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육단계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32초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자 어린이의 치아 성숙도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Dental Maturity i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 김치훈;강정민;김익환;송제선;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2-319
    • /
    • 2020
  •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이 여자는 8세 이전, 남자에서는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여자 어린이들이 특별한 의과적 기왕력을 갖지 않는 여자 어린이들과 비교할 때 나타내는 치아 성숙도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여자 어린이 99명과 의무기록상 특별한 의과적 기왕력을 갖지 않는 여자 어린이 99명의 파노라마 사진을 분석하였다. 하악 좌측 영구 견치, 제1, 2소구치, 제1, 2대구치의 치아 발육도를 Demirjian법을 이용하여 점수화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고, 각각의 치아의 발육단계와 성조숙증 유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성조숙증군 어린이는 특별한 의과적 기왕력을 갖지 않는 대조군 어린이보다 나이가 통제된 조건 하에서 유의하게 더 진행된 치아성숙도 점수를 나타내었다(p = 0.003). 하악 제2소구치 및 하악 제2대구치의 발육단계는 성조숙증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 0.000, 0.000). 모든 치아들의 발육단계를 동시에 고려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하악 제2대구치의 발육단계만이 성조숙증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 0.000).

자연농원 동물원에서의 펜귄의 말라리아 발생보고 (An Outbreak of Malaria in Penguins at the Farm-land Zoo)

  • 박응복;임영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67-272
    • /
    • 1984
  • 1983년 6월에 일본으로부터 자연농권 동물권에 수입된 3세령의 반umboldt젠귄 4수가 입사한지 일주만에 갑자기 식욕절폐, 원기소침하여 4∼6일만에 3수가 폐 사하였다. 환조의 혈액도말표본에서 성숙적혈구내에 발육단계가 다른 기생체가 확인되었다. 폐사한 동물은 폐장과 심장에서 심한 수종성 변화가 인정되었고 간장과 비장이 종창해 있었다. 각 장기의 조직학적 결사에서 간회, 등장 및 폐장등에서 광범위하게 현저한 세강훈 피계세계의 증식과 활성화가 관찰되었고 이들 세포에서 여러 발육단계의 schizont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관찰보고는 국내에서 조류의 말라리아 유행을 처음으로 기록한 것이다.

  • PDF

복숭아 과실의 발육 중 세포벽성분 및 Glycosidase 활성의 변화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Glycosidases Activity during Development of Peach Fruits)

  • 장경호;김대현;변재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6-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미백도', '대구보' 및 '유명' 과실의 발육단계별로 과실의 경도, 세포벽성분 및 g1ycisidase 활성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수확후의 저장중 과실에서와 같이 발육중인 과실의 연화에서 도 $\beta$-galactosid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5월 13일, 6월 16일, 7월 16일, 8월 5일이었으며, 수확기가 늦은 '유명'은 8월 28일에 한번 더 조사하였다. Total sugar와 비섬유성 중성당의 함량은 각 품종의 세포벽물질을 증류수, 0.05M CDTA 0.05M $Na_2$CO$_3$, 4% KOH, 2.4% KOH로 차례로 분획하여 조사하였다. 과실의 발육에 따라 경도는 세 품종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유명' 과실의 경도는 모든 발육단계에서 '미백도'와 '대구보'보다 높았다. 발육단계에 따른 각 분획별 total sugar의 함량 변화는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세 품종의 세포벽 물질과 각 분획중의 주요 중성당은 arabinose와 galactose였다. '미백도'와 '대구보'의 수확일인 8월 5일의 증류수 가용성 분획의 rhamnose의 mol % 변화는 품종별 경도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용성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세 품종 모두에서 파실 발육초기에는 높았으나 초기 이후에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세포벽결합형 $\beta$-galactosidase는 세 품종 모두에서 발육초기에 높았던 활성이 수확기가지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다른 glycosidase의 활성들도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 PDF

콩명나방(Maruca vitrata) (나비목: 포충나방과)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and Fecundity of Maruca vitrata (Lepidoptera: Crambidae))

  • 안정준;김은영;서보윤;정진교;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563-575
    • /
    • 2022
  • 콩명나방은 콩과작물 특히 팥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콩명나방의 생물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충의 수명과 번식능력을 13, 16, 19, 22, 25, 28, 31, 34℃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알은 모든 항온조건에서 부화하였고 유충은 16~31℃ 온도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성충까지 발육을 완료하였다. 알의 발육기간은 31℃까지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아지다가 이후 온도에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과 성충수명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콩명나방 발육단계별 발육 최저, 최고 한계는 LRF와 SSI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1령 유충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12.8℃와 280.8DD였다. SSI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 발육최저 및 최고온도는 14.2℃과 31.9℃였고 이들간의 차이 즉 발육적정온도범위는 17.7℃였다. 온도와 관련된 콩명나방 성충의 생존, 수명, 산란기간, 산란수 자료들을 이용하여 산란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온도발육모형과 산란모형은 야외에서 콩명나방의 개체군동태를 이해하고 콩과작물의 종합적인 해충군관리체계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Matsumuraeses phaseoli (Lepidoptera: Tortricidae))

