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아미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우리나라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t Phenological Trends in South Korea)

  • 이경미;권원태;이승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7-350
    • /
    • 2009
  •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는 지역의 기후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의 영향이 뚜렷하게 반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계절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 및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와 기온변화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봄철의 발아와 개화시기는 -0.7${\sim}$-2.7일/10년의 변화율로 앞당겨지는 경향인 반면 가을철 단풍절정시기는 3.7${\sim}$4.2일/10년의 변화율로 늦어지는 추세이다. 한반도의 봄철 식물계절 시기는 2월에서 3월 평균기온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2월에서 3월 동안의 평균기온이 $1^{\circ}C$ 상승함에 따라 봄철 식물계절은 3.8일씩 앞당겨지는 경향이다. 가을철 식물계절 시기는 10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가 높고 10월 평균기온이 $1^{\circ}C$ 상승함에 따라 3.1일씩 늦어지는 추세이다.

  • PDF

신나밀계 화합물이 배추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nnamly Derivatives on Crop Growth Inhibition of Brassica campestris.)

  • 김진효;최근형;박병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9-442
    • /
    • 2014
  • 신나밀계 화합물은 다양한 생물에 넓게 분포하는 생물 2차대사산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여러 생리활성이 규명되었다. 하지만, 작물의 생장조절기능성 연구결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신나밀기를 갖는 acid, amide, alcohol, aldehyde, ester등 46종의 유도체를 대상으로 발아와 유근생장억제능을 비교평가 하였다. 시험 결과, cinnamyl group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화합물의 경우 carboxylic acid group보다는 ester, amide, aldehyde와 같은 functional group에서 유근생장 억제능이 쉽게 관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WG는 meta-position에 위치할 때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innamamide, 3-chlorocinnamic acid와 4-methoxycinnamaldehyde는 100 mg/L 미만의 처리농도에서 배추에 대한 발아억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유근생장 생장억제기능성이 높아 작물 생장억제제로 사용가능한 cinnamyl 유도체임을 확인하였다.

발아현미 추출분말 첨가 배추김치의 발효 중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8-654
    • /
    • 2006
  •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띠라 꾸준히 증가하여 발효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고 Lactobacillus sp.은 발효 12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GBREP 3.35%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볏짚에 함유한 생리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Allelopathic Compound in Rice Straw)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1
    • /
    • 1997
  • 볏단이 있던 곳이나 콤바인 수확한 볏짚이 피복된 곳은 잡초 발생인 생육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볏짚에 함유한 allelopathic 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 볏짚을 80% 메칠알콜로 추출후 둑새풀로 생물검정, 10종의 표준 유기산이 둑새풀의 생육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 볏짚추출물을 silicagel column 으로 분획후 HPLC, GC/MS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HPLC분석에 의하여 볏짚에는 fumaric acid와 4종류의 미확인 유기산이 확인되었다. 2. fumaric acid를 포함한 7종의 유기산은 $10^{-2}$의 농도에서 둑새풀의 생육을 상당히 억제하였고 특히 발아를 100-90% 억제시켰다. 3. 볏짚에 함유한 물질중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GC/MS분석에 의하여 II-4-4Rf 0.5에 함유한 물질로 분자량 253인 치환된 유기산인 신물질로 Octadecanoic acid, 2-oxo-, methyl ester에서 methyl ester가 유리된 물질로 추정되었다.

  • PDF

발아현미 농축액 첨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he Kimchi with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발아현미 농축액(GBRC) 첨가량을 0, 1, 3 및 $5\%$(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C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숙성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Lactobacillus sp.은 숙성 9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발효전반에 걸쳐 GBRC $1\%$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온도ㆍ토양수분 포텐셜 및 삼투처리가 옥수수와 대두의 발아 및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Soil Water Potential and Osmoconditioning on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Corn and Soybeans)

  • 성락춘;해리 씨 마이너;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61
    • /
    • 1986
  • 옥수수품종 (Dekalb XL 72B)과 대두품종 ( Willi -ams)의 발아와 묘신장을 두 온도, 세 토양수분 포텐셜 및 네 polyethylene glycol(PEG) 8,000 수준에서 측정하였다. 각 품종의 20처리종자를 0.2% Thiram에 처리하여 가비중 1.20으로 압축된 살균사양토에 2.0cm 깊이로 파종 분할구배치법 사반복으로 실시하였다. 1. PEG로 한 삼투처리는 고온에서나 저토양수분포텐셜 조건에서 효과가 거의 없었다. 2. 대두는 옥수수보다 높은 묘수분함량을 보였고 두 작물 모두 토양수분 포텐셜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가 증가되었다. 3. 옥수수의 묘장이 35$^{\circ}C$에서는 대두보다 길었으나 15$^{\circ}C$에서는 짧았다. 4. 옥수수의 건물중은 35$^{\circ}C$에서 감소되었고 대두의 건물중은 토양수분 포텐셜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다.

