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열 장치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hazard of Sheath Heater (시즈히터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 연구)

  • Kim, Hakjo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4
    • /
    • pp.511-517
    • /
    • 2014
  • Recently, the fire by sheath heater has been occurred frequently on winter season. The sheath heater has simple internal structure and boils water simply. Therefore, the use of sheath heater has been increased. In this study, found the fire hazard property of sheath heater from understanding the fire mechanism through the experiment to get the measure for decreasing the occurrence of fire. For the analysis of the fire hazard property of the sheath heater, performed the test of temperature change and ignition temperature by using current product. On the result of test, the sheath heaters are the most dangerous appliance to arise fire.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attached to sheath heater is not sufficient to prevent overheating it. The sheath heater should have level switch of water and temperature controller for heater itself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Because the cause of fire by sheath heater is overheating itself in the situation of lack water.

THERMAL SIMULATION OF PWM INVERTER (PWM 인버터의 열해석)

  • Kang H.Y.;RYU J.S.;LEE S.W.;KIM Y.G.;SONG J.G.;SHIN Y.J.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0a
    • /
    • pp.35-38
    • /
    • 2005
  • 인버터는 전기적으로 DC(직류)를 AC(교류)로 변환하는 역 변환 장치이며, 상용전원(AC 22V/440V)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입력받아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시켜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의 속도를 고효율로 이용하게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550kW급 IGBT, DIODE의 발열에 의한 인버터 내부의 열 및 온도분포를 ICEPAK 상용코드를 통하여 수치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인버터의 발열은 캐패시터의 수명과 소자들의 오작동 등 많은 열적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Heat-sink, Fan, Duck등을 통하여 전도와 대류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 인버터은 많은 파라미터들에 의해 온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실험을 통한 해석은 제한적 일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치해석을 통하여 빠른 시간에 효율적인 열 설계를 할 수 있으며, 인버터의 크기는 최종적으로 Heat-sink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최적화 하고 소형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인버터의 복잡한 내부구조상 하단부(발열원, Heat-sink, Fan등)만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을 때와 Full Model과는 $15^{\circ}C$ 온도 차이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인버터의 최적 열 설계를 위하여 Frame위치 변경, Heat-Sink 형상변화등 많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ESCO Report - 진동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히트싱크의 냉각 성능에 관한 연구

  • Choe, U-Seok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2
    • /
    • pp.58-65
    • /
    • 2010
  • 최근 가정용 컴퓨터와 노트북 등의 중앙처리장치(CPU)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더욱이 화석 에너지 고갈 위기에 따라 제품의 발열량은 급속도로 늘어날 전망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때문에 에너지절약에 대한 해결이 동반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열원에 히트싱크를 직접 부착하는 강제대류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최근 들어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방식과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방식도 대두되고 있다. 그 중 열저항 특성 연구에 집중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Pulsating Heat Pipe(PHP)를 열확산기로 적용시킨 연구방식을 소개한다.

  • PDF

전기설비의 전기에너지 절약 운영기술-20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37 no.5
    • /
    • pp.49-53
    • /
    • 2002
  • 일반 사무용 빌딩에서는 타이프라이터, 복사기, 탕불기 등의 기기류가 공장에서는 기계, 장치류가 발열체로서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기기류에 대한 연료 또는 전력에 의한 입력에너지는 모두 최종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방출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Li5Fe5O8 Species Affecting the Microwave Heating Performance on the Ternary Li-Fe-Zn Material (3원계 금속산화물로 제조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열소재상 Li5Fe5O8 종이 발열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ang, Young Hee;Lee, Sang Moon;Kim, Sung Su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9 no.6
    • /
    • pp.703-709
    • /
    • 2018
  • Dielectric heating materials were prepared through the thermal treatment for composites of Li and Zn type precursors that are major materials being responded to microwave under diversified conditions. The prepared heating material samples were analyzed by SEM and it was confirmed that $Li_5Fe_5O_8$ materials being formed on the surface w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for the heating performance. Heating materials improved the moisture removal in a sludge drying facility, for example, the moisture content of 25 v/v% sludge decreased to 15.22 v/v%. Accordingly, heating materials were confirmed to directly affect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microwave drying process.

