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출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Evacuation Efficiency in the Airplane Cabin on Emergency (항공기 비상상황 시 기내 대피 효율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ung Hyun Yoo;Young Sam Lee;So Jung Na;Jong Hoon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1
    • /
    • pp.128-13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rough experimental methods, the efficiency of passenger movement and evacua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on an aircraft.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 total of 4 times, including 3 scenarios. The three situations were evacuation without luggage, evacuation with carry-on baggage, and evacuation with carry-on baggage and carrier. In the experiment, time was measured based on recorded video. Result: The total evacuation time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1.5 times higher for the evacuation with luggage, and approximately 3.5 times higher for the evacuation with luggage and 3 carriers compared to the evacuation result in a situation where nothing was carri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vacuation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n particular, consideration of complex situations such as carrying out and moving carriers is considered to be a situation that requires more technical research. Conclusion: Quantitive data was obtained to determine how carry-on luggage and carrier affect evacuation.

A Study of the Cultural Legislation of Historic Proper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hosun Treasure Historic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Decree (1933) -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 Kim, Jongso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2
    • /
    • pp.156-179
    • /
    • 2020
  • The Preservation Decree (1933) is the basic law relevant to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of colonial Chosun, and invoked clauses from the Old History Preservation Act (1897), the Historic Scenic Sites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Act (1919), and the National Treasure Preservation Act (1929), which were all forms of Japanese Modern Cultural Heritage Law, and actually used the corresponding legal text of those laws. Thus,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Decree transplanted or imitated the Japanese Modern Cultural Heritage Law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stitution can be proved to some extent. The mai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ation Decree are summarized below. First, in terms of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the Preservation Decree strengthened and expanded preservation beyond the existing conservation rules. In the conservation rules, the categories of cultural properties were limited to historic sites and relics, while the Preservation Decree classifies cultural properties into four categories: treasures, historic sites, scenic spots, and natural monuments.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Decree is considered to have advanced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law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for conserving cultural property, expanding the scope of cultural property, introducing explicit provisions on the restriction of ownership and the designation system for cultural property, and defining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natural treasury. Second, the Preservation Decree admittedly had limitations as a colonial cultural property law. Article 1 of the Preservation Decree sets the standard of "Historic Enhancement or Example of Art" as a criteria for designating treasures. With the perspectiv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acted as a criterion for catering to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governor's assimilation policy, revealing its limitations as a standard for preserving cultural assets. In addition, the Japanese imperialists asserted that the cultural property law served to reduce cultural property robbery, but the robbery and exporting of cultural assets by such means as grave robbery, trafficking, and exportation to Japan did not cease even after the Preservation Decree came into effect. This is because governors and officials who had to obey and protect the law become parties to looting and extraction of property, or the plunder and release of cultural property by the Japanese continued with their acknowledgement,. This indicates that cultural property legislation at that time did not function properly, as the governor allowed or condoned such exporting and plundering. In this way, the cultural property law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stituted discriminative colonial legislation which was selected and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the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and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of Japan focused on the use of cultural assets as a means of realizing their assimilation policy.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the cultural property legisl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used as a mechanism to solidify the cultural colonial rules of Chosun and to realize the assimilati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Development of Semi-automatic Cabbage Piling System for Tractor Implemented Chinese Cabbage Hervester (트랙터 부착형 배추 수확기용 반자동식 배추 적재시스템 개발)

