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형태

Search Result 1,09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as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racking at the Circuit Breaker after starting fire (화재발생 이후 분전반 차단기에서의 트래킹현상 진행 가능성에 대한 사례연구)

  • Park, Y.G.;Lee, S.H.;Lee, S.J.;Park, J.T.;Song, H.L.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9 no.1
    • /
    • pp.47-53
    • /
    • 2006
  • 본 논문은 화재발생 이후에 화재현장의 조건에 따라 분전반의 주차단기 전원측 단자에서의 트래킹 현상 진행 가능성에 대하여, 화재현장 조사사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화재현장 조사과정에서 분전반의 주차단기 전원측 단자에서 트래킹 형태가 식별됨에도 불구하고 그 부하측에서 전기적인 특이점이 식별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트래킹 형태가 식별되는 점만으로 발화원인을 판정하는 자세를 지양하고, 구체적인 연소형태를 검토하여 발화개소, 연소확대 경로 등의 해석 및 전체적인 전기계통의 고찰을 통하여, 분전반 주차단기에서의 발화원인 등을 판정해야되며, 또한, 화재현장의 정밀조사 없이 분전반 및 차단기의 조사와 해석만으로는 발화여부 또는 발화원인에 대하여 논단하는 것이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Speaker-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Using a Hybrid System of Semi-Continuous HMM and RBF (반연속 HMM과 RBF 혼합 시스템을 이용한 화자독립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Moon Yun Joo;June Sun Do;Kang Chul 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6-3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반연속 HMM과 신경망 알고리즘인 RBF(Radial Basis Function)를 혼합한 형태를 음성인식에 적용한다. 기존의 반연속 HMM은 학습 과정에서 모든 모델과 상태에서 공유되는 L개의 가우시안 확률 밀도들과 각가우시안 확률 밀도들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흔합 밀도계수 의해 입력 음성의 특징을 확률적으로 모델링하는 혼합 확률을 얻고 또 Maximum likelihood와 Baum-Welch 알고리즘을 이용해 초기확률, 전이확률, 관측확률, 평균벡터 $\mu$, 공분산 행렬 $\Sigma$을 학습해 나간다. 그러나 제안한 RBF/반연속 HMM 혼합형태는 RBF의 변형된 방식을 첨가해 반연속 HMM 관측 파라미터를 RBF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보단 분별릭 있는 화자독립 인식 시스템이 된다. 그래서 인식 실험결과 인식률에 있어서 기존의 반연속 HMM보다 향상된 인식률을 얻는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Coleoptera: Sthphylinidae) (민깨알반날개(Oligota kashmirica benefica)의 형태적 특징 및 행동습성)

  • Choi Duck-Soo;Kim Kyu-Chi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4 no.2
    • /
    • pp.91-9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verwintering sites and behavior for each stage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Coleoptera: Sthphylinidae). Egg was oval type, yellow, 0.3 mm size. Larva exuviated 3 times and the last (3rd) instar, length 1.6 mm, wide 0.4 mm, became dermata pupa in soil. Adult was lightish dark-brown, and coriaceous forewing covered a half of abdomen. O. kashmirica benefca mainly overwinters with adult at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windbreaks of orchards, but it did not diapause in greenhouse during winter.

Application of Harmonic Seismic Sources to Precision Investigation of Underground Geological SDtructure Part 1 (Wave Field generated by Harmonisc Source Attached to the Surface of Elastic Half Space) (조화진원에 의한 정밀지하구조사탐사 I (표면조화진원에 의한반무한 탄성체의 파동장 해석))

  • 하동호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9.04a
    • /
    • pp.93-99
    • /
    • 1999
  • 조화진동하는 점진원에 의한 반무한 탄성체의 응답해석을 수행해 탄성체의 임의의 깊이에서의 응답을 나타내는 계산식을 유도했다 이결과는 최근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조화진원에 의한 정밀 지하구조탐사에 중요한 이론적 바탕이 된다. 먼저 실용상 중요한 수평가진에 의한 응답을 계산했다 표면에 큰 응답이 표면파의 형태로 발생하지만 수평진원의 에너지 방사형태는 지향성을 가지고 있어 진원아래의 원뿔형의 영역이 크게 여기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 PDF

A Study on the Objects Arrangement of Display Panel and the Cognitive Accuracy under the Virtual Reality Evaluation Tool (가상현실 기법을 적용한 평가도구를 활용한 계기반 배치 및 인지 정확도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Yu, Seung-dong;Park, Peom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1
    • /
    • pp.1-8
    • /
    • 2000
  • Most of the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is presented to driver through the display panel that is related to the vehicle. If display panel is designed with the c consideration of driver's visibility, drivers can get broad visual field and visual I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promptly and exactly during driving situation. Therefore display panel has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driver's task performance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device that affects the driver-automotive interaction. Many r researches about shape, characteristic and color of display panel have been performed, but not sufficient in this country Nowadays most of vehicles has an analog type display. but its shape and arrangement a are various without any definite standards about position. Therefore. experiments using evaluation tool (VISVEC System) were conducted to inquire the driver's preference on the major objects arrangement of display panel (speedometer. tachometer. fuel meter. and t thermometer) and to ascertain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drivers according to the objects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rrangement c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subjects and the cognitive accuracy but the cognition of V visual information more easy when the each major object has its area.