초고압 가공처리의 가열 효과

  • Hong, Seok-I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07-111
    • /
    • 2002
  • 초고압 가공처리는 별동의 화학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온에서 식품유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분야에서 주목받는 새로운 가공기술이다. 이러한 초고압 처리의 장점 덕분에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그대로 보존되는 고품질 식품의 제조도 가능하다. 고압 조건에서의 미생물 사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흔히 실험실 규모의 장비(그림 1)을 사용하여 소량의 미생물 접종액을 처리함으로서 대량 처리시(그림 2)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에 개발된 실험실 귬의 초고압 처리장비에는 일반적으로 고압용기 내부에 온도감지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압력 조건 하에서의 압축발열 및 순간 감압냉각 효과가 제대로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열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초고압 처리기 특유의 가압 특성 대문에 실험 결과의 재현성을 얻기가 힘들고, 특히 대용량 생산설비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론적으로 초고압 처리는 매우 예측 가능한 공정이다. 즉 고압요기 내부에서는 어느 지점이던 간에 압력이 고르게 분포되고, 가열 확산에 근거한 처리공정과는 달리 압력이 모든 지점에 순간적으로 공정상 불균일이 야기될 소지가 있는 부분은 오직 압축에 다른 발열과 열 전달에 의한 온도 편차에 기인한다. 실제로 처리 대상 제품과 압력 전달매체의 압축시 발열정도 차이와 시료, 매체, 고압용기 간의 열 손실 또는 열 흡수 대문에 고압처리 공정에서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 PDF

Heat Spreading Characteristics of CVD Diamond Film Substrate (CVD 다이아몬드 박막 기판의 방열 특성)

  • Im, Jong-Hwan;Gang, Cha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305-305
    • /
    • 2015
  • 알루미늄 방열판 위에 MPCVD(Microwav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를 이용하여 DC 바이어스 전압을 기판에 인가하면서 $Ar+CH_4$ 가스 분위기에서 증착한 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Nanocrystalline Diamond; NCD) 박막의 방열 특성을 평가하였다. XRD와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증착된 박막이 NCD인지를 확인하였으며 FE-SEM 및 FIB로 박막의 표면 및 단면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다이아몬드가 증착된 방열판에 LED를 부착하여 발열시키고 열유동측정기의 하나인 T3-ster를 사용하여 방열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알루미늄(Al) 기판(5.55 K/W)보다 다이아몬드 증착(Dia-Al) 기판(3.88 K/W)의 열저항 값이 현저히 작았다, 또한 LED 접합온도는 Dia-Al 기판이 Al 기판보다 약 $3.5^{\circ}C$만큼 낮았다.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로 발열 중인 시편의 전면과 후면을 촬영한 결과, LED가 부착된 전면부에서는 최고 발열 부위(hot spot)의 면적이 Al 기판의 경우가 Dia-Al 기판보다 높았고, 후면부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다이아몬드 증착 방열판이 기존의 방열판보다 방열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다이아몬드 박막을 방열판으로 사용하면 LED의 사용 수명과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hysical Approach of the FIR Heater Design for Food Waste Fermentation (음식물 쓰레기 발효기 제작을 위한 원적외선 가열장치 설계의 물리학적 접근)

  • 한두희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3 no.2
    • /
    • pp.131-135
    • /
    • 2002
  • The reclamation of food waste is brought by law in order to clean the underground water. Thus the food waste feed back system should be prepared. The electric heater and mixing tool for FIR radiation were developed in order to control the food waste fermentation. Also we suggest the optimum temperature 19$0^{\circ}C$, black enamel ware for food waste control.

  • PDF

Heat Dissipation Design for KW Class Power Control Unit Mounted on Aircraft Store (항공기 장착물에 탑재되는 KW급 전력변환장치의 방열설계)

  • Choi, Seok-min;Kim, Hyung-jae;Jung, Jae-won;Lee, Chul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4 no.4
    • /
    • pp.261-266
    • /
    • 2020
  • When a KW-class power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an aircraft installation, a heat dissipation design for a large amount of heat generated during power conversion should be considered. Failure to provide adequate heat dissipation can lead to equipment malfunction and fire, which can be a fatal factor in aviation opera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heat dissipation design of a KW-class power control unit installed in aircraft installation.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test were conducted through computerized analysis, and the analysis model was corrected by confirming the rapid heat generation phenomenon of the heating element due to high power control. After the model revision, the design was improved, and the high-temperature operation test of the US military standard MIL-STD-810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improved design.

Heater Design of a Cooling Unit for a Satellite Electro-Optical Payload using a Thermal Analysis (열해석을 이용한 위성 광학탑재체 냉각 장치의 히터설계)

  • Kim, Hui-Kyung;Chang, Su-Young;Choi, Seok-We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2
    • /
    • pp.20-28
    • /
    • 2011
  • The electro-optical payload of a low-earth orbit satellite is thermally decoupled with the bus, which supports a payload for a mission operation. The payload has a cooling unit of FPA(Focal Plane Assembly) which has a thermal behavior increasing its temperature instantly during an operation in order to dissipate a waste heat into the space. The FPA cooling unit should include a radiator and heatpipes with a sufficient performance in worst hot condition, and a heater design to maintain its temperature above a minimum allowable temperature in the worst cold condition.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hermal requirements and the heater design constraints from the thermal analysis results for the current thermal design of the FPA cooling unit and the design elements of the better heater design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