  • Song, K. S.;Choi, D. Y.;Hwang, 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7 no.3
    • /
    • pp.211-218
    • /
    • 2002
  • 배추 생산에 있어서 수확, 운반, 적재 작업은 가장 노동이 집약적으로 요구되는 작업들이다. 최근, 여러 종류의 양배추 수화기가 일본과 유럽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 재래되는 배추는 크기와 형태에 있어 양배추와는 달라 기 개발 기종의 도입이 어렵다. 또한 수확작업의 생력화 효과는 운반, 정선, 적재 작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출하시의 작업체계를 고려하여 수화에 따른 수집.반출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수확시의 배추는 중량이 25~45 N 정도로 다 작물에 비하여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확작업의 기계화를 위해서는 수확장치와 더불어 연속적으로 수확되는 배추를 적절하게 수집하여 적재하고 반출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확작업의 생력화 효과를 높이고 생력화 시스템 비용의 절감을 목적으로 작업자 1인에 의해 작업할 수 있는 반자동 형태의 트랙터 부착형 배추 수집, 적재, 반출시스템 시작기를 개발하였다. 시작기는 배추 이송장치, 적재장치, 팔렛 및 반출장치의 3개 부분과 PLC를 이용한 주 제어기로 구성하였다. 배추 수집용기로는 대략 70개의 배추를 담을 수 있는 크기가 1,050 mm$\times$1.050mm$\times$1,000mm 인 접이식 메쉬 팔렛을 사용하였으며 하단부에 롤러 안내판을 부착하여 적재한 팔렛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팔렛을 제외한 전체 시작기의 중량은 235 N 이였으며 크기는 3,940mm$\times$520mm$\times$1,630mm 이었다. 본 연구는 수확장치의 기능 및 생력화 효과를 극대화하고 배추의 손상정도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송장치는 트랙터 부착시 횡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도록 하였으며 적재장치는 적재시 배추의 손상을 줄이고 배추가 놓이는 자세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관을 부착하였다. 시작기의 실내시험 결과 이송장치는 0.18 m/s~0.36 m/s의 범위에서 적재장치는 0.4 m/s~2.4 m/s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하였으며 두 장치를 동시에 구동하여 시험한 결과 이송장치는 0.26 m/s~0.36 m/s, 그리고 적재장치는 0.9 m/s~2.4 m/s 에서 적정하게 안정적으로 구동하였다. 적재장치의 성능에 있어서 1~3단 적재시에는 주름관을 이용하여 적재하고 4~5단 적재시에는 자유낙하에 의한 적재를 수행할 경우 인력에 의한 적재와 거의 동등한 적재량을 보였으며 손상정도는 거의 무시할 정도였다. 트랙터가 0.3 m/s로 주행하는 경우 노지로부터 배추를 뽑아 이송하는 뽑기벨트의 적정속도가 0.46 m/s인 점을 고려할 때 배추 이송 컨베이어는 0.34 m/s 이상의 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으며 적재 컨베이어는 2 m/s~2.4 m/s의 속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배추의 주간 거리가 대략 30~40 cm 인 점을 감안하면 적재장치는 초당 1개의 적재성능을 보였다. 실내에서 수행한 시스템의 성능은 배추에 큰 손상없이 전반적으로 성공적으로 구동하였으나 향후 노면이 고르지 못한 포장에서의 성능 시험이 필요하다.

초점 - 원자력연구원 보관 사용후핵연료의 관리와 반환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6 no.11
    • /
    • pp.5-11
    • /
    • 2016
  •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반입된 사용후핵연료에 대해 최근 대전 지역 정가와 시민단체 등이 이송 과정, 보관 은폐, 규정 위반 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핵연료 반입 중단과 반출을 촉구하고 있다. 그 동안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수행해온 사용후핵연료의 이송, 보관 및 연구 개발, 그리고 이와 관련한 정보 공개 사항 등을 QA 방식으로 종합했다.

  • PDF

포커스 - 호조태환권 인쇄 원판 62년 만에 고국 품으로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10
    • /
    • pp.78-79
    • /
    • 2013
  • 우리나라 최초로 근대 화폐를 찍은 인쇄판(원판)이 한국전쟁 중에 미국으로 불법 반출됐다가 62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정(청장 변영섭)은 지난 8월 3일 오후 3시에 대검찰청 대회의실에서 변영섭 문화재청장, 채동욱 검찰총장, 성김 주한 미국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정부로부터 '호조태환권(戶曺兌換券) 인쇄 원판'을 전달받았다.

