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수성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9초

아크릴계 보존처리제를 이용한 사암의 가압함침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Sand Stone by Pressurized Impregnation with Acrylic Materials)

  • 김연철;김사덕;김형중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5-401
    • /
    • 2011
  • 석조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으로 제안되는 가압 함침 방법으로 methyl methacrylate (MMA), MMA-butyl acrylate (PMB73) 공조성물 및 MMA-vinyl trimethoxy silane (PMV5) 공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암 및 화강암에 함침 처리한 후 물리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화강암과 비교하여 사암의 경우 함침율이 3.2 - 3.7 wt%로 높은 값을 보였고 고압 반응기 내에 감압 공정 도입 시 32%의 함침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물리화학적 특성인 발수성, 휨강도, 충격특성 및 초음파 속도 등도 화강암보다 사암에 대해 아크릴계 가압함침 처리제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사암의 공극이 많아 단량체 함침율이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아크릴계 처리제별 사암에 대한 충격파괴 에너지는 PMMA의 경우 1.22 J, PMB73은 1.84 J, 그리고 PMV5의 경우 2.8 J을 나타내었다. 충격 특성에서 무기 특성을 개선한 PMV5가 최적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크릴계 처리제의 분자 구조보다는 처리제의 무기 친화 특성이 석재의 충격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견의 탄닌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annin Weighting of Silk)

  • 정인모;이용우;이기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2-78
    • /
    • 1986
  • 견에 대한 오배자탄닌과 합성탄닌의 처리조임이 견의 탄닌증량율에 미치는 영향과 탄닌증량견의 염색조건 및 실용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결과 1. 견의 증량율을 기안한 합리적인 탄닌처리 농도는 오배자 30g/l, 합성탄닌산 15g/l이었고, 처리온도 및 시간은 8$0^{\circ}C$에서 60분 내외 처리용액의 산도는 pH 2-3이었다. 2. 탄닌처리 견의 염색조건에 있어서 부착된 탄닌의 탈락을 적게하며 염착농도(K/S)를 향상시킬 수 있는 OrangeII에 의한 합리적 염색온도 및 시간은 6$0^{\circ}C$, 90분이었다. 3. 탄닌염색 가공견포의 Soaping에 의한 색착($\Delta$E)는 미가공 견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됨으로서 세탁견도가 2급이나 향상되었다. 4. 탄닌 염색가공 견포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dyeloss율은 무처리염색견포의 1/6정도로 감소됨으로서 탄니처리 견포의 내광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5. 탄닌 염색가공 견포의 마찰견도와 발수성은 미가공 견포와 같은 수준이었으나 Drape계수는 감소됨으로서 의복의 착용감이 향상되었다.

  • PDF

양모직물의 내구성 발수 및 발유가공(II) (Durable Water and Oil Repellent Finish of Wool Fabric(II))

  • 나도춘;정순량;박병기;정경락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
    • /
    • 1998
  • It is important in the durable water and oil repellent finishing for wool fabric what kinds of water-repellent agents will be used. Water repellent agents and its concentration were aleady chosen in the previous paper, one of the crosslinking agents which has less damages(harsh handle or yellowing) to the treated fabrics was a low molecular weight urethane-based resins(eg. Elastron BN-11). In repellent finishing, fabrics were padded in a bath which contained aqueous solution of water-repellent agents, and crosslinking agents, and wetting agents, followed by drying and curing. The most suitable treating condition for excellent repellency and durability to dry-cleaning was as follows : Fabrics are padded at liquor pick-up ratio of 50%, with aqueous solution which contained $30g/\ell$ of water-repellent agents, and $1g/\ell$ of crosslinking agents, and 40g/s of wetting agents. And the padded fabrics were dried at $110^\circ{C}$ for 1 minute, and cured at $160^\circ{C}$ for 1 minute. For the fabrics, water and oil repellencies and durability to repeated dry-cleanings were observed. For enhancing the durability to dry-cleaning, the role of crosslinking agents was important for they bonds water-repellent agents and fibers to 3-dimensional net structure. Therefore, the most suitable drying and curing condition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kinds of crosslinking agents.

