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목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8초

발목 운동 방법 - 벽과 수건을 이용한 발목 운동 방법

  • 김지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387호
    • /
    • pp.76-79
    • /
    • 2020
  • 인체면적의 고작 2%를 차지하는 발바닥은 체중의 98%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근골격계 질환 중에서도 손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부위가 발목관절인데요. 스포츠 활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도 손상이 잘 일어나며 한번 손상되면 발목관절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어 재손상이 쉽게 발생합니다. 이에 발목관절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적절한 예방운동이 꼭 필요합니다.

  • PDF

수직착지시 발목관절의 운동형상학적(kinematic) 분석 (Effect of Ankle Taping and Brief Exercise on Lower Extremity Kinematics of Healthy Adults During Vertical Drop Landing)

  • 이충휘;박소연;권혁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44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목에 테이핑을 한 후 40 cm의 높이에서 한 발로 수직착지를 할 때 발목관절에서의 테이핑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14명(남자 4명, 여자 10명) 이었다. 대상자에게 적용한 조건은 테이핑 전, 테이핑 적용, 30분 동안 트레드밀에서 걷기, 테이핑 제거상태 이었고 맥리플렉스(MacReflex)를 이용하여 발끝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발목이 최대 배측굴곡(dorsiflexion) 되기까지 걸린 시간, 발목관절 각도변화, 각속도를 측정한 후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조건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발목 테이핑은 수직착지시 발목의 배측굴곡을 제한하는 효과는 없다고 판단된다.

  • PDF

인체공학적 발목보호 시스템 설계 (System Construct of Ergonomic ankle protection)

  • 서인재;박미숙;안하나;최현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03-304
    • /
    • 2021
  • 발목 염좌가 발생 시 초기에 응급처지와 고정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재활 및 회복 과정에서 발목을 지지해주는 역할과 냉찜질과 온찜질을 제어해주는 보호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인체공학적으로 환자 발목에 맞는 보호대를 제작하여 발목을 제대로 압박해주어 재부상을 방지해줄 것이며, 보호대 자체에서 운동제어를 해줄 수 있게 설계하여 환자의 발목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온도 조절을 통하여 회복을 도모하며, AT분야와 접목시켜 압박센서와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환자들이 손상 이전 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발목보호 시스템을 설계하려 한다.

  • PDF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Factors on Ankle Joint Injury during One Leg Drop Landing)

  • 이성열;이효근;권문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39-847
    • /
    • 2020
  • 본 연구는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인 발목 유연성, 성별, Q-angle이 발목 관절 상해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오른발을 주발로 사용하고 체육을 전공하는 20대 남성 16명(나이: 20.19±1.78 years, 체중: 69.54±10.12 kg, 신장: 173.22±4.43 cm), 여성 16명(나이: 21.05±1.53 years, 체중: 61.75±6.97 kg, 신장: 159.34±4.56 cm)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첫째, 발목 상해 경험에 따른 하지 관절 움직임과 관절 모멘트의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α = .05). 둘째, t-test를 통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발목 유연성, 성별의 차이, Q-angle을 독립변인으로 지정하여 선형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α = .05). 본 연구결과 발목 관절 상해를 경험한 그룹은 상해를 경험하지 않은 그룹과는 다르게 발목 관절의 내전, 무릎 관절의 내측 회전을 통한 착지 전략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은 발목 관절의 신전 모멘트를 증가시키고, 엉덩 관절의 신전 모멘트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발목의 배측굴곡 유연성은 발목과 무릎의 착지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의 차이는 발목의 신전 모멘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발목관절의 테이핑과 수직 착지동작 (Ankle Taping and Vertical Drop Landing)

  • 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29
    • /
    • 2001
  • 발목에 대한 유착성 테이핑의 적용은 물리치료 분야와 운동 트레이닝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치료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발목 염좌 같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과 재활의 부가적인 치료 형태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발목의 테이핑과 트레드밀에서의 30분간 보행이 수직 착지 동작 동안 하지의 운동 역학적 요소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4명의 신체 건강한 대상자들 (남:10, 여:4)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발로 서있는 동안 40 cm의 높이로 뛰게 하였다. 가자미근, 전경골근, 안쪽넓은근, 넙다리 두갈래근에 근전도 전극이 부착되었다. 테이핑된 신체 부위로 착지하는 동안 근전도와 힘판(force plate) 자료가 500 Hz의 주파수로 수집되었다. 대상자들의 우세쪽 하지 발목에 테이핑을 하였고, 대상자는 한발로 뛰어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였다. 트레드밀에서 30분 동안 발목에 테이핑을 한 채로 보행하였고 이후 한발로 뛰어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테이핑을 적용한 상태와 테이핑한 채로 30분 동안 트레드밀에서 걷기 운동을 한 조건에서 수직 지면 반발력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착지 동안에 네 가지 상황에서의 최대 내측 가속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차이는 테이핑 전과 테이핑을 한 채로의 운동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테이핑한 상태에서 가자미근은 접촉되는 착지 순간부터 최대 수직 지면 반발력이 나타나는 동안의 평균 근전도의 수치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반면에 다른 근육들에서는 아무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록 발목 테이핑이 발목 손상의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번 실험의 결과는 30분 동안의 트레드밀에서의 보행 후 테이핑은 발목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효과는 있지만 한편으로는 가자미근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테이핑을 하면 점프와 착지로 이어지는 동작 중에 발목관절 손상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시각적 피드백에 따른 발목 움직임 조절 도구를 이용한 자가 운동이 노인의 발목 움직임 조절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 of a Self-exercise with Ankle Movement Control Device through Visual Feedback on Ankle Movement and Balance Ability for the Elderly: Case-study)