  • PDF

Semi-Automatic Video Segmentation Using Virtual Blue Screens (가상의 블루스크린을 이용한 반자동 동영상분할)

  • 신종한;김대희;호요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279-28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가상의 블루스크린(Virtual Blue Screens, VBS)을 이용한 반자동 영상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가상 블루스크린은 동영상에서 배경영역을 특정한 값으로 채워 만든 참조영상으로 정의한다. 반자동 영상 분할 기법은 크게 화면내 영상분할과 화면간 영상분할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화면내 영상분할은 VBS와 원영상의 형태학적 분할 기법을 사용하고, 화면간 영상 분할은 두개의 연속하는 화면에서 변화검출(Change Detection)로 이루어진다 [1].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변화검출을 위하여 제안된 VBS를 사용한다. VBS를 이용한 영상분할에서는 우선, 이전화면에서 만들어진 VBS를 참조하여 다음화면에서 움직임 영역을 예측한다. 이렇게 예측된 영상과 원영상에 대해 형태학적 분할 기법(Morphological Segmentation Technique)을 이용해서 각각에 대한 레이블 마스크(Label Mask)를 얻는다 [2]. 두개의 레이블 마스크 사이에는 서로 공통된 영역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런 공통된 영역을 추출함으로써 움직임 객체를 검출한다. 현재화면에서 검출된 움직임 객체는 다음화면을 위한 가상의 블루 스크린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 PDF

building Extraction from Im 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rough Line Analysis and Matching (1m 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라인분석과 정합을 통한 반자동 건물추출연구)

  • 김태정;임영재;김경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01-306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1m 해상도 위성영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여러 인공지물 중에서 아파트 및 산업용 건물 등, 비교적 중대형이고 사각형 형태인 건물들을 반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기존에 연구된 건물추출을 위한 방식으로는 Perceptual Grouping, 스테레오 분석, LIDAR 센서 등에서 얻은 3 차원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는 단일영상 만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건물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영상으로부터 라인을 추출한 후, 라인분석을 통하여 건물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고, 탬플릿 정합을 이용하여 이를 개선한다. 그리고 자동으로 추출된 건물외각선에 포함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동편집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먼저 수행한 건물추출 결과를 활용하여 주변에 유사한 형태의 건물외각선을 빠르게 추출하기 위해 기존에 추출된 건물 외각선 Polygon 을 탬플릿으로 정의하고 정합을 수행하여 건물 외각선을 추출한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다른 방식들에 비해 추가적인 영상이나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에 정확한 사각형형태의 건물을 추출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Mies' office projects in Germany through an analysis of Formal Types (형태 유형 분석을 통해 본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독일시대 사무소 건축에 관한 연구)

  • Kim, Chul-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0
    • /
    • pp.6372-637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l types and public space of Mies van der Rohe's office designs in German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typ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formal types, and the composition of public space were analyzed by hierarchy with perspective drawings and plan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Mies used the formal types, such as U shape and I shape in his early days. Later, he adopted the curved shape and tried to fragment the forms by combining the curved shape with an I shape. Mies designed the entry space in front of the simple formal types. The curved shape was used to create various hierarchical courtyards and rear gardens. The results suggest that Mies developed his own ideas on the formal types and public space utilizing a variety of methods.

A Study of Administrating the Mathematical Circle in Whole-day Club Activities in a Middle School (중학교 전일제 계발활동에서 수학반 운영에 대한 연구)

  • Han In-Ki;Kim Hyun-J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3 s.27
    • /
    • pp.391-405
    • /
    • 2006
  • In this paper we study on administration system and student's activities in whole-day club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propose teaching methods, mathematical program for the year, and concreat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 circle in whole-day club activities.

  • PDF

A Study on Hybrid Structure of Semi-Continuous HMM and RBF for Speaker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화자 독립 음성 인식을 위한 반연속 HMM과 RBF의 혼합 구조에 관한 연구)

  • 문연주;전선도;강철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8
    • /
    • pp.94-99
    • /
    • 1999
  • It is the hybrid structure of HMM and neural network(NN) that shows high recognition rate in speech recognition algorithms. And it is a method which has majorities of statistical model and neural network model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style of the hybrid structure of semi-continuous HMM(SCHMM) and radial basis function(RBF), which re-estimates weighting coefficients probability affecting observation probability after Baum-Welch estimation. The proposed method takes account of the similarity of basis Auction of RBF's hidden layer and SCHMM's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so as to discriminate speech signals sensibly through the learned and estimated weighting coefficients of RBF. A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rates of the hybrid structure SCHMM/RBF are higher than those of SCHMM in unlearned speakers' recognition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proved to be one which has more sensible property in recognition than SCHM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