  • PDF

한국 브로일러 상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제언

  • 어형선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7 no.4 s.186
    • /
    • pp.40-45
    • /
    • 1985
  • 닭고기의 품질을 높여야 한다는 데는 모두 의견을 같이 한다. 정부당국에서도 도계품의 포장유통을 의무화한데 이어 5월 16일부터는 특급도계장에 한해서 타시도 반출을 허용한다고 한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이 닭고기의 품질을 높이는데 얼마나 공헌할 것인지는 두고 보아야 하겠지만 전문가들이 지적한 품질 향상을 위한 시급한 문제들은 무엇인지 알아 본다. 이 글은 지난해 본회와 미국사료곡물협회에서 초청한 미농무성 도계검사관 어형선 박사의 보고 내용을 편집자가 요약한 것이다.

  • PDF

기계학습을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의 무게그룹 분류

  • Gang, Jae-Ho;Gang, Byeong-Ho;Ryu, Gwang-Ryeol;Kim, Gap-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7-86
    • /
    • 2005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장치장으로 반입되는 수출 컨테이너의 무게를 몇 단계 그룹으로 나누고 각 무게그룹 별로 모아서 장치한다. 이는 수출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는 적하 작업 시 선박의 안정성을 위하여 무거운 무게그룹의 컨테이너들을 장치장에서 먼저 반출하여 선박의 바닥 쪽에 놓기 위함이다. 하지만 반입되는 컨테이너의 무게그룹을 결정할 때 사용하는 운송사로부터 받은 무게정보는 부정확한 경우가 많아 하나의 스택(stack)에 서로 다른 무게그룹에 속하는 컨테이너들이 섞이게 된다. 이로 인하여 무거운 무게그룹의 컨테이너를 반출할 때 해당 컨테이너의 상단에 놓여진 보다 가벼운 무게그룹의 컨테이너들을 임시로 옮겨야 하는 재취급(rehandling, reshuffling)이 발생하게 된다. 적하작업 시 장치장에서 재취급이 빈번히 발생하면 작업이 지연되므로 터미널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재취급 발생을 가급적 줄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하여 반입 컨테이너의 무게그룹을 보다 정확히 추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탐색을 통하여 분류기 생성에 관여하는 비용행렬(cost matrix)을 조정함으로써 재취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분류기(classifier)를 생성하는 방안을 함께 소개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 적용 시 재취급 발생을 $5{\sim}7%$ 정도 줄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 PDF

Efficient heuristic of vehicle routing problem for container shuttle service (컨테이너 터미널 반출입 프로세스 운영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Jung-Woo;Shin, Jae-Young;Chung, Ch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31-132
    • /
    • 2009
  • The container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berth-side, yard area and gate. Until now, many studi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terminal operation efficiency have been focused on berth and yard productivity. With regard to gate operation, existing studies were examined from hardware perspectives such as non-stop system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r OCR(Optical Character Reader).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urried out on the improvement of the gate in/out proces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improve the terminal operation efficiency.

  • PDF

Design of a Predictive Model Architecture for In-Out Congestion at Port Container Terminals Through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 반출입 혼잡 영향 요소 분석을 통한 반출입 혼잡도 예측 모델 아키텍처 개념 설계)

  • Kim, Pureum;Park, Seungjin;Jeong, Seokchan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33 no.2
    • /
    • pp.125-142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congestion in the in-out transportation at port container terminals, and to design of a predictive model for in-out congestion based on these analysis. This study focused on architecting a deep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methodology. First,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impact of vessel schedules and external truck schedules on in-out transportation. Next, explored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s to a design the architecture for deep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vessel schedules significantly affect in-out transportation. Specifically, the volume of transportation increases as the vessel arrival/departure time and the cargo cutoff time approach. Additionally, significant congestion patterns in transportation volume depending on the day of the week and the time of day were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