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현조절

Search Result 1,9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생쥐 정소에서 C-terminal Src kinase (Csk)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조절

  • 계명찬;최진국;안현수;김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6-66
    • /
    • 2003
  • Protein tyrosine kinases는 표적단백질의 tyrosine 잔기를 인산화하는 효소로서 다양한 종류의 성장인자, peptide 호르몬, cytokine 수용체 하위의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Non-receptor tyrosine kinase의 일종인 c-Src는 세포막에서 발생한 ligand-receptor 상호작용 하위의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C-terminal Src kinase (Csk)는 Src kinase의 C-terminal tyrosine 잔기를 인산화시켜 Src kinase의 활성을 저해한다. 이러한 Src-Csk loop를 통한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은 세포의 증식과 분화, 사멸 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갖지만 정소의 발생과 분화 과정에서 Src-Csk loop의 발현 및 정자형성 과정에서의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정소에서 출생 후 성적 성숙과정에서 Csk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Csk mRNA 발현은 생 후 2주령 이하의 미성숙 정소에서 다량으로 발현되었고 사춘기 정소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Csk 단백질의 발현 양상은 mRNA 발현양상과 일치하였다. c-Src kinase 활성은 생 후 2주에 급격히 증가하고 이 후 4주령에서 감소하다가 성체 (8주령)에서 다시 증가하여 가장 높았다. 성체 조직의 Csk 단백질 현존량이 미성숙 개체보다 적은 반면 Src kinase 활성은 가장 높아 Csk 발현의 감소는 Src kinase 활성을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정소 조직 내 Csk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Leydig cell, Sertoli cell, germ cell 등 도처에서 발현되었으며 Sertoli cell 에서의 발현은 세정관 상피의 구성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성체의 세정관 내에서는 감수분열 이후의 정세포(spermatid)를 감싸고 있는 Sertoli cell의 강소측에서 강한 Csk 활성이 검출되어 생식세포의 분화과정 동안 세정관 상피의 조직재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Leydig cell에서의 발현은 생후 1주령까지는 미미하였으나 이후 2주령 이후에는 다량으로 발현함이 확인되어 adult type Leydig cell에서 진행되는 steroidogenesis와의 관련성을 추측할 수 있다. 미성숙 정소로부터 분리한 Sertoli cell-enriched culture에 200 nM testosterone을 처리하였을 때 Csk mRNA의 발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androgen에 의한 Sertoli cell의 분화과정에 Csk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정소 내 Src-Csk loop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은 정소 내 간충조직, 세정관 상피의 증식 및 기능적 분화 과정을 매개하는 생리적 활성분자 수용체 하위의 신호전달 과정에 Src-Csk loop에 의한 조절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ressional Regulation of Replication Factor C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지방세포분화에서의 replication factor C 단백질의 발현조절)

  • Cho, Hyun-Kook;Kim, Hye-Young;Yu, Hyun-Jeong;Cheong, Jae-H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2
    • /
    • pp.202-210
    • /
    • 2011
  •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an ordered multistep process requiring the sequential activation of several group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and coactivators. In previous reports, we identified that replication factor C 140 (RFC140) protein played a critical role in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 coactivator. Here, we show expressional regulation of RFC140 and small RFC subunit, RFC38, following characterization of gene promoter of RFC140 and RFC38. In addition, RFC140 increases PPAR$\gamma$-mediated gene activation, resulting from direct protein-protein interaction of RFC140 and PPAR$\gamma$.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regulated expression of RFC140 and RFC38 by specific adipocyte transcription factors is required for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Biogenetical study on potential regulatory factors involved in expression of region III genes of Escherichia coli K99 adhesion gene cluster (대장균 K99섬모 유전자군중 제 3지역 발현에 관련된 조절자의 유전학적 연구)