  • PDF

면직물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발수가공포의 염색효과- (A Study on Dyeability of Cotton Fabrics -Effects of Dyeing on Water Repellent Finished Cotton-)

  • 장지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5-124
    • /
    • 1997
  • In this study, Water Repellent Finish was carried out before dyeing on cotton fabrics. It was aimed to improve on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with direct dy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K/S value of water repellent finished cotton fabrics increased. This phenomena in water repellent finished cotton fabrics were much more noticiable than unfinished cotton fabrics. 2. The color fastness(light, washing, and rubbing) of water repellent finished cotton-dyed were worse than those of unfinished cotton-dyed with direct dye. △E of water repellent finished cotton fabrics was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at of unfinished cotton fabrics. 3. The water repellency of finished cotton after dyeing got down from 100 to 70. That of finished-cotton before dyeing was 100. 4. Moisture regain, stiffness and weight of finished cotton fabrics were not almost differenciated with unfinished cotton fabrics. Moreover, the tensile strength of finished cotton fabrics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unfinished cotton fabrics. A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hen the cotton fabrics were dyed with direct dye, it was much more effective that water repellent finished cotton fabrics were dyed rather than trational process, that is pre-dyeing after-finishing even if, by low liquor ratio.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s were maintained or increased.

  • PDF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toilet의 flushing에 의한 오염 분석과 수치 모델링

  • 도우리;노지현;양원균;주정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5-75
    • /
    • 2010
  • 배변 후 toilet flushing 시 다량의 세균을 포함한 물방울들이 화장실 곳곳으로 퍼지는 현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기 뚜껑에 자기 세정 효과를 갖는 초발수 표면을 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 연구의 일환으로 flushing시의 변기내의 유동 분석을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Toilet flushing 시 물 튀김 현상은 육안으로는 잘 관찰하기 어렵지만 최고 1000 frame/sec의 속도를 갖는 CCD camer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물 튀김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촬영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소변 시의 변기 표면에서의 튀김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변의 발사각도 및 속도를 가장 실제와 유사한 조건으로 설정하고 이를 상용 전산 유체 역학 소프트웨어인 CFD- ACE+의 자유 표면 계산 기능과 두 가지 유체(액체 및 기체)의 혼합 계산 모델을 사용한 계산 결과와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변기 표면의 표면장력을 아주 작게 설정한 경우(작은 접촉각, 친수성)에는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변이 변기에 충돌 후 상부로 상당부분 튀어 올라가는 결과를 얻었다. 여러 가지 각도와 발사 속도, 실제의 인체와 유사한 발사 부위의 형상 변화로 인한 유체 표면의 난류 발생과 이에 따른 변기 표면 충돌 현상 변화 등을 수치적으로 고찰하였다. 한 예로 5.6 mm 직경의 노즐에서 소변이 나오는 경우를 발사 속도 3 m/s, 각도 $10^{\circ}$로 주고 중력을 고려하여 10초 동안을 계산하면, 방뇨 시 toilet bowl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과 toilet 표면을 맞고 튀기는 현상을 그림 1과 같이 볼 수 있었다.

  • PDF

MWCNT 및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여 103Ω/cm2이하의 낮은 표면저항과 접촉각 160° 이상의 초발수성을 갖는 코팅액 개발

  • 김주영;이준균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94
    • /
    • 2018
  • 무인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등 전장부품 및 메인보드에서의 오염 방지와 전자파에 의한 신호 간섭 현상에 따른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고자 MWCNT의 clustering 및 tangling현상을 활용하여 self cleaning 기능을 갖는 super hydrophobic 표면과 high aspect ratio에 의한 percolation 현상을 활용하여 전자파 차폐를 위한 낮은 표면저항을 만족하는 복합 재료로 구성된 코팅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isopropyl alcohol(IPA)을 용매로 산처리 한 MWCNT와 무기바인더, 불소계 실란을 첨가하여 초음파 분산을 함으로써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full cone nozzle type, 흡상식 스프레이 조건으로 알루미늄 시편위에 스프레이 코팅 후 열경화 하여 접촉각측정기로 측정 결과 $160^{\circ}$이상의 초발수 표면과 Low Resistivity Meter로 표면저항을 측정한 결과 $10^3{\Omega}/cm^2$ 이하의 낮은 코팅막을 구현하였으며 내구성 실험을 위한 항온항습 장비로 $80^{\circ}C$의 내열테스트 및 80%와 $80^{\circ}C$조건하에서의 내습테스트 결과 표면에 이상 없음을 확인하였고 열전도율 측정을 위해 밀도 측정 결과 $2.68g/cm^3$, 비열 측정 결과 $0.85J/g^{\circ}C$가 열확산율 측정결과 $88.64mm^2/s$가 측정 되었으며 밀도, 비열, 열확산율을 곱한 값인 $201.9W/m{\cdot}K$의 열전도를 갖는 코팅막을 구현하였다.

