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생원단위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Study of Silk Selvedge Recycle (실크샐비지 재활용에 관한 연구)

  • Cho,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54-54
    • /
    • 2011
  • 실크제품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셀베지는 실크직물 생산량의 약 10% 정도 발생하지만 비용절감을 위해서 경사에 실크외의 합성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회수기술이 없어 전량 폐기되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셀베지 분리기계 및 분리 system을 개발하고 방적사의 원료로 재활용하여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고효율 회수장치 개발 및 방적사, 부직포 제조기술을 개발 하고자 한다. 경위사분리기의 기본 구성을 보면 제직현장에서 레피어 직기는 원단의 좌우측에서 절단된 셀비지를 한데 모아 두겹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수거된 셀비지를 하나씩 분리하여 연속작업이 가능하게 권취하였고,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막기 위해 물에 적신 후 가압롤러로 경사에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물기를 제거하며, 경사를 충분히 벌려주면서 회전날에 의한 진동으로 위사를 경사와 분리시키면서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도록 하였다. 경사의 권취속도와 회전날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분리 능력을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the Industrized Area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강우 유출 특성)

  • Kim, Min Ji;Song, Inhong;Park, Chang Eon;Jun, Sang Min;Park, Jihoon;Kim, Da Ra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5-415
    • /
    • 2015
  • 공업지역의 경우 비점오염원의 유출원단위가 타 토지이용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투수면의 비율이 높아 강우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강우 유출수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지역을 대상으로 강우 발생에 따른 유출량 및 수질을 조사하여 비점오염원의 배출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의 위치한 공업지역 3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비점 유출 조사는 초음파 유량계와 자동채수기를 이용하여 2014년 강우시에 지점별로 7회씩 총 21회를 실시하였다. 유출특성 조사를 위해 집수구역면적, 선행무강우일수, 총강우량, 강우지속시간, 유출지속시간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총유출량과 유출고, 유출률, 강우강도 등을 산정하였다. 강우유출수 샘플링은 국립환경과학원의 '강우 유출수 조사방법'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수질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OD_5$, $COD_{Mn}$, TOC, SS, TN, TP 총 6가지 항목에 대한 EMC를 산정하고 강우특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항목별 EMC 평균(범위)은 $BOD_5$ 2.2 (0.8~5.1) mg/L, $COD_{Mn}$ 4.0 (1.2~8.6) mg/L, TOC 5.4 (1.7~15.7) mg/L, SS 20.9 (2.0~88.9) mg/L, TN 2.4 (0.1~5.8) mg/L, TP 0.2 (0.0~0.9) mg/L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업지역 비점오염 원단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s of Nonpoint Pollutant Unit Load - Focus on Nonpoint Pollutant Unit Load in Paddy Field - (비점오염 발생 원단위 산정방법에 대한 고찰 - 논 비점오염 원단위를 중심으로 -)

  • Choi, DongHo;Choi, Soon-Kun;Kim, Min-Kyeong;Hur, Seung-Oh;Hong, Sung Chang;Yeob, So-Jin;Yoon, K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61 no.3
    • /
    • pp.15-22
    • /
    • 2019
  • In order to preserve water environment,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is used to manage the total amount of pollutant from various sources, and the annual average load of source is calculated by the unit load method. Determination of the unit load requires reliable data accumulation and analysis based on a reasonable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vised unit load estimation method by analyzing the unit load calculation procedure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NIER) method. Both methods were tested using observed runoff ratio and water quality data of rice paddy fields. The estimated values with the respective NIER and revised NIER methods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However, the Event Mean Concentration(EMC) and the runoff ratio considered in the NIER method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rainfall classes, and the difference in unit load increases as the runoff and EMC increase. The error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EMC and runoff ratio ar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by climate change and change of agr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calculate unit load by applying the revised NIER method reflecting the non point pollution runoff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rainfall classes.

Energy Demand Estimation in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Emergency using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활용한 대도시권역 비상시 에너지 수요량 예측)

  • Nam, Gyeongmok;Lee, Hong Chul;Lee, Dong-E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3
    • /
    • pp.105-112
    • /
    • 2019
  • Due to abnormal high temperature, electric power demand has exceeded the backup power reserved for emergency case, hence, resulting in a major power outage. In today's overcrowded cities, the unexpected disruption in energy supply and demand is a major threat to the enormous economic damage and urban malfunctions. Existing methods for estimating the demand of the emergency power source do not lend themselves to predict the actual demand in the spatial dimension of the city. In addition, the reserve power is arbitrarily distributed in the case of emergency.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predicts the emergency power demand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ergency power demand by applying the daily energy consumption intensity and emergency power demand according to urban spatial information and building use.

Estim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Changes Brought by a New Town Development (신도시 개발 후 도시하천의 장래수질 평가)

  • Park, Ji-Young;Lim, Hyun-Man;Yoon, Young-Han;Jung, Jin-Hong;Kim, Weon-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
    • /
    • pp.58-66
    • /
    • 2014
  • Water pollution problems of urban rivers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en the subject of public atten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cycle of each basin change dramatic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 large number of concerns about future water quality have been raised. However, reasonable measures to predict future water quality quantitatively have not been presented by this moment. In this study, by the linkage of annual unit load generation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result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to a semi-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e proposed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future water quality macroscopically and testified it to verify its applicability for the estimation of future water quality of a small watershed at G new town.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using Y-EMC (Yearly based Event Mean Concentration), future water quality were simulated as BOD 18.7, T-N 16.1 and T-P 0.85 mg/L respectively which could not achieve the grade III of domestic river life guidance and these criteria could be satisfied by the reduction of domestic wastewater discharge load by over 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to be utilized for one of basic tools to estimate and manage water quality of urban rivers in the course of new town developments.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Unit Loading in the Coal mining (광산(저탄장) 지역의 비점오염부하 유출특성)