  • PDF

유색벼의 품종별 종자 비중, 발아 특성 및 기계이앙 육묘시 적정 파종량 (Seed Gravity, Germination, and Optimum Seeding Rate for Machine Transplanting in Colored Rice Varieties)

  • 김상열;한상익;오성환;이종희;박노봉;권오덕;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82-292
    • /
    • 2015
  •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 되어 있는 유색벼 품종의 안전 육묘를 위한 종자의 발아특성, 적정 침종기간 및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색이 흑색인 조생흑찰 및 신명흑찰은 비중이 1.0이하의 물에 뜨는 종자가 85.7~86.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비중이 1.06이상 충실한 종자 비율은 1.0~1.3%로 다른 흑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신토흑미, 흑진주, 흑설, 흑남, 흑광은 비중이 1.0이하가 15.3~43.7%, 1.0~1.06이 24.6~39.4%, 1.0이상이 25.5~55.7%로 다양한 무게의 종자가 분포해 있었다. 그러나 적미인 홍진주, 적진주, 건강홍미는 일반벼인 일미벼와 같이 충실한 종자인 1.06이상의 비율이 84.0~86.6%로 높았고, 반면 비중이 1.0~1.06은 2.5~4.1%, 비중이 1.0이하의 물에 뜨는 종자의 비율은 9.3~12.1%로 낮았다. 2. 흑미는 일반적으로 물온도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적미보다 낮았고 발아속도가 느렸으며 평균발아일수도 길었고 수분흡수율도 낮았다. 그 결과 80%이상 발아하기 까지 침종기간이 적미나 일반벼 보다 2~4일 가량 더 결렸다. 이것은 흑미는 비중이 1.0이하의 가벼운 종자가 적미보다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 3. 상자육묘시 흑미의 출아율은 10일묘에서 75.2~82.2%, 30일묘에서 85.3~90.9%로 적미보다 10일묘에서는 4.5~8.0%, 30일묘에서는 0~3.3% 낮았는데 이것은 미출아율 종자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4. 기계이앙 육묘시 유색벼의 안전 육묘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관행 일미벼 어린모 및 중묘의 상자당 성묘개체수를 기준으로 흑미의 경우 어린모는 200~220g, 중묘는 110~130g이었고 적미는 일반벼와 같이 어린모 220g, 중묘 130g이었다.

종자은행 보존 벼 유전자원의 생태형별 종자수명 (Seed Longevity of Rice Germplasm in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 나영왕;최유미;백형진;이석영;강정훈;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16-222
    • /
    • 2014
  • 농업유전자원의 효율적인 활력 모니터링을 위해 벼의 종자수명을 밝히고자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중인 3,066점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인 벼 종자는 $4^{\circ}C$, 상대습도 30%의 저장고에 플라스틱병에 보관한 것과 $-18^{\circ}C$, 상대습도 35%의 저장고에 양철캔에 담아 진공포장하여 25년 이상 보존해 온 것이다. 서로 다른 저장 조건에서 보관 된 벼의 생태형별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율 분석으로 종자수명을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 초기 평균 종자수분함량이 $6.5{\pm}1.0%$이고 발아율이 94%였던 벼 유전자원을 $4^{\circ}C$ 저장고에 26.5년 보존 후 발아율은 47%로 저하된 반면, $-18^{\circ}C$ 저장고에 25년 보존된 것은 발아율 93%로 높은 활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4^{\circ}C$ 저장고에 보관된 벼 유전자원의 생태형별 종자수명($P_{50}$)은 인디카형 39.9년, 통일형 31.8년, 자바니카형 25.4년, 자포니카형 22.9년으로 나타났다. 벼 유전자원의 최종 발아율을 사분위수로 4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어 종자수명을 예측한바 I군은 21.1년, II군은 23.6년, III군은 30년, IV군은 75.7년으로 나타나 자원의 특성에 따라 50년 이상의 저장력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잡종 찰옥수수에 대한 연구 -III.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 수집종에 대한 주요 특성 분포 (Study on Waxy Maize Hybrid -III. Distribution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for the Collected Genetic Resources in Maize)

  • 서정은;주현민;최윤표;홍범용;조양희;주정일;지희정;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119-123
    • /
    • 2007
  • 2006년 국내 각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 유전자원을 관행방법에 의해 파종하고 주 요특성별로 분포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유전자원에 대한 발아율은 대부분 80~100%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일부 수집계통에 는 30% 미만의 극히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다. 2. 수집자원에 대한 초기생육을 살펴보면 극히 생육이 저조한 것이 40% 정도를 보였고, 극히 우수한 자원은 3%미만으로 나타났다. 3. 간장은 대부분이 150~199cm범위에 55%가 분포하고 있었으나, 100cm이하가 5%, 250cm 이상이 8%로 나타나 수집종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4. 주당 분얼수는 1개 미만이 40%의 분포를 보였으나, 일부 수집종에서 2 내지 3개의 분얼수를 보이는 계통이 확인되었다. 5. 개화소요일수는 61~64일의 범위에서 40%, 57~60일의 범위에서 30%의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일부 수집종의 경우 55일 이하의 극조생종도 10% 정도의 분포를 보였다. 6. 이삭길이는 대부분 11~15cm범위에 60%가 포함되어 있으나, 일부계통에서 5cm미만이 2%, 16~20cm의 이삭길이도 10%가 분포하였다.

  • PDF

사료용 피의 건답과 무논 파종 시 입모 및 초기생육특성 (Seedling Emergence and Initial Growth between Water and Dry Seeding in Forage Millet)

  • 안석현;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83-88
    • /
    • 2014
  • 제주피의 발아특성 및 파종 심도에 따른 초기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사료피 1호 종자는 $15^{\circ}C$ 이상에서 발아가 가능하였으며, $10-25^{\circ}C$의 범위에서 $20^{\circ}C$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나. 입모율은 담수와 직파에서 모두 $20^{\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담수직파에서 평균 입모율은 5.9%, 건답직파는 70.5%로 나타났다. 다. 사료피 1호의 출아가 가능한 종자의 최대 파종 깊이는 담수직파에서 15, 20, $25^{\circ}C$에서 0.5, 1.8, 1.5 cm, 건답직파는 각각의 온도에서 9.5, 10.0, 9.9 cm로 파종조건과 온도에 따라 변이를 보였다. 라. 사료피 1호는 담수와 건답직파 모두에서 온도와 관계없이 파종심도와 중배축장이 정의상관관계를 보여, 출아에 중배축 신장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