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전부

Search Result 2,50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인터뷰 / 최제유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산업 과장

  • Sin, Jong-Hun
    • Digital Contents
    • /
    • no.2 s.117
    • /
    • pp.30-32
    • /
    • 2003
  • 지난달 10일 정보통신부는 김태현 정보통신부 차관 주재로 '제1차 온라인디디털콘텐츠산업발전실무위원회'를 개최, 오는 2005년까지 디지털 콘텐츠 산업발전을 위하여 범정부적으로 중점 추진해야할 정책과제를 담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기본계획안(2003~2005)』을 심의 의결했다. 이번에 의결된 기본계획안에 대해 각계는 범정부적 차원의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추진 틀이 마련됐다고 평가하고, 향후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의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산업과 최재유 과장을 만나 그동안의 경과와 향후 추진계획을 들어봤다.

  • PDF

Kalina Cycle : Highly Efficient Bottoming Cycle In Connection With A Combined Power Plant (Kalina 사이클 : 복합 발전용 고효율 하부사이클)

  • 박영무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 no.2
    • /
    • pp.154-170
    • /
    • 1993
  • 복합발전사이클은 서로 다른 온도조건에서 운전되는 두 개의 사이클을 열역학적으로 결합한 발전사이클로서 Fig. 1-(d) 처럼 고온부 사이클에서 배출되는 열량을 저온부 사이클에서 회수하여 전체 시스템효율을 개선하도록 설계되었다$^{1)}$ . 고온부에서 작동하는 사이클을 상부사이클(topping cycle or topper)이라고하며 저온부에서 작동하는 사이클을 하부사이클(bottoming cycle or bottomer)이라고 한다.

  • PDF

콘텐츠라인/2010년 디지털콘텐츠 생산 세계 5위 달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확정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3 s.118
    • /
    • pp.80-89
    • /
    • 2003
  • 정부는 지난 1월 23일 "제1차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위원회"를 개최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을 위해 각 부처가 추진해야할 범정부적 정책과제인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기본계획]을 심의, 확정했다. 국무조정실장을 위원장으로 정보통신부, 재정경제부, 문화관광부, 산업자원부 등 총 10개 부처 차관 및 민간대표 10명으로 구성된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위원회"는 2005년까지 우리나라 디지털콘텐츠산업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할 정책방향과 주요과제를 최종 확정, 발표했다.

  • PDF

UnderFrequency Load Shedding Standards Comparison and Analysis (저주파수 부하차단 국내외 규정 비교 및 분석)

  • Choi, Mi-Gon;Ahn, Seon-Ju;Choi, Joon-Ho;Go, Seok-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61-262
    • /
    • 2015
  •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화는 부하와 발전력 간 불균형에 의해 발생한다. 발전력 부족에 의해 수급 불균형이 발생한다면 계통 주파수는 부하와 발전력 간의 균형이 다시 이루어지는 점까지 저하하게 되며, 부하와 발전력 간의 수급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계통은 붕괴된다. 저주파수 부하차단은 일정 시간 내에 부하와 발전력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계통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의 전력계통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변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인 분산전원, 전력저장 장치 등이 계통의 한 부분이 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이런 변화에 따라 저주파수 부하차단의 방식도 이런 변화를 염두에 두고 적용돼야 한다. 따라서 계통 변화에 따른 저주파수 부하차단 관련 규정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a Linked Operation System for Improving Water Supply Capacity of Dams (댐 용수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연계운영 체계 개발)

  • Yong Hyeon Gwon;Soo Deok Hwang;So Hyu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8-398
    • /
    • 2023
  • 하천시설의 관리규정(하천법 제 14조)에서는 댐, 보 등의 하천시설물은 하천시설의 관리규정을 정하고 있으며 홍수 재해 방지와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필요시 둘 이상의 하천시설 간 유기적인 연계운영에 관한 관리규정을 정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댐과 보등의 연계운영규정(환경부 훈령 제1348호)에서는 댐, 보, 둑높임농업용저수지 등 하천시설에 준하여 시설의 연계운영을 실시할 수 있으며, 갈수 및 홍수로 인한 재해 방지 및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환경부와 한국수력원자력(주)에서는 한강수계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여 발전용댐의 운영계획 및 발전용댐과 다목적댐간 연계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에, 발전용댐과 다목적댐간 연계 운영을 통해 최적의 용수공급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상류유역에 위치한 댐의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댐 모의운영과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였다. 해당 분석체계를 활용하여 화천댐, 소양강댐, 충주댐을 연계한 운영체계를 구축하여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용수공급능력 증대를 위한 연계운영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고, 가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용수공급조정 및 댐간 연계운영 수립 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고 및 고시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전기산업
    • /
    • v.6 no.3
    • /
    • pp.113-114
    • /
    • 1995
  • 통상산업부공고 제 1995-94호 공업발전법 시행령 제18조의 규정에 의한 1995년도 공업발전기금 운용ㆍ관리요령을 다음과 같이 제정 공고합니다. 1995년 7월 8일 통상산업부 장관

  • PDF

포인트 /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제안..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 및 발전에 초점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2 s.103
    • /
    • pp.34-35
    • /
    • 2001
  • 최근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온라인디지털콘텐츠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실정법상의 관련법 규정이 기술과 산업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폭넓게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제반 기술과 온라인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적절하게 뒷받침해주는 관련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았다. 이와 관련, 학계와 업계 및 관련기관의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 검토하고 정보통신부 및 문화관광부 등 정부의 관계 부처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안'(이하 '디콘법')을 마련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제출, 이번 정기국회 회기 내에 확정 짓기로 했다

  • PDF

특집$\cdot$부로일러 - 제1회 육용계 경제능력 검정 성적 (1969. 9. 9~1969. 11. 4)

  • 한국가금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s.5
    • /
    • pp.16-22
    • /
    • 1970
  • 우리 나라 부로일러 산업은 1964년말부터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불과 7년 남짓한 식육수요의 증대와 다른 육축의 신장의 한계에서 해마다 급진적인 발전을 보여 왔다. 오늘날 양계업 중에서 발전이 기대되고 또 육성시켜야 될 것으로 생각되는 것으로는 육자원(肉資源)으로서의 부로일러인 것이다. 그러나 해마다 불균형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사료값, 수송 운임비, 원료사료의 수급 등에 준한 부로일러가격의 계절에 따른 불안정 등에 크게 영향을 받고는 있으나 계속해서 부로일러 산업은 신장되어질 것이므로 여기에서 우리 나라 부로일러 산업의 과거와 앞으로의 문제점 등을 검토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