  • PDF

표면코팅된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bonation Resistance of Concrete Using Surface-coated Lightweight Aggregates)

  • 엄인혁;정의창;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8
    • /
    • 2014
  • 경량골재의 내부공극을 통한 탄산가스 유입으로 인해 경량골재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탄산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4가지 표면코팅제로 코팅된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하여 탄산화 저항성을 보통 경량골재콘크리트, 보통콘크리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코팅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보통 경량골재콘크리트보다 우수한 탄산화 저항성을 보였으며, 특히 발수제보다는 고분자계 코팅제를 사용하였을 때 더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소수성 증진을 위한 PMHS 유액 혼입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e Analysis of Cement Composite containing PMHS Emulsion to Improve Hydrophobic)

  • 김영환;오홍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5-32
    • /
    • 2021
  • 고내구성 친환경 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폴리메틸 하이드로실록산과 폴리비닐알코올을 교반, 혼합하여 발수 및 소수성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시멘트페이스트에 혼합물을 첨가한 후 BSE와 EDS 분석을 통하여 수화반응 특성과 화학조성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MIP 분석에 의해 미세공극을 평가하였다. PMHS 유액을 혼입한 시멘트는 수화반응성이 높아지고 모세공극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시멘트 페이스트내에서의 유액의 분산 정도에 따라 공극률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유액의 경우에는 PMHS 유액만을 사용한 경우와 수화도와 공극률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멘트 표면을 PMHS 유액으로 도포한 경우의 접촉각은 OPC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VA 섬유를 같이 사용한 경우에는 과소수성 표면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량바닥판 콘크리트 코어의 물성분석을 통한 상태조사연구 (An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Bridge Deck Condition by Analysis of Concrete Core Properties)

  • 서진원;이지영;구본성;신재인;신도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89-792
    • /
    • 2008
  • RC 교량의 손상발생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바닥판은 동절기에 제설제 사용에 따라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내력저하와 표면열화, 심한 스켈링(Scaling)발생으로 상부 아스콘 포장층을 손상시키고 내부의 철근 부식을 가속화시켜 교량의 공용성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따라 교량 바닥판은 우수나 제설제로 부터 콘크리트 표면의 보호를 위해 침투식 또는 도막식 방수재를 시공하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 상부 포장층의 열화가 발생된 고속도로 교량을 대상으로 바닥판에서 채취한 코어를 통해 아스콘 포장층과 하부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태를 조사한 결과 콘크리트 바닥판에 시공된 교면방수층에서 도막의 손상이나 발수성저하로 인해 우수나 제설제의 침투를 일차적으로 방지하지 못해 열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교면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성능평가와 시공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와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카본아미노실리카 블랙 고성능감수제(CASB-SP)를 사용한 블랙콘크리트의 Mock-up Test 및 현장적용 (Mock up test and Field Application of Black Concrete Applying Superplasticizer containing Carbon Amino Silica Black)

  • 홍석민;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27-633
    • /
    • 2013
  • 최근에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간친화적인 공간창조 등 의장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요구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주태권도원의 2개의 블랙콘크리트 교량에 기존연구에서 얻어진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 고성능 감수제(CASB-SP)를 적용하기 위한 Mock up test와 현장적용사항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Mock up test 결과 일반적인 품질 항목은 양호하게 나타났고, 백화방지와 관련한 발수제 도포는 에폭시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현장적용에 활용하였다. 현장적용 결과 역시 기초적 특성은 모두 양호 하였고, 검정색 색상구현도 양호하였는데, 기존의 카본블랙 분말 색소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시공성, 품질 모두 양호하면서 30 % 정도의 저렴한 경제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