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사 소음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n Acoustic Noise around Launch Pad Induced by the Launch of a Space Launch Vehicle (우주발사체 발사에 의한 발사장 주변의 음향 소음 분석)

  • Sim, Hyung-Seok;Choi, Kyu-Sung;Ko, Jeong-Hwan;Roh, Woong-Rae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2
    • /
    • pp.208-215
    • /
    • 2012
  • The acoustic noise around a launch pad by launches of space launch vehicles was analyzed. The magnitudes of sound noise at some points near launch pad were predicted by locating the sound source at the exhaust jet plume of the rocket engine and considering several factors such as the directivity of the sound propagation and atmospheric attenuation. Specifically, the launch noise of Korea Space Launch Vehicle-I (KSLV-I) was estimated, and was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ment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proved to be heavily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vity of sound propagation and the analysi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measurements when the directivity of the sound was appropriately adjusted.

Comparative analysis of noise from three Falcon 9 launches (Falcon 9 로켓 3회 발사 소음의 비교 분석)

  • Mathews, Logan T.;Gee, Kent L.;Hart, Grant W.;Rasband, Reese D.;Novakovich, Daniel J.;Irarrazabal, Francisco I.;Vaughn, Aaron B.;Nelson, Paulin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9 no.4
    • /
    • pp.322-330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r-field noise from three Falcon 9 vehicle launches from Vandenberg Air Force Base, CA, USA, as measured from the same location within the nearby community of Lompoc. The overall sound pressure levels for the three launches are shown to be similar, but some differences in the early launch period are thought to be weather-related. The peak directivity angle in overall level is approximately 65 deg, which is consistent with horizontally-fired, static rocket data. For the third launch, waveforms and spectra are analyzed for different events during the launch sequence. The measured spectral bandwidth decreases with time, but spectral levels remain above the ambient noise throughout the main-engine firing. Additionally, late-launch phenomena observed in the data appear to be correlated with main-engine cutoff and second-stage engine start.

Launch Environmental Test for Dual Thrust Module of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다목적 실용위성(KOMPSAT)의 추진 장치(DTM)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

  • 김홍배;문상무;이상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75-80
    • /
    • 1997
  • 1999년 한반도 상공에 발사되어 21세기 한국의 우주 시대를 열어나갈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인 KOMPSAT의 개발이 한국 항공 우주 연구소를 주관 기관으로 국내외의 여러 기업 및 연구기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체의 설계, 제작 및 시험의 국산화 일환으로 국내에서 제작된 이중 추진 장치(Dual Thrust Module)의 발사 환경 시험에 대한 과정 및 결과에 대하여 언급코자 한다. 일반적으로 목표 궤도에서 발사체로부터 분리된 위성체는 자세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저궤도 위성의 경우 궤도상에 존재하는 공기등의 저항으로 인하여 빈번한 궤도수정이 필요하다. DTM은 이러한 궤도수정 업무를 담당하는 중요한 위성체의 부품이다. 그러나, 지상에서 발사시 발사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킬 우려가 있음에 따라, 제작된 DTM은 위성 본체에 장착되기 전 반드시 발사 시와 동일한 환경하에서 고유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 절차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TM의 발사 환경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위성체 및 부품의 시험기술을 축적하여 국내 위성 개발 분야에 기여코자 한다.

  • PDF

Design of launch pad for mitigating acoustic loads on launch vehicle at liftoff (우주발사체 발사 시 음향하중 저감을 위한 발사대 설계)

  • Tsutsumi, Seij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9 no.4
    • /
    • pp.331-341
    • /
    • 2020
  • At liftoff, launch vehicles are subject to harmful acoustic loads due to the intense acoustic waves generated by propulsion systems. Because these waves can cause electronic and mechanical components of launch vehicles and payloads to fail, predicting and mitigating acoustic loads is an important design issue. This article presents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ion of acoustic waves and the acoustic design methods applicable to the launch pad. The development of the Japanese Epsilon solid launcher is given as an example of the new methodology for launch pad desig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gether with 1/42 scale model testing were performed for this development. Effectiveness of the launch pad design to reduce acoustic loads was confirmed by the post-flight analysis.

Prediction of time-series underwater noise data using long short term memory model (Long short term memory 모델을 이용한 시계열 수중 소음 데이터 예측)

  • Hyesun Lee;Wooyoung Hong;Kookhyun Kim;Keunhwa L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4
    • /
    • pp.313-319
    • /
    • 2023
  • In this paper, a time series machine learning model, Long Short Term Memory (LSTM), is applied into the bubble flow noise data and the underwater projectile launch noise data to predict missing values of time-series underwater noise data. The former is mixed with bubble noise, flow noise, and fluid-induced interaction noise measured in a pip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latter is the noise generated when an underwater projectile is ejected from a launch tube and has a characteristic of instantaenous noise. For such types of noise, a data-driven model can be more useful than an analytical model. We constructed an LSTM model with given data and evaluated the model's performance based on the number of hidden units, the number of input sequences, and the decimation factor of signal. It is shown that the optimal LSTM model works well for new data of the same type.

