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사(放飼)

Search Result 17,07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Effect of Duck Free-Ranging Density on Duck Behavior Patterns, and Rice Growth and Yield under a Rice-Duck Farming System in Paddy Field (논오리 방사밀도가 오리의 행동양상 및 벼 생육 ${\cdot}$ 수량에 미치는 영향)

  • Goh, Byeong-Dae;Song, Young-Han;Manda, Masahar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0 no.2
    • /
    • pp.86-92
    • /
    • 2001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ptimum density of free-ranging ducks in a rice-duck farming system in terms of effects on duck behavior,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s. Four paddy field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with 6, 9, 12 and 15 birds per plot, respectively. Ducklings at eight days of age were free ranged in experimental paddy plots (4.0 a each) on the 9th day after the transplantation of rice plants. Ducks were kept in the plot for seventy days, at which point rice plants reached the earing stage. Foraging, moving, working, resting, diving and pecking behaviors of the ducks were observed two tim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lso, rice plant growth and yiel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ducks per plot were examined. The foraging and moving behavior of free-ranging ducks in paddy fields for 12 hours during the daytime tended to be longer in the 12-bird plot, and work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P<0.01) longer in the 12-bird plot than in the other three plots. The res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the 9- and 15-bird plots than in the 12-bird plot. The frequency of moving behavior for 6 hours during the daytime in the 15-bird plot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other three plot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amount of diving and pecking behavior in the 9-bird plo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three plots, and the number of hills pecked tended to be higher with increasing of duck density. From thirty days after ducks were introduced to the paddy fields, the length of rice plants tended to be significantly (P<0.05) shorter in high free-ranging density plots as compared to low free-ranging density plots.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was not affected by the free-ranging density. The culm length of rice plants was significantly (P<0.05) shorter in the 12- and 15-bird plots than in the other two plots, however, the duck free-ranging density did not affect panicle length. The dry weight of the root of rice plants was increased with high free-ranging density, but there was no such increase in the top parts of the rice plants. The percent of rice plants badly damaged by free-ranging density tended to be lower in the order of 12-, 9-, 6- and 15-bird plots. The number of ears, ripening grains and crop yield per hill of rice plants in the 12-bird plo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lots. Therefore, the yield of each rice plant per 10 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2-bird plot.

  • PDF

The Characteristic of Dye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raw Textured Yarn with High Oriented Yarn (고속방사소재 가연사의 물성 및 염색 특성)

  • Kim, Su-A;Lee, Min-Su;Kang, Ji-Man;Lee, J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86-86
    • /
    • 2012
  • 고속방사소재는 연신공정이 없이 6,000m/min이상의 고속방사공정만이 있으므로 원가절감이 되고, 빠른 냉각, 높은 변형속도 등으로 섬유의 결정화도, 분자와 결정의 배향 및 모폴로지(morphology) 변화 등의 기계적 및 섬유상의 특성이 종래의 원사와는 다르게 된다. 방사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향도가 증가하면서 결정영역 또한 증가한다. 또한 기존 연신사에 비해 큰 결정크기를 갖는데 방사속도에 에 따른 방사응력의 증가가 응력유도 결정화도를 유발하여 결정크기 및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따라서 고분자의 용융점도를 고온측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을 나타내게 한다. 즉, 고속방사에 있어서는 연신에 필요한 임계응력 이상의 과도한 응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결정구조가 일반 연신사에 비해 현저히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속방사 원사를 통일한 조건으로 염색하는 경우 기존의 연신사보다 염착량이 많아 농색으로 염색이 가능하고 염착속도도 빠른 특징을 갖는 데이는 고속방사 원사의 비결정 배향이 낮고 느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염료의 침투가 용이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PET 섬유는 방사 후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염색 전처리 공정에서 열을 가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섬유의 미세구조가 변하게 되는데,특히 고속방사의 경우 섬유 형성과정이 연신사와는 다르므로 열에 의한 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염색성 변화에 대해 검토해 보는 것은 고속방사의 응용면에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방사소재의 가장 단점인 잔류신도, 저수축현상, stiff감을 보완하면서 고속방사소재의 장점인 심색성을 부각시켜 차별화된 복합사 제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그 기술개발이 기초 연구로서 일반 일반 DTY사와 고속방사소재인 HOY사를 이용한 DTY사의 물성 및 염색 특성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Processing Variables on the Acrylic Fiber Fineness during Electrospinning (전기방사시 공정조건이 아크릴 섬유의 선밀도에 미치는 영향)

  • 심현주;이승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0-391
    • /
    • 2003
  • 극세사를 제조하는 방식은 복합방사 방식 외에 고온, 고속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신된 초세화 섬유를 fiber web으로 제조하는 melt-blown방식과 전기방사(electrospinning)등이 있다. 전기방사에 의한 방식은 용액방사와 용융방사에 의한 방식이 가능하여 적용 고분자의 종류가 보다 다양할 뿐 아니라 공정자체가 semi-static하여 연속 필라멘트의 제조가 가능하며 전기장에 의하여 섬유가 분리됨으로, 사용 고분자에 따라 영구대전이 가능할 뿐 더러 melt-blown 방식에 의한 fiber web보다 개섬성이 우수하며, 수집된 fiber web의 random화가 용이하고, 방사 후 섬유간의 협착을 방지 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중략)

  • PDF

Web site for Safe Management Radioactive Waste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 정보공개 홈페이지)