  • Seo, Ji-Yeon;Shin, Min-Hwan;Choi, Yong-Hun;Shin, Hyun-Jun;Won, Chul-Hee;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22-1026
    • /
    • 2009
  •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초반부터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하기 시작하였으나 모두 단일강우 또는 제한된 수의 실측자료만을 이용하였다. 각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의 유출특성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강우량의 변화가 큰 지역의 경우, 강우 특성에 따라 특정 기간에 과도하게 오염부하가 산정될 수 있다. 최근 수질오염의 특징은 과거의 대량 발생원인 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에서 도시 강우 유출수나 농경지 등으로부터 대량의 비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비점오염은 점오염과 같이 일정한 출구를 통해 유출되지 않으므로 집중처리에 의한 조절 방법의 적용이 곤란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저탄장) 지역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계절별 비점오염부하 유출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오염부하와 EMC 농도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적인 모니터링 과제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수질분석과 유량을 측정한다면 광산(저탄장) 지역의 비점오염부하 산정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Seasonal Pollutant Loads Estimated at Coal mining Area (광산(탄광)지역의 계절별 오염부하량 비교 분석)

  • Shin, Hyun-Jun;Shin, Min-Hwan;Seo, Ji-Yeon;Choi, Yong-Hoon;Won, Cheol-Hee;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28-1032
    • /
    • 2009
  • 비교적 한정되고 정해진 구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점오염이라고 하는 반면, 비점오염은 도시, 농지, 산지, 등 불특정 구역에서 오염물질을 발생시킨다. 점오염에 관한 오염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었던 이전과 달리 최근에는 비점오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해짐에 따라 정부는 비점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유념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오염총량관리제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부는 기존 비점오염원 원단위 부하를 세분화 하여 오염총량제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점오염의 관한 연구 중 광산(탄광)지역의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광산(탄광)지역의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하여 계절별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량을 비교하고, ESTIMATOR 모델 방법으로 T-N과 T-P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광산(탄광)지역의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으로 비점오염부하 산정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중·일의 산업별 이산화탄소 배출구조와 배출요인 비교 분석 - 동북아지역 국제환경협력을 위한 모색 -

  • Jeong, Hyeon-Si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1
    • /
    • pp.85-117
    • /
    • 1997
  • 이 논문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구체화 될 경우 동아시아에서 잠재적 상호 협력 대상국이 될 수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을 대상으로 그리고 논의의 주요한 시기적 기점이 되는 1990년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하고 삼국간의 배출량의 차이를 산업별로 비교하고 그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여기서 중국은 지구온난화 가스 배출에 있어서도 세계에서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국은 새로운 OECD 회원국이 된 대표적인 신흥공업국으로서 지구 온난화 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 압력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환경문제에서도 유일한 선진국으로서 국제적 협력관계에서 지원국의 입장에 서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각각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한편 1990년은 1992년의 지구온난화 협약에서 논의의 기준연도이기도 하지만 한국과 일본에서 산업연관분석 통계가 이용 가능한 최근의 연도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이용 가능한 1987년도 산업연관분석 통계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삼국에 대해 각각 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 원단위 통계 등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추정 및 배출 요인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 졌다.

  • PDF

The research about the estimate of concentration ratio by the hydrologic condition of river watershed (하천의 수문조건에 따른 오염물질 유달율 산정에 관한 연구)

  • Ahn, Seung-Seop;Seo, Myung-Joon;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19-202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역과 점오염원, 비점오염원을 종합하고, 방대한 자료를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유역의 지형적인 특성과 수리 수문학적인 특성 및 오염원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반영하여 유달부하량의 모의가 가능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주요 지류에 대한 유달율산정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낙동강 유역 중 본류가 시작되는 곳으로부터 금호강지류와 합류하는 지점까지로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에 적용되는 자료는 2005년 1월${\sim}$12월의 실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유달율 산정 항목으로는 BOD, T-N, T-P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강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계절에 유달율이 높게 산정되었으며 또한 유역면적 보다 유량과의 상관성이 유달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배출부햐량의 산정을 위하여 강우의 영향과 발생부하 원단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Calculation of delivery ratio in Agricultural Catchment using SWAT (SWAT 모형을 이용한 농촌 소하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유달율 산정)

  • Kim, Man-Sik;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17-1521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가하천이나 주요 지방하천에 대해서는 환경부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측정망을 통해서 꾸준히 수질자료가 축적되고 있으나 농촌유역의 소하천 수질개선 사업을 위해 필요한 수질관련 자료는 거의 없다. 최근에 와서 수질 정보 시스템의 개발 및 수질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망의 확충 등과 같은 관리체계의 개선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에 소요되는 재원문제 등으로 채취빈도나 분석항목이 크게 미흡하다. 특히 조사가 유역이 크고 복잡한 복합유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연히 오염물질 유출에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이 개입되므로 해석자체가 특정유역에 제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과업에서는 농촌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실측 수질-유량 상관분석을 통한 수문모형을 구축하였고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4)에서 제시한 토지계의 발생부하 원단위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을 보정하였다. 보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1년(12개월) 오염물질 부하량 및 강우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현장실측을 통해 산정된 유달부하량과 모의 부하량과의 비를 이용한 유달율을 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