  • Lee, John-Hwa;Baek, Byeong-Kirl;Kang, Chang-Won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42 no.4
    • /
    • pp.505-512
    • /
    • 2002
  • 대장균 K99 섬모의 생합성은 8개로 구성된 K99의 특이 유전자의 발현과 숙주유래 인자에 의해 조절되는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에 의존된다. 본 연구에서는 K99섬모 유전자군중 제 3지역 발현에 유전조절자의 관련성 여부를 연구하였다. Gel retardation 분석 방법올 통하여 제3지역의 발현에 관련된 유전조절단위를 함유한 fanF 지역의 단백질 인자가 부착됨을 암시하였다. 이 분석방법을 이용한 결과는 또한 이 단백질 인자가 K99 유전자에서 유래되지 않고 대장균 염색체에서 유래됨을 지적하였다. 이를 보다 더 조사하기 위하여 대장균 염색체에 Tn10 transposon 유전자 변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K99 유전자군으로부터 제 1지역과 제2지역의 유전자를 제거시키고, 제 3지역의 유전자인 fanG에 transposon TnlacZ를 삽입한 pTL65-1 plasmid을 제작하였다. 이 pTL65-1는 다시 Tn10으로 염색체가 변이된 대장균에 주입하였다. 3개의 pTL65-1 주입된 Tn10 대장균 변이체 내에서 fanG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들 변이대장균으로부터 Tn10이 어떤 염색체 유전자 부위를 변이 시켰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변이부위 유전자를 clo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중 2개의 clone이 동일하였으며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였다. 이들 2개의 변이체 내에서 fanG의 발현은 대조군과 비교해 약 4.2배 증가 되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2개의 clone으로부터 유래된 인자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제 3지역의 억제 조절자임을 나타내었다.

Analysis of the Role of STAT Binding Site in the Drosophila raf Promoter Region Using Transgenic Flies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한 Drosophila raf 유전자 발현조절영역에 존재하는 STAT결합부위의 역할에 관한 연구)

  • Park, Hyun Sook;Kim, Young Shin;Kwon, Eun Jeong;Yoo, Mi 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9 no.1
    • /
    • pp.50-57
    • /
    • 1999
  • STATs activated by various cytokine and growth factors trigger a quick response in the nucleus and induce changes in gene expression. We have found the sequences homologous to STAT binding site in the 5'-flanking region of the D-raf gene. In this study, we examined role of the STAT binding site in D-raf gene promoter activity in vivo by using transgenic flies. The reporter plasmid pDraf-STATmut-lacZ was constructed by fusing D-raf promoter fragment having the base-substituted STAT binding site with the lacZ gene in a P-element vector. Transgenic flies bearing the Draf-STATmut-lacZ fusion genes were established by P-element mediated transformation. The expression of lacZ in transgenic flies bearing Draf-STATmut-lacZ fusion genes carrying base substitution in STAT site throughout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was extensive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at in transgenic flies bearing wild type Draf-lacZ fusion gen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TAT binding si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on of the D-raf gene.

  • PDF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the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기계적 응력이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 및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You, Hyung-Keun;Shin, Hyung-Shik;Lee, Gene;Min, Byung-M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9 no.3
    • /
    • pp.593-607
    • /
    • 1999
  • 치주인대세포는 치주인대의 유지와 개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섬유아세포성 세포로서, 세포에 가해진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현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계적 응력은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 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을 증가 시킴으로써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나 그 자세 한 작용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기계적 응력이 사람 치주인대세 포의 세포증식과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사람 치주인대 세포에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세포증식을 관찰하고 , 세포주기조절인자들인 p 53 , $p21^{WAF1/CIP1}$ cyclin-dependent kinases(cdks), cyclins 및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사람 치주인 대세포는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건전한 사람 소구치의 치주인대로부터 explantation culture하여 얻은 후 계대배양을 시행하여 제6 계대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배양한 사람 치주인 대세포를 55-mm Petriperm dish당 $1{\times}10^4$ 개를 분주하고, dish당 1kg의 기계적 응력을 가하면서 12일동안 세포배양을 시행하였다. 사람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은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8-12일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CNA 단백질의 발현은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6-10일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기계적 응력은 사람 치주 대세포의 cdk4, cdk6, cdk2 및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을 다소 증가 시켰으나, p53 및 $p21^{WAF1/CIP1}$ 단백질의 발현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서 기계적 응력은 사람 치주인대세포 의 p53 및 $p21^{WAF1/CIP1}$ 단백질 발현의 변화 없이 cdks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17{\beta}$-Estradiol Regulates the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in Mouse Uterus ($17{\beta}$-Estradiol에 의한 생쥐 자궁 내 Nesfatin-1/NUCB2 발현 조절)

