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형태

Search Result 1,09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lux Cored Wire의 특성 및 사용상의 유의점

  • 김경중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6 no.3
    • /
    • pp.8-20
    • /
    • 1988
  • 현재 국내산업발달과 작업현장 여건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노동집약적 산업형태로부터 기술집약형 산업형태로 바뀌어져 가고 있으며, 이에 수반되는 것이 자동화 system임에 따라 자동, 반자동 용접의 채택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용접기술의 동향과 최근 발전되고 있는 Flux Cored Wire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법랑질 평골면 갈색반의 형태학적 관찰

  • Min, Sung-Kee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12 no.10
    • /
    • pp.763-766
    • /
    • 1974
  •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browny discolored enamel spot on smooth surface of permanent teeth was performed by mean of the Filmy Replica method and obtained the following: 1) The browny discolored enamel spot on smooth surface of permanenet teeth was identified as a dental caries.

  • PDF

A Systematic Study of Korean Rutaceae(I) - Mainly Treated with Venation and Stomatal Type - (한국산(韓國産) 운향과(芸香科)의 계통분류학적(系統分類學的) 연구(硏究)(I) - 엽맥(葉脈)과 기공형태(氣孔形態)를 중심(中心)으로 -)

  • Lee, Jeong Hwan;Kim, Sam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2 no.3
    • /
    • pp.260-270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ed a taxonomical relationships of Rutaceae on the subfamily, genus and species level in Korea using venation pattern and stomata typ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leaf venation of the Rutaceae has revealed three major venation types. Semicraspedodromous, Brochidodromous and Cladodromous. The leaf ufmations type of the genus Evodia and Phellodendron were similar to Cladodromous type. They showed gradual evolution from brochidodromous type of Aurantioideae to cladodromous type of Toddaloideae. The stomata ypes were reconized Anomocytic and Actinocytic type, and epidermal cells were Ansio. Polygonal and Medium typ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and length (r=-0.822), frequency and width (r=-0.780), and length and width(r=0.909) at 1% level.

  • PDF

The Effects of Room Shape on the Acoustics of Rectangular Rooms (장방형 실의 형태가 실내음향에 미치는 영향)

  • Yeon Chul-Ho;Park Kye-Kyun;Kim Hong-Bae;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43-446
    • /
    • 2000
  • 본 연구는 과학적이고 실험적인 접근을 통하여 공간의 비례와 실내음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체적과 마감재료가 같고 비슷한 기본축척의 모델을 중심으로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다른 4개의 모델에서 각각 SPL, EDT, C, RT, LEF, IACC 등을 측정하여 각 형태의 모델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잔향은 동일한 체적인 경우 음원으로부터 평균거리가 멀리 위치한 장방형의 형태가 양쪽 측벽 사이의 거리가 넓은 장방형보다 잔향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음압은 실의 체적이 작고 음원으로부터의 평균거리가 짧은 순서로 큰 반면, 명료도는 잔향의 크기순서에 반대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음원으로부터의 직선거리가 짧은 순서로 명료도가 좋게 나타났다. IACC는 양쪽 측벽의 거리가 가장 긴 모델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 음장에서는 그 변화가 작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IACC가 실의 형태에 장시간 관여하는 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about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Open Channel Bifurcation (개수로 분기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Dong-Kee;Kim, Chang-Wan;Rhee, Dong-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6-1290
    • /
    • 2006
  • 방수로는 홍수 피해 경감을 사용되는 구조적 대책으로 최근 국내에서 널리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방수로는 대체로 보통 횡월류위어 등으로 대표되는 유입부 구조물을 통하여 본류에 연결되지만, 평상시에도 본류의 유량을 일부 분담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젖은 하도(wet channel) 형태의 방수로는 별도의 유입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본류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유입부 구조물을 통해 연결되는 방수로의 특성은 유입부 구조물의 수리학적인 특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이에 반해 젖은 하도 형태의 방수로는 방수로의 폭(W), 방수로 유입되는 흐름의 유입각$(\theta)$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되며, 만약 설계된 방수로의 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따른다면 이러한 흐름은 '제한된 영위어고 횡월류위어 흐름(restricted zero-height side weir flow)'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의 흐름은 일반적인 횡월류위어에서의 흐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수로 분기 조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실험 수로를 설치하여 방수로 폭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분기 조건의 변화에 따른 분수로 유입부분에서의 수리학적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리브/웨브 형태를 갖는 축대칭 부품의 블로커설계 자동화에 관한 연구