  • 안정준;김은영;서보윤;정진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61-473
    • /
    • 2022
  • 팥나방은 콩과작물 특히 팥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팥나방의 생물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충의 수명과 번식능력을 7, 10, 13, 16, 19, 22, 25, 28, 31, 34℃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알은 7℃와 34℃를 제외한 모든 항온조건에서 부화하였고 유충은 13~28℃ 온도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성충으로 발육하였다. 알의 발육기간은 25℃까지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아지다가 이후 온도에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과 성충수명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팥나방 발육단계별 발육 최저, 최고 한계는 LRF와 SSI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1령 유충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일은 9.1℃와 264.5DD였다. SSI모델을 이용한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 발육최저 및 최고온도는 20.0℃과 32.3℃였고 이들간의 차이 즉 발육적정온도범위는 12.3℃였다. 온도와 관련된 팥나방 성충의 생존과 산란특성을 이용하여 산란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온도발육모형과 산란모형은 야외에서 팥나방의 개체군동태를 이해하고 콩과작물의 종합적인 해충군관리체계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의 생태적 특성 및 강릉지역 발생소장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28-spotted Larger Lady Beetl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and Its Seasonal Fluctuation in Gangneung, Korea)

  • 권민;김주일;김점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9-204
    • /
    • 2010
  •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의 강릉지역 발생소장과 발육단계별 감자잎 섭식량 및 온도별(10, 15, 20, 25, $30^{\circ}C$) 발육소요기간을 조사하였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연 3회, 즉 5월 하순, 6월 하순 및 8월 하순에 발생하였으며, 특히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높은 밀도로 발생하여 감자 식물체를 집중적으로 가해하였다. 발육단계별 감자잎 섭식량은 유충의 영기가 진전될수록 많았으며, 4령 유충기에 가장 많은 섭식량을 보였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부화율과 우화율은 각각 $10^{\circ}C$$30^{\circ}C$에서는 매우 낮았고 $20{\sim}23^{\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알에서 성충으로 우화되기까지 발육단계별 생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10^{\circ}C$에서 90일 정도로 매우 느렸으며 $20^{\circ}C$에서는 40여일, $25^{\circ}C$에서는 25일이 소요되었다. 또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에 대해서 $7.3^{\circ}C$와 83.3 DD, 유충에 대해서 $5.2^{\circ}C$와 294.1 DD, 번데기에 대해서 $6.2^{\circ}C$와 97.1 DD이었다.

염색체 분석 및 H-Y 항체처리에 의한 우수정란의 성판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xing of Bovine Embryo by the Chromosomal Analysis and H-Y Antibody)

  • 고광두;양부근;정희태;박연수;김정익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2
    • /
    • 1988
  • 우수정란의 이식전 성판별이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GTH와 PGF$_2$$\alpha$투여에 대한 난소반응과 회수난자의 발유단계별 동결융해후 생존성을 조사하였으며, 이식전 수정라느이 성판별을 위하여 H-Y항체 처리후 정상발육 난자의 염색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웅성 비장세포(male, spleen cells)를 면역원으로 mouse와 rat에 투여, 항혈청의 항체를 확인한 결과 mouse에서는 C57 BL계통과 rat에서는 DonRyu 계통이 항체생산능력이 우수하였다. 공란우 87두에 hormone(2500IU PMSG, 25mg PGF$_2$alpha)처리하여 평균 57.8%의 채란유과 두당 4.9개의 난자가 회수되었으며, 전체회수란자(427개)중 moula(162개)와 blastocyst(190개)의 정상발육란자는 82.4%였다. 동결융해후 회수된 난자 (312개)중, 형태적으로 정상인 난자(241개)의 비율은 77.2% 발육단계별 성적은 blastocyst(83.4%)가 morula(71.0%)보다 우수하였다. 항체와 보체(Guinea pig serum)로 처리된 82개의 morula중 15개(18.3%)가 blastocyst로 발육되어 이중 5개(33.3%)가 성이 판별되었으며, 모두 xx형 성염색체를 갖는 자성수정란으로 판명되었다.

  • PDF

치아 발육 단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하악 제3대구치 발육 평가 (Estima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Using the Correlation in Dental Developmental Stages)

  • 김준영;김현태;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송지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3-384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청소년의 하악 견치, 제1, 2소구치, 제2, 3대구치의 발육 단계별 평균 연령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하악 제3대구치의 발생 유무를 추정할 수 있는 하악 견치, 제1, 2소구치, 제2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한 만 6 - 15세 사이의 건강한 환자의 1,956개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Demirjian과 Goldstein의 방법으로 양측 하악 견치, 제1, 2소구치, 제2, 3대구치의 치아 발육 단계를 평가하였다. 제3대구치의 치배가 처음 관찰되는 연령은 평균 9.34 ± 1.35세였고, 6세부터 12세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악 견치, 제1, 2소구치가 F단계, 제2대구치가 E단계 이후에도, 제3대구치가 관찰되지 않으면 제3대구치의 결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연령은 평균 10세였다. 제3대구치의 발육 여부를 추정할 때 치아 하나만을 고려한다면 제2소구치와의 추정 부합도가 가장 높았으며 4개 치아 전부를 포함했을 때와 큰 차이가 없었다.이번 연구를 통해 만 6세에서 15세 사이의 소아 청소년에서 하악 견치, 제1, 2소구치, 제2대구치의 발육 단계별 연령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하악 견치, 제1, 2소구치, 제2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