  • Kim, Jin-Hee;Lee, Kyoung-Ran;Kim, Hyeon-Kyeong;No, So-Hyeon;Yoo, Hye-Min;Moon, Chan-Il;Yang, Hyun-Won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5 no.4
    • /
    • pp.349-357
    • /
    • 2011
  • Since nesfatin-1/NUCB2 involved in the control of appetite and energy metabolism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hypothalamus, many reports have shown its expression in various tissues. We also recently demonstrated that nesfatin-1/NUCB2 was expressed in the reproductive organs of mouse. However, no data exist on nesfatin-1/NUCB2 expression, regulation, and secretion in the uterus. Therefore,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in mouse uterus and the effects of PMSG and estrogen on its expression. NUCB2 mRNA expression in the uterus w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and real-time PCR and nesfatin-1 protein expression was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In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nesfatin-1 protein was localized at the epithelial cells of the uterine glands and endometrium. Nesfatin-1 protein binding sites were displayed at the epithelial cells of uterine glands and specific granulocytes including neutrophils. Additionally, to examine if the nesfatin-1/NUCB2 expression in the uterus is regulated by gonadotropin or estrogen, ovariectomized mice were treated with PMSG or $17{\beta}$-estradiol. The expression levels of NUCB2 mRNA in the uter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mice after PMSG treatment, but not in the ovariectomized mice. In contrast, NUCB2 mRNA expression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ovariectomized mice after treatment with $17{\beta}$-estradiol. We report here for the first time that nesfatin-1/NUCB2 mRNA and protein express in the mouse uterus and its expression is regulated by estrogen secreted from the ovary, but not gonadotropin from the pituitary.

Effects of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 o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an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s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 trichostatin A가 C2C12 myoblast 세포 분화와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Lee, Won-J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7 s.87
    • /
    • pp.976-98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dulating effects of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 on the differentiation of mouse C2C12 myoblasts. We demonstrated that trichostatin A induced morphological changes of C2C12 myoblasts into smooth muscl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smooth muscle markers including smooth muscle ${\alpha}-actin$ and transgelin. These results were due to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cell cycle regulators in trichostatin A-treated C2C12 cells. Real-time PCR data revealed that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ichostatin A-treated C2C12 cells. However, trichostaDn A rapidly decreased cyclin Dl mRNA expression necessary for cell cycle progression in 24hr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the strong inhibitory effects of trichostatin A on histone deacetylation induced trans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into smooth muscle cells and these results are partly due to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s such as p21 and cyclin D1.

Resposes of Two Cold - Regulated Genes, BN28 and BN115, in Field -Grown Canola (Brassica napus L.) (포장에서 케놀라 저온반응성 유전자 발현)

  • Moontae, So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1
    • /
    • pp.69-76
    • /
    • 1995
  • Cold acclimation involves changes in gene expression. BN28 and BN115 are two genes which are regulated by cold temperature and assumed having roles in cold acclimation. The objectives of this experiment was to explore the expression of BN28 and BN115 under field conditions. Six winter cultivars were planted at three different dates during the fall. The expression of the genes was determined by northern blot analysis of total RNA taken from leaves 15 to 30 day-intervals after planting. The expression of the two genes was detected within 15 days after planting well before onset of freezing tolerance in plants. This suggestes either their expression was a prerequisite of the freezing tolerance or their expression was regulated by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emperature. Two genes showed a different expression pattern suggesting they had a different regulatory system. Although timecourse increase in expression of the cold-regulated genes was matched with increase in freezing tolerance,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in cultivar level at specific times of measurement was not correlated with freezing tolerance at the moment.

