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능 영향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4초

동위원소 표지 단세포군항체의 면역반응성과 방사면역계수법의 예민도 : 표지방법 및 비방사능이 미치는 영향 (Immunoreactivity of Radiolabelled Monoclonal Antibody and Sensitivity of Immunoradiometric Assay: Effect of Labelling Method and Specific Activity)

  • 류진숙;문대혁;천준홍;이명혜;정홍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1-269
    • /
    • 1993
  • 핵의학 분야에 사용되는 항체의 적절한 동위원소 표지법을 선택하는데는 표지항체의 면역반응성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저자 등은 국내에서 개발된 CEA-79 단세포군 항체를 표지방법 및 비방사능을 $0.1{\mu}Ci/{\mu}g$으로부터 $100{\mu}Ci/{\mu}g$까지 달리하여 $^{125}I$ 표지를 시행한 후 면역반응성을 평가하고, 이 항체에 적절한 표지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면역반응성의 평가에 있어서는 표지, 비표지 항체의 경쟁반응을 이용하여 표지항체의 비표지항체에 대한 상대적 면역반응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CEA-79 항체의 강우, chlormine T법이 iodogen법보다 우수하였는데, 즉, chloramine T법으로 표지시에는 비방사능을 $100{\mu}Ci/{\mu}g$까지 높여도 면역반응성이 잘 유지되고 시간경과에 따른 면역반응성의 변화도 적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새로운 경쟁반응방법은 동위원소표지에 의한 항체의 면역반응성의 손상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기존의 세포결합 검사법보다 간편하였다. 또 항체의 면역반응성은 비방사능과 함께 방사면역계수법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지항체의 면역반응성과 비방사능은 그 용도에 따라 적정화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시도한 경쟁반응방법은 적정한 동위원소 표지 방법을 선택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산시 금정구 일대 암석 및 토양에서 일부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Some Environmental Radionuclides in Rocks and Soils of Guemjeong-Gu Area in Busan, Korea)

  • 이효민;문기훈;김진섭;안정근;김현철
    • 암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9-190
    • /
    • 2008
  • 부산 금정구일대의 암석, 토양 및 토양가스 내 주요 환경방사성 핵종들($^{40}K$, $^{228}Ac$, $^{226}Ra$, $^{222}Rn$) 및 U의 분포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화강암질 암석들에서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방사능은 $^{40}K$>토륨붕괴계열>우라늄붕괴계열 순으로 낮게 나타나 화강암질 암석에서 U에 비해 Th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화됨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암석 내 U 농도 및 $^{226}Ra$ and $^{228}Ac$ 방사능은 암석의 분화단계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잔류토양 내 환경방사성 이 핵종들의 방사능과 U의 농도는 모암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토양가스, 토양 및 암석에서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분포는 낮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들은, 토양가스 및 토양에서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방사능은 모암에 의한 영향보다, 암석의 풍화작용과 토양형성작용 동안 이들 핵종들과 모핵종들의 용탈 및 흡착 등의 거동 특성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음을 시사한다.

환경시료 중 Pu 측정에서 최소검출방사능 농도 산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etermination of Minimum Detectable Activity at Measuring of Pu Isotopes in Environmental Samples)

  • 이명호;조영현;최근식;이창우;신현상
    • 분석과학
    • /
    • 제14권1호
    • /
    • pp.64-7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검출한계에 대한 기본개념을 기초로 백그라운드 측정시간과 시료측정시간을 고려한 검출한계치 유도과정을 기술하였다. 환경시료 중 Pu의 MDA값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인자들 중에서 시료량, 백그라운드 측정시간 및 시료측정시간 변화에 따른 MDA 변동값을 계산하였다. 환경시료에 대한 저준위 방사능 동위원소 측정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백그라운드 및 시료 측정시간의 적절한 배분에 의한 MDA 계산은 환경방사능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우주방사능 환경에서 정지궤도 위성시스템 설계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design of GEO Satellite System in Space Radiation Environment)

  • 홍상표;허종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3-1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우주방사능 환경에서 우주방사능/총 누적 방사선량(TID) 및 이에 대한 시스템 영향과 정지궤도 위성 시스템 설계를 Spenvis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주환경에서 정지궤도 위성 시스템이 겪게 될 우주방사선 환경을 포획된 입자, 태양 양성자 그리고 우주선으로 구분하여 각각 NASA AP8, JPL91 그리고 NRL CREME 모델을 사용하여 전산모사하였다. 임무수명기간 동안 전자부품에 계속적으로 피폭되는 전체 방사량을 알루미늄 차단두께의 함수로 나타내었으며, 이 값들은 디지털채널 처리부의 전자부품의 선택기준 및 위성체 또는 구성품의 구조물 두께를 설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한다.

