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밝기

Search Result 1,6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roving Brightness for a Multi-projector Display Using Human Visual Properties (인간의 시각 특성을 사용한 Multi-Projector Display에서의 밝기 향상 방법)

  • Lee Hee-Won;Lee Byung-U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5C
    • /
    • pp.512-518
    • /
    • 2006
  • Very large-area multi-projector display systems have wide applications since they provide immersible environments. The brightness of projectors in the system is different due to the design and aging of the bulbs,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projector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match the brightness characteristics of projectors in the system. This issue has been addressed by many researchers. The state of the art solution considers characteristic of projector's brightness on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brightness of projector as well as the dynamic range of the input image. We increase the dynamic range of the input image to utilize the maximum possible brightness of a projector while satisfying the spatial smoothness constraint. This achieves a seamless multi-display with dramatic brightness improvement.

Lightness Mapping for Uniform Color Change and Gamut Mapping for Maximum Chroma Reproduction (균일한 색 변화를 위한 밝기 사상과 최대 채도 재현을 위한 색역 사상)

  • Lee, Chae Su;Ha, Yeong 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4
    • /
    • pp.47-4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균일한 색 분포를 위한 밝기 사상과 최대 색도 재현을 위한 색역 사상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밝기 사상시 발생하는 두 색역에서의 평균 밝기의 차이의 증가 및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에서의 색 변화의 차이가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색상의 정점에서의 밝기 차이를 최소화하고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에서의 균일한 색 분포를 가지는 밝기 사상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최대 채도 유지 및 균일 색 분포를 위한 가변 닻점과 고정 닻점을 혼합으로 사용하는 색역 사상 방법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저가의 칼라 출력장치에서 고화질의 칼라를 재현할 수 있게 한다.

An Efficient Motion Compensation Algorithm for Video Sequences with Brightness Variations (밝기 변화가 심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효율적인 움직임 보상 알고리즘)

  • 김상현;박래홍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7 no.4
    • /
    • pp.291-299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motion compensation algorithm for video sequences with brightness variations.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brightness variation parameters are estimated and local motions are compensated. To detect the frame with large brightness variations. we employ the fram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ross entropy between histograms of two successive frames, which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redundanc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a higher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with a low computational load, when the video scene contains large brightness changes.

Shot Boundary Detection Algorithm By Using Pixel and Histogram Information (화소와 히스토그램 정보를 이용한 샷 전환 탐지 알고리즘)

  • Lee, Joon-Goo;Han, Ki-Sun;You, Byoung-Moon;Hwang, D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527-530
    • /
    • 2012
  •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 정렬, 탐색, 분류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간의 샷 전환 탐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샷 전환 탐지를 위해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고 있는 각 프레임들 간의 화소 밝기 차이와 히스토그램의 변화를 이용하였다. 플래쉬 등과 같은 인위적이고 급격한 화소 밝기변화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샷 전환 탐지 이전에 각 프레임 간의 밝기 보상을 적용하였다. 밝기 보정 된 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의 서브 블록 간의 지역적 화소 밝기 정보, 그리고 프레임의 화소 밝기 값 히스토그램을 비교하여 샷 전환을 탐지한다. 실험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국가기록원 소장 비디오에 적용하여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The Second Survey of Night Sky Brightnes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 An, Sung-Ho;Bae, Hyun-Jin;Yu, Jinhee;Roh, Eunji;Chiang, Howoo;Kim, Jinhyub;Kim, Seongjoong;Park, Songyo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88.2-88.2
    • /
    • 2015
  • 지난 2009-2010년 수행한 제 1차 수도권 밤하늘 밝기 측정에 이어, 우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제 2차 수도권 밤하늘 밝기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번 2차 측정에서는 지난 1차 측정과 가능한 한 동일한 장소와 조건에서 밤하늘 밝기를 측정함으로써, 지난 5년간 발생한 밤하늘 밝기 및 주변 환경의 변화와 이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밤하늘 밝기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1차 측정과 마찬가지로 'SQM(Sky Quality Meter)-L'을 사용하였다. SQM-L은 표면등급($mag/arcsec^2$) 단위로 밤하늘을 측정하며 측정 오차는 ${\pm}0.1$ 등급이다. 이번 측정 결과 밤하늘 밝기가 가장 어두운 지역은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고성리(20.6 등급)로, 1차 측정에서의 가장 어두운 지역과 동일했다. 반면 가장 밝은 지역은 서울 영등포구 윤중초교와 서울 중구 남산초교(16.5 등급)로 나타났으며, 가장 어두운 지역과 밝은 지역 사이의 밤하늘 밝기 차이는 약 40배(~4 등급)로 나타났다. 이번에 측정한 밤하늘 밝기는 지난 1차 관측에 비해 전 지역에서 평균 0.5 등급 어두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은평구 갈현초교는 5년 사이에 1.5 등급 어두지면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1차: 16.0 등급, 2차: 17.5 등급). 본 포스터에서는 이번 측정 결과와 진행 과정을 소개하고 두 관측 기간 사이에 발생한 밤하늘 밝기 변화의 원인에 대하여 토론하고자 한다.