  • 최재찬;김병민;김성원;김호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63-67
    • /
    • 1992
  • 본 논문은 프레스나 해머로 생산되는 리브/웨브 형태를 갖는 축대칭 부품에 대한 블로커설계 자동화시스템의 개발에 관하여 설명한 다. 플레시를 갖는 밀폐형단조 공정에서 블로커 형상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단조공정에서 부품의 형상은 대부분 3차 원 형상이다. 그러나 복잡한 3차원 형상의 부품을 그대로 고려하여 설계한다는 것은 어려움이 많고 실용적이지도 못하다. 따라서 블로커를 설계할 때 부품을 단면으로 도려함으로서 설계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축대칭 형태의 부품만을 고려하였다. 한 부품단면은 리브나 웨브와 같은 부분단면들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 부분단면들에 대하여 설계규칙과 데이타베이스를 적용함으로서 블로커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부품단면의 형상을 분할하여 시스템 내에 인식시키기 위하여 단면을 도면요소표현, 좌표 및 반경표현 그리고 속성표현으로 나타냈으며 여기에 단면의 도면요소표현은 부품의 체적, 단면적, 원주길이 및 반단면의 질량중심을 계산하는데 쉽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좌표 및 반경표현은 경사각, 코너반경과 필렛반경을 수정하는데 그리고 속성표현은 리브와 웨브의 형태와 특성을 고려하여 블로커를 설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Morphology and Barrier Properties of HDPE/Nylon Blend (HDPE/Nylon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투과 특성)

  • 김두호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2
    • /
    • pp.125-135
    • /
    • 1993
  •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lene, HDPE)내에 차단성 수지인 나일론 (Nylon)이 분산된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유기 용제에 대한 차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나일 론이 구형, 실린더 및 판상 구조 형태를 가지며 분산된 블렌드를 가공조건을 변화시켜 제조 하였다. 블렌드의 모폴로지가 유기 용제의 차단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시 험을 하였으며 수치 모사를 통하여 투과도를 이론적으로 예측해 보았다. 동일한 나일론양에 서 분산상인 나일론이 구형 또는 실린더 형태를 갖는 경우 투과액에 대해 낮은 차단성을 보 이는데 반하여 판상구조를 갖게되는 경우에는 차단성이 크게 상승함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 는 판상구조형태를 취함으로써 블렌드내에서의 투과액의 투과경로가 길어졌기 때문이다. 나 일론 층의 여러기하학적인 형태변화에 대해 GRM관계식 및 이를 수정한 식을 이용하여 투 과도를 예측하여 보았다. 나일론층의 중첩도가 높다고 가정한 경우가 중첩도를 낮게 생각한 경우에 비해 높은 차단성을 보임을 수정된 GRM 관계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나일 론 층의 폭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두께가 감소할수록 높은 차단효과를 보임을 예측 할 수 있 었다.