방사선 측정 및 해석 연구 -원자로 냉각수중의 방사능해석에 의한 결함핵연료봉의 평가- (Measurement and Analyses of Radiation -Assessment of Defected Fuel by Analysis of Reactor Coolant Activities-)

  • 양재춘;오희필;전재식;이호연;오헌진;정문규;박해용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39-145
    • /
    • 1986
  • 중성자와 우라늄의 핵반응에 의해 생성된 핵분열생성들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며 원자로 내의 핵연료 상태를 해석하는 모델을 개선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고체 핵연료 내에서 특정핵종의 핵분열 생성물의 생성과 이것이 원자로 냉각재까지 방출되는 과정을 계산하고 추적하여 방사능농도와 결함 핵연료봉의 수를 관계짓는 방정식의 계수들을 결정한다. 핵분열생성들의 거동은 이탈(knock out)과 이동(migration)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해석하였으며 트램프 우라늄의 영향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측자료로는 가압 경수형 원자로인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1차 냉각재를 분석해서 얻은 I-131과 I-133의 방사능 강도를 이용하였다. 이 실험자료와 위 방정식에서 구한 방사능 강도로부터 구한 결함 핵연료의 수는 제 3 주기에서 $9.34{\pm}1.13$개 제 6 주기에서 $0.294{\pm}0.092$개로 나타났다.

  • PDF

클라리온-클리퍼톤 KODOS 지역 퇴적물의 퇴적율과 입자혼합율 (Rates of Sediment Accumulation and Particle Mixing in the KODOS Site of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s)

  • 문덕수;김기현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8-301
    • /
    • 1995
  • 적도 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 사이의 한국심해 연구(KODOS)지역에서 채 취된 3개의 퇴적물 코아에 우라늄계열 비평형 기법을 적용하여 퇴적율과 입자교란율이 추정되었다. 과잉 토륨-230 방사능과 과잉 토륨-230/토륨-232 방사능비의 수직분포로 부터 추정된 퇴적율은 연구지역의 남동부 지역에서 천년 동안 수 밀리미터로 추정되었 으며, 북서부에서는 천년당 일 밀리미터 이하로 추정되었다. 퇴적물 시료의 방수에서 과잉 토륨-230 방사능과 과잉 토륨-230/토륨-232 방사능비가 일정한 수직분포를 보이 며 이는 저서생물등에 의한 입자 교란작용의 영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잉 납-210의 수직농도 분포를 근거로 퇴적물 상부층과 하부층의 입자교란 속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2상자" 이류-확산 입자혼합 모델을 이용하였다. 입자혼합계수는 상부층에서는 수 10$cm^2$/y이며 하부층에서는 일 내지 수 $cm^2$/y로 추정되었다./y로 추정되었다.

  • PDF

원자력방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Nuclear Disaster Prevention)

  • 이광표;이윤;김인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75
    • /
    • 2007
  •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등4개 원전부지와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 부지에 대해 방사성물질의 대기 중 누출사고 발생 시 대축척 전자지도와 연계한 사고정보 파악, 예상피해분석, 방재시설 및 소개정보 활용 등을 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사능 물질 피해지역관리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응조치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대전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용 원자로 반경 40km이내 지역의 행정경계, 도로, 등고, 수계, 건물 등의 일반지형지물정보와, 비상계획구역 내 마을의 상세정보, 집결지, 대피소, 교통통제소, 환경방사능감시기, TLD등의 방재시설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병원 등의 방재관련 지형지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원전부지 내 인구분포, 보유 차량 분포, 농작물 재배 현황, 축산물 재배현황 등의 방재관련 사회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영향 평가시스템(FADAS)의 예상평가결과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이에 근거한 예상피해를 분석하며, 소개단계 대상 마을 검색 및 바람장 분석을 활용한 소개경로 제시 등을 통해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고대응 및 소개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웹 기반의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확대 개발하였다. 방재시설물 및 방재관련 지형지물, 방재관련 사회통계자료의 검색기능 및 실시간 원전 바람장 정보조회, 실시간 ERMS 수집정보 조회, 수치예보 정보 조회, 온라인DB관리 등의 확대 구현을 통해 사고대응조치 및 피해분석업무를 지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완성을 통해 방사능 비상시 중앙본부와 지역본부 및 유관기관 간에 지리정보와 연계한 정확한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대응조치 의사결정 및 주민보조조치 수행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사고지역 관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도심에서 방사능분산장치의 폭발로 인한 피폭선량 예측결과의 상호비교 (An Intercomparison of Model Predictions for an Urban Contamination Resulting from the Explosion of a Radiological Dispersal Device)

