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달지지간호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knowledge, development-supportive nursing competency, and development-supportive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alternative train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신생아 중환자실 온라인 대체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미숙아 발달지식, 발달지지간호역량 및 발달지지간호 수행간의 관계분석)

  • Ja Young Lee;Jae Woo Oh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5
    • /
    • pp.11-21
    • /
    • 2024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knowledge of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supportive nursing competency, and development-supportive nursing performance among 103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alternative train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2 to September 31, 2022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grade and development support nursing competency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development support nursing,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 was 22%.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developmental support nursing capacity of premature infants, it is believed that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content that considers the learning level of each grade should be developed.

Concept Analysis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Hybrid Model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혼종모형)

  • Kim, Jeongsoon;Shin, Heesu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20 no.4
    • /
    • pp.350-35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Methods: The hybrid model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main attributes and indicators. In the field work stag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and Cheona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5 nurses working in the NICU. Results: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care was found to have six attributes and ten indicators in 2 dimensions. For the nursing practice dimension, four attributes were derived. They were being like intrauterine state, individualization, interaction, and integrative care with awareness of development. For the family centeredness dimension, supporting parental attachment and professional alliance were attributes of developmental care. Conclusion: Developmental focused care can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behavioral responses of newborns and provide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for fostering growth and development. This concept analysis could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mental care" nursing practice and be useful for research in the neonatal field.

A Delphi study on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Preterm infants and their Families (미숙아와 가족을 위한 증강현실(AR) 기반 맞춤형지지 프로그램 개발 요구분석을 위한 델파이 연구)

  • Sin, Jae Eun;Kim, Ah R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49-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와 가족 대상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기반 맞춤형지지 케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관련 전문가 합의를 도출한 델파이 조사 연구이다. 3D 콘텐츠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 혹은 교육 콘텐츠를 발굴하여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델파이 분석에, 미숙아 및 전문가 집단 14명(1차)과 113명(2차)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델파이 집단에서 수집된 반응들의 분석 결과, 4개의 하위영역(AR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가치(장점), AR 기반 프로그램 도입과 적용 시 고려할 점, AR 기반 전인적 e케어 프로그램 도입 시 요구와 전략적 방안, 입원 초기부터 퇴원 전 단계별 지지케어 위한 3D 콘텐츠 개발 우선순위)이 분류되었으며, 총 57문항이 도출되었다. 입원 초기부터 퇴원 전 단계별 지지케어 위한 3D 콘텐츠 개발 요구도와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부모 경우 신생아 케어의 반복적 체험 훈련 통한 부모 교육, 아기 본연의 독특하고 고유한 캐릭터나 습관 및 특성 관련 정보 공유, 발달을 돕는 양육 또는 놀이 교육, 가족 요구 기반 특수 간호 기술 훈련 등의 항목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한편, 전문가의 경우 건강한 부모역할로의 이행을 돕기 위한 심리사회적지지, 부모-아기 간 단절 최소화, 미숙아 발달 관련 정보 및 양육 또는 놀이 정보 공유, 부모-아기 상호작용 기회 제공 등으로 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델파이 평가문항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 .89~.94로 높았고, 타당도와 문항 구성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미숙아와 가족을 위한 AR 기반 맞춤형지지 케어 프로그램 개발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프로그램의 임상적, 기술적, 사용적 가치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과 교수매체로서 부모와 전문가 집단이 요구하는 3D 콘텐츠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기획 및 설계의 근거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urses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 영향요인)

  • Hong, Hyemi;Son, Hyun-M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26 no.2
    • /
    • pp.131-13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9 nurses who had provided care to premature infants for more than 6 months and were recruited from the NICU of 8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 2017 through questionnaires that encompassed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developmental care perceptions, an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Results: More than half (51.8%)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d never received developmental care education, and for 89.6% of those who had received developmental care education, it was a one-time event. The average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of NICU nurses was 0.81, with a range of 0.5~1 poi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β=.27, p=.001) and developmental care perceptions (β=.23, p=.004) influenced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14%.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developmental care education for the NICU nurses must be provided systematically. In addition, strategies to improve nurses' perceptions of developmental care and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can promote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 KIM, SUNG SIL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8 no.1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Effects of Social Support, Abuse on the Ego-Integrity in the Elderly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대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Kim, Soon Yi;Lee, Jung In
    • 한국노년학
    • /
    • v.29 no.1
    • /
    • pp.231-242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buse on the ego-integrity in the elderly. Method: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08 with 306 older adults living at home.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social support, abuse, and ego-integrity.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for social support was 4.5, for abuse 1.16, and for ego-integrity 2.9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ego-integrity. The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buse, as well as between ego-integrity and abuse. The cor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ocial support and abuse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ego-integrity. Conclusion: A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support and preventing abuse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developed program for this population.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Attainment for Breastfeeding and Bottlefeeding Mothers at Four Months after Delivery (모유수유 유무와 산후 4개월된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 Lee, Hae-Kyung
    • 모자간호학회지
    • /
    • v.4 no.1
    • /
    • pp.33-40
    • /
    • 1994
  • 모유수유 유무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모유수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소, 모유수유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등 모유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다. 이에 비하여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모성행위, 어머니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모유수유 유무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모성간호사들은 모유수유 어머니가 인공수유 어머니보다 아기 양육에 더 자신감을 갖고 있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더 만족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공수유를 하는 어머니들 스스로도 모유수유를 하지 못함 때문에 아기에 대한 죄의식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생후 4개월된 아기를 갖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유무와 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성역할 긴장에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와 친척 및 친구의 지지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가 없었고, 모성역할 긴장 역시 차이가 없었다.

  • PDF

Concept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 Seo, Hyung-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398-407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The concept analysis process by Walker and Avant was used to clarify the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As a result,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was defined in terms of ethical sensitivity, ethical judgement, willingness to implement ethical behavior, and execution power of ethical behavior. Self-understanding, supportive environment, experience of ethical conflict and experience of ethical education can be seen as antecedents for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The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results in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nursing, and patient safe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stablish a basis for an instrument to evaluate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This will guide educators, as well as managers in healthcare,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 Shin, Da-Ae;Bang, Kyung-Sook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27 no.3
    • /
    • pp.261-27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investigative design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93 nurses work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t-test with the SPSS 25.0 program.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educational needs, we further analyzed data through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s. Results: The averag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was 3.74±0.78 out of 5, and the average performance was 3.46±0.81 out of 5. A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PA and Borich needs assessment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in the categories of 'individualized care', and 'I serve on the Developmental Care Committee at my institu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riving the priorities of educational needs us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highest priority was 'I provide appropriate pain management when noxious procedures are necessary'.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sign a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program suitable for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