  • PDF

임계 열유속(CHF) 상관식 형태와 적용 방법에 따른 예측 오차 및 여유도

  • 백원필;장순흥;황대현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9 no.6
    • /
    • pp.49-59
    • /
    • 1997
  • 본 기술 보고는 임계 열유속(Critical Heat Flux; CHF)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상관식의 형태와 적용 방법, 이에 따른 예측 오차와 여유도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CHF 현상에 대해서는 지난 반 세기 동안 발생 메커니즘, 예측 모델, 설계에의 적용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수행되어 대부분의 운전 조건에 대해 신뢰할만한 예측 모델들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예측 모델의 이용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예측 오차의 의미가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글에서는 예측 모델의 형태 및 적용 방법에 따라 예측 오차가 달라지는 원인을 명확하게 해석하고, 실제 계산을 통하여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관식 형태 및 이용 방법에 따라 임계 열유속비(Critical Heat Flux Ratio: CHFR)와 임계 출력비(Critical Power Ratio; CPR)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를 논의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 In korean hemifacial microsomia patients (한국인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 크기에 관한 연구)

  • Chang, Young-Il;Yang, Won-Sik;Nahm, Dong-Seok;Kim, Tae-Woo;Baek, Seung-Ha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1 s.78
    • /
    • pp.43-52
    • /
    • 2000
  • Hemifacial microsomia ( HFM ) is the second most common craniofacial abnormalies. HFM represnted a spectrum of clinical findings such as hypoplasia of the mandibular ramus and condyle, confinement of maxilla growth, external and/or middle ear defects, involvement of some cranial suture, buccal soft tissue, facial nerve, and muscles in the affected side. HFM often showed progressive facial asymmetry and occlusal plane slanting to the affected side with growth. There were several reports about asymmetry of tooth maturation, hypodontia, delayed eruption, enamel hypoplasia in HFM. Since teeth develope in close association with size and morphology of the maxillary and the mandible, it is highly likely that dental changes will be present in HF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s in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between the affected and the non-affected side of HFM..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34 unilateral HFM Patients (18 males and 16 females, average age : 5 year 11 months old). The authors examined the mesiodistal and the faciolingual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and performed statistical study by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siodistal dimensions of the mandibular second primary molar and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in the affected side of HFM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non-affected sid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mandibular first primary molar. It means that a gradient of severity from anterior teeth to posterior teeth was found in the mandibular dentition. 2.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olingual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in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between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of HFM, there were general trend of compensatory increase in faciolingual dimension of the mandibular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in the affected side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HFM might affect on the abnormality of tooth dimension, especially the most posterior teeth, in the affected side of the mandible.

  • PDF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and The Modernisation of The Korean Economy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와 근대화)

  • Trevor Noble;Hyun-Seob Cha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6 no.2
    • /
    • pp.140-157
    • /
    • 1993
  • 이 글은 1993년 4월 5일에서 8일 사이 영국의 에쌕스 대학교 (Univ. of Essex) 에서 열렸던 연례 영국 사회학회에서 발표되었던 글을 줄이고 다시 다듬은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내용과는 꽤 차이가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이 땅에 밀어 닥쳤던 산업화, 도시화를 비롯한 이른바 근대화에 의하여 엄청난 사회변동을 겪었다. 인구학적으로든, 문화적으로든, 그리고 경제 성장면에서나 사회적으로도 변화의 폭과 속도는 다른 어느 나라와도 비길 수 없는 거대한 것이었다. 이런 변화의 물결 속에서 한국 가족은 스스로 많은 변신을 하여야 했다. 그리고 그 변화는 그 자체가 또 하나의 사회적 힘으로 등장하여 제2, 제3의 영향력을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연속적으로 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가치관은 사회구조의 중요한 부분들을 차지하고 여전히 한국인의 삶을 조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맥락에서 가족구조의 변동을 분석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가족크기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현대 한국인들 사이에 가장 자주 관찰되는 가족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일반적 유형으로부터 벗어나 버린 가족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런 것들은 어느만큼 뚜렷한 존재로 증가하였는가 등을 따져 보았다. 지난 4반세기 동안 일어 났던 가족분야의 변동은, 전통적 가족주의의 원리가 전반적으로 약화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근대화 이론의 논의와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 원리가 비록 미약하나마 여전히 존재하며, 생각지도 못하였던 가족 형태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근대화 이론의 타당성은 재음미되어야 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