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암물질

Search Result 55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암도 예방할 수 있다

  • O, Hui-Cheo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3 s.346
    • /
    • pp.85-87
    • /
    • 1998
  • 암을 예방하려면 먼저 담배를 끊고 발암률이 높은 음식물을 피해야한다. 담배연기에는 40가지의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모든 사람이 금연하면 암을 30%줄일 수 있다. 음식도 술과커피 ,사카린, 지방 등을 피하고 섬유질, 비타민C, 비타민A, 캐로틴을 섭취하고 콩 버섯 마늘 녹차 등을 복용하면 암예방에 효과가 높다고 한다.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섭취하고 적당한 스포츠를 즐기는 것이 암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 PDF

랫드에서 D-galactosamine을 이용한 중기 발암성 검색법에서 natural killer 세포활성 및 c-myc 종양 단백질 발현에 관한 연구

  • 이영순;강경선;조재진;남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91-191
    • /
    • 1994
  • 본 연구는 D-galactosamine을 이용한 중기발암성 모델에서 세포성면역중의 하나인 natural killer (NK) 세포활성과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수컷 6주령의 SPF SD랫드 50마리를 3개군으로 각 군당 20마리씩 나누어 배치하였다. 실험 0일에 제 1,2 군에서 DEN을 복강내로 체중 kg당 200mg 1회 투여하여 발암유발을 하였으며 대조군인 제 3군에는 saline을 투여하였다. 제 2주에 제 1군에는 강력한 발암촉진물질인 2-acetylaminofluorene (AAF)을 사료에 0.01% 투여하였으며, 제 2군은 미약한 발암촉진물질인 phenobarbital (PB)을 0.05%로 음수에 6주간 투여하였다 제 8, 15, 36주에 경시적으로 부검하였다. 제 8주에 부검시 GST-P$^{+}$ 병변이 잘 유도되어 전암병변의 유도가 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 15주에 부검시 AAF를 투여한 군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AAF와 PB를 투여한 제 1군 및 제 2군의 간장에서는 주위조직과 한계가 명료한 GST-P$^{+}$ 증식성 결절과 병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기초 사료만을 투여한 제 3군은 어떠한 GST-P$^{+}$ 증식성 결절 및 병소를 관찰할 수 없었다. 랫드에서 natural killer세포는 사람이나 마우스에서 주로 자연살생능 (natural killing activity)을 보이는 LGL(lure granular lymphocyte)의 형태를 띄고 있었으며 LGL 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특징적으로 세포질 대 핵의 비율이 높고 azurophilic 과립을 세포질내에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장 형태의 핵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세포의 크기는 small lymphocyte와 대식세포 (macrophage)의 중간 크기였다. 15주와 시험종료시 정상대조군인 제 3군의 랫드로 부터 분리한 NK 세포활성도 (% cytotoxicity)에 비하여 발암물질 투여군의 NK 활성도는 PB 투여군들의 NK활성도 보다 약간 낮았다. 랫드에서 c-myc 종양단백은 65KD 와 671KD 에서 band가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다. 시험 개시후 15주에 부검한 랫드의 간에서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모든 처리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시험개시후 26주에 부검한 랫드의 간에서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랫드에서 화학적으로 유도한 간암발생 과정에서 NK 세포활성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시험개시후 15주에 그 발현이 확실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PDF

특허기술평가활용사례-(주)JNL테크피아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0 no.7 s.349
    • /
    • pp.50-53
    • /
    • 2005
  •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전 세계의 인구는 경제발전과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인류는 "식량증산"이라는 새로운 현실에 부딪히게 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 현대농업에 있어서 화학기술의 발전으로 탄생한 현재의 농약은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식량의 자급자족과 소득증대를 가져오는데 일익을 담당한 필요불가결한 농자재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농약은 식량 생산증대에 큰 도움을 주었지만, 농작물에 잔류하는 농약의 잔류독성으로 인한 폐해로 인해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가지게 되었다. 잔류농약의 치명적 위협은 지금 전 세계를 혼란케 하는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으로 인해 극명하게 밝혀진 바 있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환경호르몬의 대표격인 다이옥신의 원인물질 67종 중 41종이 농약성분이기 때문이다.

  • PDF

Control and Management for Emission Sources of VOCs (VOCs의 발생원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김윤신;황순용;전준민;안진호;장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79-380
    • /
    • 2001
  • 경제성장에 따른 자동차운행의 급증이나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들에 대한 사용량증가 등으로부터 야기된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배출량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VOCs는 질소와 함께 대기 중에서 빛 에너지에 의해 광화학 옥시단트를 형성하고 대류권의 오존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benzene은 이미 발암물질로 확인되었으며 다른 물질들도 주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중략)

  • PDF

유산균의 항암효과

  • 배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15-17
    • /
    • 1997
  • 암 발생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식사습관과 환경오염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음식물, 담배, 술, 대기오염, 스트레스, 자외선이 그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꼽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발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에 대한 Wynder 등의 역학조사에서도 식사습관이 암 발생에 중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다량 섭취가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 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한 곡류와 야채의 섭취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가 늘 섭취하는 음식물 자체는 대장암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 섭취된 음식물이 암을 일으키려면 장내 부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발암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발암물질들이 장관으로 흡수 자극함으로써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장내 미생물들은 장내 발암물질들을 무독화 하거나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 시킴으로써 암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itsuoka는 장내 미생물이 암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Veer 등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이 억제됨을, 국제암연구위원회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핀란드 쿠피오의 거주자들에게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대장암 발생율이 1/4에 불과하고 분변내 유산간균수는 100배 높은 사실을 역학조사에서 밝혔다. 이 외에 유산균과 발효유제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유산균의 항암효과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련 자료들을 요약,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 PDF

Taraxacum mongolieum Hand-Mass Aqua-acupuncture Solution as the Blocking Agent of Carcinogenesis (포공영약침액의 발암과정 blocking agent로서의 활성)

  • 손윤희;김소연;임종국;남경수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2 no.5
    • /
    • pp.549-554
    • /
    • 2002
  • Taraxacunf mongofieum Hand-Mass aqua-acupuncture solution (TMAS) was prepared and investigated og, the effect on initiation of carcinogenesis. The following effe.Is as a blocking agent were measured. .(a)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b)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c) Increase of reduced glutathione. TMAS was potent inducer of quinone reductase in Hepa Iclc7 murine hepatoma cells. C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MAS. In addition glutathione levels were increased about 1.6-fold with TMAS in cultured murine hepatoma Hepa Iclc7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