화약산업의 발파안전 대책 - 소음진동 및 안전거리 설정을 중심으로 -

  • 안명석
    • Journal of KSNVE
    • /
    • v.2 no.1
    • /
    • pp.15-20
    • /
    • 1992
  • (1) 화약발파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필히 시험발파, 안전진단을 통해 공해 및 안전사고 발생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파악하여 발파공법, 천공공법, 사용폭약 의 종류, 사용약량 등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안전거리의 설정, 안전덮게, 안전망의 사용, 필요시 휀스철망 설치등의 안전조치를 완벽히 취해야겠다. 또한 현행 소음진동규제법에 의하면 폭약 사용시 7일전 신고의무 규정을 우리나라의 공사 현실을 감안해 볼 재검토 할 필요가 있다. (2) 선진국의 발파진동 기준을 우리나라 의 경우와 비교 분석해 볼때 우리나라의 경우 발파진동 안전기준은 도심지에는 대체 로 0.5cm/sec가 적당하고 고주택, 아파트 등이 밀집된 지역이나 건물지반이 특히 약한 곳은 0.2cm/sec을 적용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심지에서의 안전발파 를 위한 터널공법으로는 주변 생활환경 소음진동방지를 위한 심발법으로 브이 컷법 을, 여굴방지와 미려시공 등 공사시 안전사고, 소음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슬러리, 파이 넥스 폭약을 이용한 정밀면 발파법을 권장한다. (3) 연화발사시 안전 거리를 3.deg. 기준 최소반경 129m, 12" 기준 최고 반경 200m로 설정하여야 겠다. 또한 연화발사시 발생하는 폭발 소음은 80 - 100dB 정도로써 대량으로 장시간 발사 시는 청력장해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발사 총 시간이 대체로 30분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관람자나 일반인들이 소음피해를 호소할 수준은 아니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수 있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Acoustic Loads of Launch Vehicle Using NURBS Curve Modeling (넙스(NURBS) 곡선 모델링을 이용한 발사체 음향하중 예측에 대한 연구)

  • Park, Seoryong;Kim, Hongil;Lee, Sooga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6 no.2
    • /
    • pp.106-113
    • /
    • 2018
  • The Intense acoustic wave generated by the jet flame at the lift-off causes the vehicle to vibrate in the form of acoustic loads. The DSM-II(Distributing Source Method-II), which is a representative empirical acoustic loads prediction method, is a method of distributing a noise source along a jet flame axis and has advantages in calculation cost and accuracy.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istributing method, there is a limit to accurately reflect the various launch pad configurations. In this study, acoustic loads prediction method which can freely distribute noise sources is studied. by introducing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modeling into empirical prediction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newly introduced analytical technique of the NURBS, the acoustic loads prediction for the Epsilon rocket's low-noise launch pad shape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ediction methods and experimental results.

Launch Environmental Test for KOMPSAT PFM (다목적실용위성 준비행모델에 대한 발사환경시험)

  • 김홍배;문상무;이상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122-12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실용급 위성으로는 국내에서 처음 개발되는 다목적 실용위성의 개발과정 중 준비행모델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에 관련된 내용의 일부를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장시간의 개발기간과 고비용이 소요되는 위성체를 성공적으로 설정궤도에 발사하기 위해서는 소음 및 진동에 관련된 심도있는 연구가 필수적이며, 향후 우주 분야의 독자적인 기술 개발시 국내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PDF

위성체에 대한 발사 환경 실험

  • 김홍배;문상무;우성현
    • Journal of KSNVE
    • /
    • v.7 no.5
    • /
    • pp.717-724
    • /
    • 1997
  • 본 글에서는 위성체의 수명 중 초기의 매우 짧은 기간이지만 위성체의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발사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지상에서 구현하는 방법론에 대하여 언급코자 한다.

  • PDF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현상과 지상시험

  • 김희대
    • Journal of KSNVE
    • /
    • v.7 no.5
    • /
    • pp.725-728
    • /
    • 1997
  • 본 글에서는 위성체가 겪게 되는 여러 가지 환경 중에서도 특히, 발사체가 이륙되어 천이궤도 진입시까지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 현상과, 이와 같은 발사 환경에 의해 위성체설계에 하자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서 지상에서 행해지는 시험의 종류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