  • 조용백;정덕진;송지연;안경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127-129
    • /
    • 2004
  • 웹기반의 어플레케이션 설계 및 구축 과정에서의 핵심은 WACID 시스템의 서비스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다. WACID 시스템의 서비스 목적은 국내 방사성폐기물 관리 요소 및 보고체계를 통합한다. 웹을 통한 대국민 방사성 폐기물 정보 공개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반인 및 관련 종사자들에게 최상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친숙한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설계되었다. 단순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요소 검색을 위한 웹기반 시스템이 아닌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된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도구들을 제공한다.(중략)

  • PDF

선택성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Cs 함유 토양 제염폐액 정화

  • 원휘준;김계남;오원진;정종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131-132
    • /
    • 2004
  • 원자력연구소에 보관 중인 오염 토양폐기물을 토양 세척법으로 제염하여 비 방사성폐기물화 한다면 그 부피를 10%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연구소의 고체 방사성폐기물 저장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 1988년 발견 당시 오염 토양 폐기물의 주요 방사성 핵종은 Co-60 이었는데 시간경과에 따라 Cs-134, 137 이 주요 방사성 핵종이 되었다. 오염토양 폐기물의 60 % 이상은 방사능 농도가 극히 낮아 물리적으로 입도를 분리하거나 수 세척에 의해 비 방사성폐기물화 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중략)

  • PDF

고속방사된 복합섬유의 인장거동 해석

  • 신수열;박종범;신동태;신현세;조현혹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06-110
    • /
    • 1998
  • 최근 용융방사섬유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고속방사법은 높은 신장속도하에서 일어나는 배향결정화에 의한 섬유구조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방사법으로, 방사선에서의 동력학은 폴리머의 열특성, 냉각거동 및 방사선상에서 작용하는 응력 등의 많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복합섬유란 특수한 복합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폴리머가 동시에 압출되어 하나의 필라멘트를 형성하도록 방사한 섬유로써 권축섬유, 열융착형섬유, 이형단면섬유, 전도성섬유, 초극세섬유 등 특수한 섬유의 제조에 이용되기 때문에 그 상업적 관심도가 크다[1].(중략)

  • PDF

A Study of far infrared rays production by ocher Illumination cap (황토 조명등을 이용한 원적외선 발생 연구)

  • 김원섭;윤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1-195
    • /
    • 2003
  • 우리는 황토 조명등을 제작하여 원 적외선 발생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는 백열전구 200W, 실내온도 21도, 습도 38%의 조건에서 열화상실험과 TF-IR(적외선 분광방사 측정장치)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한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율 0.914와 방사에너지 6.23$\times$$10^2$ (w/$m^2$.$\mu\textrm{m}$) 가 얻어졌다. 이와 같은 결과로 황토조명등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방사광 이용 표면분석 총론

  • Hwang,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79-79
    • /
    • 2012
  • 방사광이 고체물리의 연구에 이용되기 시작한 60년대 말 이후부터 지난 반세기동안 방사광시설과 이를 이용한 분석 장치들은 큰 발전이 거듭되어 왔다. 90년대에는 포항가속기 연구소에서 방사광을 이용한 실험 시설이 완공되어 지난 20 여년간 이용되어 왔고 현재는 이시설이 업그레이드(PLS II) 되어 조만간 다시 이용자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연 x-선의 경우 광전자를 분석하게 되면 시료의 표면으로부터 1 nm - 수십 nm 두께의 현상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경 x-선(수 keV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의 경우는 비교적 큰 penetration depth를 갖지만 grazing incidence를 이용하게 되면 수 나노 이하의 두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본 tutorial에서는 전자의 에너지 영역인 VUV영역에서 가능한 방사광을 이용한 여러 가지 표면분석법(XPS, MCD, XAS, ARPES, SPEM, PEEM등)에 대한 세부강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총론에서는 경 x-선을 포함하는 방사광을 이용한 표면분석기술이 어디까지 발전되어 왔고 어느 수준까지 분석이 가능한지에 대한 전체적인 view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tutorial은 이제 막 방사광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려는 연구자들, 지금까지 특정 분석기술을 사용한바 있는 연구자들, 그리고 여러 가지 방사광이용 표면분석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소재 혹은 소자의 개발자들에 좋은 배움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 PDF

방사성 폐기물 관리

  • 남장수
    • 전기의세계
    • /
    • v.39 no.11
    • /
    • pp.52-59
    • /
    • 1990
  • 방사성폐기물 관리는 이미 발생된 폐기물에 대하여 처리.처분하는 사후관리라 할 수 있으며 이에 앞서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는 방안 즉 사전관리에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사전관리는 방사능 관리구역내 불필요한 물품잔입금지, 소모성자재의 최대한 반복사용(방호복, 제염지등), 공기구동 미소모성자재는 방사능관리구역내 전용화, 제염방법의 개선, 반감기기 극히 짧은 핵종으로만 오염된 폐자재는 방사능이 충분히 감쇄할 때까지 관리구역내에서 보관후 비방사성폐기물로 처리, 폐기물중에서 비방사성폐기물을 분류하여 일반 폐기물 처리, 방사성물질 취급자의 교육등을 통해 방사성폐기물의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각국은 제각기 현실에 맞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기술을 도입 또는 개발하여 방사성 페기물 처리기술을 도입 또는 개발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양을 감용하거나 최종 폐기물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또 처분은 각국의 지질이나 인문.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안을 선택하여 최종처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