  • 조선영;신수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5-32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일반노인에게 시각적 피드백에 따른 발목 움직임 조절 도구를 사용하여 자가 운동을 시행하였을 때 노인의 발목 움직임 조절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사례 연구(case-study)로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80세인 일반 여성 노인에게 2주 동안 매일 오전, 오후 20분 동안 자가 운동을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는 발목 조절 움직임 평가를 위한 Tracking 검사, 균형 능력 측정을 위한 한발로 서기 시간 측정과 Timed up-And-Go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Tracking 검사에서 발목 조절 움직임의 향상을 보였다. 균형 능력 평가에서는 한발로 서기유지 시간은 증가하였으나, Timed up-And-Go검사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 시각적 피드백에 따른 발목 조절 움직임 도구를 이용한 자가 운동은 노인의 발목 움직임 조절과 균형을 향상 시켰다.

  • PDF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시 하지 근피로에 의한 동적균형이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lantar Pressure on Dynamic Balance by Fatigue of Leg in the Subjec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김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34-742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시 하지 근피로도에 따른 동적균형이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으로 진단된 14명의 발목불안정집단과 16명의 발목안정집단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하지의 근피로는 Biodex system III, 족저압은 Zebris FDM-S system으로 측정하였고, 한발로 점프 후 착지 검사로 동적균형을 실시하였다. 동적균형시 족저압 분포비율은 발목불안정집단의 전족부(p2, p3, p4)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동적균형시 근피로 유발 전후 족저압 분포 비율은 발목 불안정집단에서 발목 안정집단보다 전족부(p2, p3, p4)와 외측 중족부(p6)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종골부(p7)에서는 낮았다(p<0.05). 동적균형시 족저압 중심(CoP)의 전후이동거리(AP)와 좌우이동 폭(ML)은 발목 불안정집단이 발목 안정집단에 비해 근피로 유발 전보다 유발 후 유의하게 길었다(p<0.05). 기능적 발목불안정시 하지 근피로도에 따른 동적균형은 족저압 분포와 족저압 중심이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기능적 발목 불안정이 있는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족저압 차이를 객관화, 척도화 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3 축구선수의 발목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차이가 Y-Bal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Balance Test Difference of th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in K3 Soccer Players)

  • 최규호;이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01-304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목관절의 발등굽힘 가동범위에 따라 동적 균형능력을 평가하는 Y-Balance Test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 HADR군에서 PLRD(P<.05)와 CS(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목관절 발등 굽힘의 가동범위와 뒤안쪽 도달거리(PMRD), 뒤가쪽 도달거리(PLRD) 및 종합점수(CS)만 중등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발목관절 발등굽힘의 감소는 균형능력 능력을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축구선수의 손상의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발목 관절가동범위를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키네지오 테이핑이 온종아리신경 마비를 가진 환자의 발목관절의 근력, 움직임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nesio taping on ankle strength, movement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common peroneal nerve paralysis)

  • 박시은;조균희;박신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59-64
    • /
    • 2020
  • 온종아리신경 마비를 가진 환자에 대한 키네지오 테이핑의 효과는 연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온종아리신경 마비로 인한 발목 관절 부위의 기능적인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를 대상으로 키네지오 테이핑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종아리신경 마비를 가진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은 발목관절에 적용하였다(발등굽힘, 바깥들림 방향). 키네지오 테이핑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발목 관절의 도수근력검사(앞정강근, 긴종아리근), 능동 관절가동범위(발등굽힘, 바깥들림), 통증(시각사상척도, 통증 압력의 역치) 및 균형(한 발 서기동작)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중재 전, 중재 8주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종아리신경 마비 환자의 발목 관절에 키네지오테이핑을 중재 후 도수근력검사, 능동 관절가동범위, 통증, 균형을 모두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목관절에 키네지오 테이핑 적용은 온종아리신경 마비 환자의 발목기능 및 통증과 균형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발목의 Dorsiflexion과 Plantarflexion의 치료 (Treatment for Abnormalities When Raising Arms)

  • 신성윤;이현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342-34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의 발목 재손상을 예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발목의 안쪽 굽힙(Dorsiflexion)과 바깥쪽 굽힘(Plantarflexion)의 각도를 측정한다. 각도가 일정 범위 내에 있고 고통을 호소하지 않으면 정상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각도가 일정 범위에 못 미치고 고통을 호소하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에 대한 치료법(therapy)을 찾아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