  • 황원태;정효준;김은한;한문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47
    • /
    • 2009
  • 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주관하는 EMRAS (${\mathbf{\underline{E}}}nvironmental$ ${\mathbf{\underline{M}}}odeling$ for ${\mathbf{\underline{RA}}}diation$ ${\mathbf{\underline{S}}}afety$) 프로그램의 도시오염 평가분과에서 설계한 가상의 도심에서 방사능 분산장치의 폭발로 인한 피폭선량 결과비교에 국내모델 METRO-K의 계산결과가 참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 분과에서 수행된 수많은 계산결과 중에서 극히 일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참가모델 (METRO-K, RESRAD-RDD, CPHR)이 수행한 예측결과의 차이는 다른 수학적 접근방식, 적용값, 평가자의 이해 등에 기인하였다. 비록 최종결과 (예로 영향을 주는 모든 오염표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피폭선량률)는 유사할지 모르지만 오염표면 기여에 대한 이해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평가자가 경험한 사회적, 문화적 차이 뿐 아니라 방사능테러에 대한 정보와 이해 부족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평가자의 경험과 주관적 판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방사능테러에 대한 약간의 추가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METRO-K는 기존 모델을 확장하여 만일의 경우 도심에서 발생할 수 있을지 모르는 방사능테러에 따른 대응행위 결정지원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을 EMRAS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방사선량(放射線量) 및 단위(單位) (Quantities and Units in Radiation Dosimetry)

  • 황선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8-46
    • /
    • 1977
  • 오늘날 에너지 공급(供給)을 위한 새로운 해결책(解決策)의 하나로서 등장(登場)한 원자력발전소(原子力發電所), 재래(在來)의 X선(線) 진료(診療) 이외(以外)에 의학계(醫學界)에 도입(導入)된 방사선원(放射線源), 그리고 각종(各種) 전자생산품(電子生産品) 등(等)의 증가현상(增加現象)은 방사선(放射線) 방어(防禦) 문제(問題)와 관련(關聯)하여 보건의학분야(保健醫學分野)에서 종사(從事)하는 사람들에게 지대(至大)한 관심(關心)거리가 되고있다. 그래서, 우선(于先) 방사선(放射線)에 관(關)한 사항(事項)중에서 가장 기초(基礎)가되는 방사선량계측(放射線量計測)에 있어서 그 양(量)과 단위(單位) 문제(問題)가 체계적(體系的)으로 서술(敍述)되었다. 즉(卽) 방사선(放射線)이 인체(人體)에 끼칠 수 있는 해(害)로운 영향(影響)에 그 주안점(主眼點)을 두어 조사선량(照射線量), 흡수선량(吸收線量), 선량당량(線量當量), 그리고 그들의 관계(關係) 및 방사능등(放射能等)에 관(關)하여 토론(討論)되었다. 특(特)히 조사선량률(放射線量率), X는 비(比)감마선선상수(線常數), ($\Gamma$)를 포함(包含)하는 함수(函數)로 표현(表現)되었고, 끝으로 인체(人體) 내부(內部)에 축적(蓄積)된 방사능(放射能)으로부터의 영향(影響)에 의(依)한 이른바 생물학적효과(生物學的效果) (Somatic or Genetic Effects)와 관련(關聯)되는 내부흡수선량율(內部吸收線量率)은 평형흡수선량상수(平衡吸收線量常數)($\Delta_i$)와 흡수율($F_i$)를 포함(包含)하는 수학적(數學的) 모델로 소개(紹介)되었다. 한편 방사능(放射能)은 방사선원(放射線源) 물질(物質)의 자연붕괴율(自然崩壞率)이므로 다른 방사선량(放射線量)들 즉(卽) 조사선량(照射線量), 흡수선량(吸收線量)그리고 선량당량(線量當量)과는 별도(別途)로 취급(取扱)하였음을 부언(附言)한다.

  • PDF

복합재난을 고려한 원자력시설 사고대비 방재계획 수립방안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Plans for Nuclear Facilities considering Complex Disasters)

  • 신지훈;박윤원;김승현;차민호;유민상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5-99
    • /
    • 2023
  • 현대사회가 고도화되고, 후쿠시마 원전사고 역시 자연재난의 연쇄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함에 따라 복합재난을 고려한 방재계획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방사능방재 분야에서 복합재난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재계획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난의 유형을 분석하여 국내 환경에서 비교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유형을 선정하고, 자연재난 유형별 피해확산이 방사능방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복합재난을 고려한 방사능방재 시나리오를 통해 방재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준들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기준은 최악의 상황 대비에 활용한다. 이는 실효적인 주민보호조치를 결정하고 이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