hexane Extract from Perilla frutescens cv. Chookyoupjaso Mutant Induced by Mutagenesis with Gamma-ray (방사선 유도 돌연변이 약용들깨 핵산 추출물의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저해활성)

  • Park, Yong Dae;Kang, Min Ah;Lee, Hyo Jung;Jin, Chang Hyun;Choi, Dae Seong;Kim, Dong Sub;Kang, Si-Yong;Byun, Myung Woo;Jeong, Il Yun
    •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 /
    • v.3 no.1
    • /
    • pp.13-18
    • /
    • 2009
  • In earlier investigations, seeds of Perilla frutescens(L.) Britt. cv. Chookyoupjaso were irradiated with 200 Gy gamma ray to generate muta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hexane extract from Perilla frutescens (L.) Britt. cv. Chookyoupjaso mutant 45 on the actions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an identification of the major active compound. The hexane extract from P. frutescens exhibited activity of inhibition of a NO production ($IC_{50}$, $295.1{\mu}g\;ml^{-1}$). The hexane extract was further divided into subfractions by silica-gel chromatogarphy. Inhibition of the NO production by various fractions was assayed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mong the seven fractions, the 5th fr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IC_{50}$, $19.5{\mu}g\;ml^{-1}$). The 5th fractio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rotein of iNO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GC/MS analyses showed that isoegomaketone is a major bio-active compound in the 5th frac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isoegomaketone has a good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anti-inflammation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