  • PDF

Expression Pattern of T Lymphocyte Regulatory Factor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of Erosive Oral Lichen Planus and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Patients (미란형 구강편평태선과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들의 비자극성 전타액내 T림프구 조절인자들의 발현 양상)

  • Yoon, Seon-Hack;Ko, Hyun-Mi;Park, Ji-Il;Kim, Jae-H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4
    • /
    • pp.363-369
    • /
    • 2009
  • Erosive oral lichen planus (EOLP) and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RAS) are T-cell mediated inflammatory immune disorders. It was investigated mRNA expression pattern of several regulatory factors, such as, CD28, CD45, CD152, CD154, CD279, which influence T lymphocyte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UWS) of EOLP and RAS patients. It was collected unstimulated whole saliva during 10 minute in EOLP 18 people, RAS patients 12 people, healthy control 8 people. We investigated mRNA expression of T lymphocyte regulatory factors, such as, CD28, CD45, CD152, CD154, CD279, with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EOLP group, CD45, CD279 expressed higher and CD154 expressed lower than control. In RAS, CD45, CD270 expressed higher and CD28, CD154 expressed lower than control. In addition CD152 salivary mRNA expression of EOLP is higher than that of RAS. The abov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he mRNA expression of T lymphocyte regulatory factor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of EOLP and RAS contributes to diagnosis of diseases.

Identification of intrinsic regulators in the secondary palate morphogenesis (이차구개 형태분화의 내적 조절유전자 규명)

  • Lee, Jae-Guk;Jang, Eun-Ha;Im, Yang-Hee;Kim, Ki-Byeung;Ko, Seung-O;Cho, Eui-Sic;Shin, Hyo-Keu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0 no.1
    • /
    • pp.1-16
    • /
    • 2007
  • 이차구개는 발생과정에서 구개선반의 형성과 성장, 거상과 융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차구개의 형성과정은 미세한 분자유전학적 신호전달기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발현이상이 되면 정상적인 이차구개가 형성되지 못하고 구개파열이라는 선천성 기형이 발생된다. 구개파열의 유발인자들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상적인 이차구개의 형성을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차구개의 형태분화를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이차구개 형성의 내적 조절인자 중 핵심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Osr2가 결손된 생쥐의 이차구개 형성과정에서 정상생쥐에 비해 발현의 변동이 나타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의 변동은 발생 14.5일(E14.5)의 구개선반으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이용하여 ACP-based GeneFishing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고, 각각의 변동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정상생쥐의 이차구개 형성과정에서의 발현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총 120쌍의 primer를 이용한 검색을 통해서 정상생쥐의 구개선반에 비해 mutant에서 발현이 변동된 유전자는 7개가 검출되었고, 이들은 모두 정상생쥐에 비해 mutant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출된 유전자는 vimentin(Vim), ${\beta}$-tropomyosin 2(Tpm2), thioredoxin-like 5(Txnl5), procollagen type II alpha 1(Col2a1),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IGFbp7), Sui 1 homologs(Sui 1), Defender against cell death1(Dad1)이었다. 검출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정상생쥐의 구개 형성과정에서의 발현양상을 알아본 결과, Col2a1 을 제외한 유전자들은 모두 E13.5의 구개선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있었으나 구개선반이 융합된 E15.5에서는 Vim, Txnl5 그리고 Dad1 만이 봉합선을 따라 발현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검출된 유전자들은 구개선반의 형태분화과정에서 발현되어 이차구개의 형성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들은 이차구개 형성의 내적조절인자인 Osr2의 downstream target 으로 구개선반의 성장과 융합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전물질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