  • PDF

Color and Illumination Compensation Algorithm for 360 VR Panorama Image (360 VR 기반 파노라마 영상 구성을 위한 칼라 및 밝기 보상 알고리즘)

  • Nam, Da-yoon;Han, Jong-K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1
    • /
    • pp.3-24
    • /
    • 2019
  • Techniques related to 360 VR service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itched image and video, where illumination compensation scheme is one of the important tools. Among the conventional illumination compensation algorithms, Gain-based compensation and Block Gain-based compensation algorithms have shown the outstanding performances in the process of making panorama picture. However, those are ineffective in the 360 VR service, because the disparity between illuminations of the multiple pictures in 360 VR is much more than that in making the panorama picture.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ictures to be stitched in 360 VR system is more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panorama image system. Thus, we propose a preprocessing tool to enhance the illumination compensation algorithm so that the method reduces the degradation in the stitched picture of 360 VR system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color compensation' and 'illumination compens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mprove the conventional techniques without additional complexity.

A Study on the discomfortable feeling's appraisals of driver for the instant brightness fluctuation of the Vehicle's Headlamps (2) Appraisals and analysis with age (전조등의 순간적 밝기 변동에 대한 운전자의 불쾌감 평가 연구 (2) 20대/60대에 대한 불쾌감 평가 및 분석)

  • Lee, Chang-Mo;Kim, Hyun-Ji;Min, Jea-Woo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6-188
    • /
    • 2008
  • 자동차에 탑재된 부하 특히, 여름의 에어컨 사용과 같이 큰 부하가 걸릴 경우와 같이 차량내 전기적 부하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하의 변동이 할로켄 램프를 사용하고 있는 전조등의 밝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밝기의 변동은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도가 되며, 그로인해 운전자는 심리적으로 불쾌함을 느낄 것이다. 그러므로 차량 전조등의 밝기변화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등의 전압과 시간을 변수로 하여, 순간적으로 밝기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연령대별(20/60대)로 운전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반응(불쾌감)이 어떠한 경향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밝기변동 요소가 되는 전압변동 범위 ${\Delta}V$와 전압변동 시간 ${\Delta}t$로 순간적으로 전조등의 밝기가 변동하였을 때, 이러한 현상이 운전자의 심리적인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2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 각각의 전압패턴에 따라 불쾌감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또한 20대와 60대가 전압패턴에 대해 경향을 유사하였으나, 평가치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Perceptual Contrast based on Distribution of Brightness in CIECAM02 for Mobile Display (CIECAM02에서의 밝기 분포 기반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인지적 대비)

  • Nam, Eui-Won;Kyung, Wang-Jun;Ha, Ho-Gun;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2
    • /
    • pp.141-147
    • /
    • 2015
  • The contrast of a display is generally evaluated by using the ratio of the minimum luminance to the maximum luminance of the display. However, this contrast ratio is not matched with perceived contrast because it uses only physical characteristic of display without considering human perceptu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 proposed contrast measure that considers perceptually discriminable brightness within the range of display brightness is suggested. First, the range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brightness of display in CIECAM02 color space is calculated to measure the length of perceived brightness for the display. Next, brightness ranges which are perceptually same at each brightness level are determined by applying Weber-Fechner ratio and then, the number of brightness values within each brightness range is counted. Finally, perceptually discriminable brightness is defined as the sum of ratio between the number of brightness values in each brightness range and the perceptual contrast length of the display. In the experiments, preference test using various displays with random brightness patches is performed to evaluate perceived contrast. As a result, the proposed measure is more consistent with human perception than the previous contrast measures.

Efficient luminance compensation for Virtual Reality Image (VR 영상 스티칭을 위한 효율적인 밝기 보상 방법)

  • Lee, Geon-won;Han, J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54-55
    • /
    • 2017
  • VR영상은 하나의 카메라가 아닌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이어 붙여 만든다. 각각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FOV에서 광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영상의 밝기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밝기 차이는 각 영상을 하나의 VR 영상으로 스티칭 하였을 때 더욱 이질적으로 느껴진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카메라 영상이 서로 다른 광원에 의하여 밝기 차이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Enhancement of Visibility Using App Image Categorization in Mobile Device (앱 영상 분류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인성 향상)

  • Kim, Dae-Chul;Kang, Dong-Wook;Kim, Kyung-Mo;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8
    • /
    • pp.77-86
    • /
    • 2014
  • Mobile devices are generally using app images which are artificially designed.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adjusting device brightness based on app image categorization for enhancing the visibility under various light condition. First, the proposed method performed two prior subjective tests under various lighting conditions for selecting features of app images concerning visibility and for selecting satisfactory range of device brightness for each app image.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features of app image and satisfactory range of device brightness is analyzed. Next, app images are categorized by using two features of average brightness of app image and distribution ratio of advanced colors that are related to satisfaction range of device brightness. Then, optimal device brightness for each category is selected by having the maximum frequency of satisfaction device brightn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ategorized app images with optimal device brightness have high satisfaction ratio under various light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