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자동 구축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3초

의미적 시각미디어 웹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반자동 생성 (Semiautomatic Ontology Construction for Semantic Visual Media Web Service)

  • 김하영;이충우;황재일;서보원;나연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C)
    • /
    • pp.12-16
    • /
    • 2007
  • 웹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시스템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를 웹 서비스에서 검색, 통합하는 등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웹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검색자원을 가질 수 있는데 HERMES는 웹 서비스 시각미디어 검색 시스템의 일종이다. 오늘날의 웹 서비스는 시맨틱 개념을 접목시켜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고 정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온톨로지를 주로 활용한다. 시맨틱 개념의 핵심기술인 온톨로지는 단어와 관계들로 구성된 사전으로서 어느 특정분야에 관련된 단어들을 계층적 구조로 표현한 것이다. 본 논문은 온톨로지의 반자동 생성을 위해 Mining Extractor를 구축하여 HERMES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ining Extractor는 대상 도메인을 필터링하고 도메인간의 계층구조를 파악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워드넷(WordNet)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연관규칙을 적용하였다.

  • PDF

한국어 격틀사전 기반 의미역 반자동 부착 도구 (Semi-automatic Semantic Role Labelling Tool based on Korean Case Frame)

  • 김완수;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4년도 제26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51-254
    • /
    • 2014
  • 의미역 결정은 문장의 서술어와 그 서술어에 속하는 논항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문제로, 기계학습에 의한 의미역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의미역 부착 말뭉치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 격틀 사전을 사용하여 각 서술어의 논항의 의미역을 제한하여 작업자가 빠르게 의미역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역 반자동 부착 도구(UTagger-SR)를 개발하였다.

  • PDF

PPEditor: 한국어 의존구조 부착을 위한 반자동 말뭉치 구축 도구 (PPEditor: Semi-Automatic Annotation Tool for Korean Dependency Structure)

  • 김재훈;박은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1호
    • /
    • pp.63-70
    • /
    • 2006
  • 말뭉치(corpus)는 많은 언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언어처리 및 계산언어학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말뭉치에 언어 정보를 부착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이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말뭉치 구축 도구가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존구조 부착을 위한 말뭉치 구축 도구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해서 기술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주석자가 전혀 개입하지 않고, 말뭉치를 구축하는 것이나 이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말뭉치 구축 도구는 반자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도구도 반자동이다. 제안된 도구는 언어 분석기의 분석 결과에 내포된 오류를 효과적으로 수정할 수 있고, 또한 가능한 한 반복적인 작업을 피할 수 있으며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해서 20어절 이상의 1만 문장에 의존구조를 부착해 보았다. 잘 훈련된 8명의 주석자들이 매일 4시간씩 2개월 동안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는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었으며, 작업 시간과 인력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시소러스 자동생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법학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Automatic Construction of Thesaurus in the field of Law)

  • 남영준;최석두;이두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7년도 제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0
    • /
    • 1997
  • 정보의 양이 많아질수록 색인과 검색의 중요성도 증가한다. 특히, 시소러스는 법학 분야와 같이 세부주제간 구분이 가능하고 복합적인 분야의 검색에는 매우 중요한 검색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시소러스를 개발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는 기존에 개발된 시소러스의 수정 및 보완이라 할 수 있다. 즉, 기존에 구축된 시소러스를 대상으로 문헌정보학전문가와 법학 전문가가 함께 연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시소러스 구축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한 시소러스를 자동생성하기보다는 언어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반제품형태의 시소러스를 제공하므로서, 기존에 개발된 법학분야의 시소러스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제품 시소러스의 개발방법을 제시한다.

  • PDF

자동 음성 분할 시스템의 성능 향상 (An improved automatic segmentation algorithm)

  • 김무중;권철홍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45-4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 합성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HMM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소경계를 추출하고, 음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보정하는 반자동 음성분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16KHz로 샘플링된 음성을 대상으로 삼았고, 레이블링 단위인 음소는 39개를 선정하였고, 음운현상을 고려한 확장 모노폰도 선정하였다. 그리고 언어학적 입력방식으로는 음소표기와 철자표기를 사용하였으며, 패턴 매칭 방법으로는 HMM을 이용하였다. 유성음/무성음/묵음 구간 분류에는 ZCR, Log Energy, 주파수 대역별 에너지 분포 등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훈련된 음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날씨 등의 코퍼스를 사용하였으며, 성능평가를 위해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문장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자동 음성 분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수작업에 의해서 분할된 음소경계 위치와의 오차가 10ms 이내가 $87\%$, 30ms 이내가 $91\%$가 포함되었다.

  • PDF

하위범주화 사전의 구축 및 자동 확장 (Development and Automatic Extraction of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 이수선;박현재;우요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179-181
    • /
    • 2000
  • 한국어의 통사적, 의미적 중의성 해결을 위해 하위범주화 사전을 구축하였다. 용언에 따라 제한될 수 있는 문형 패턴과 의미역(semantic roles) 정보의 표준을 정하여 이를 부가하였고 구축한 하위범주화 사전이 명사에 대한 의미를 갖고 있는 계층 시소러스 의미사전과 연동하도록 용언과 명사와의 의미적 연어 관계에 따라 의미마커를 부여했다. 논문에서 구현된 하위범주화 사전이 구문과 어휘의 중의성을 어느 정도 해소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반자동적으로 의미 태깅(Sense Tagging)된 말뭉치와 구문분석된 말뭉치를 통해 검증 작업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자동으로 하위범주 패턴에 대한 빈도 정보나, 연어정보, 각 의미역과 용언의 통계적 공기 정보 등을 추출하여 하위범주화사전에 추가시켰다. 또한 여기서 얻은 정보를 기준으로 하위범주화 사전을 자동으로 확장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확장시켰다.

  • PDF

형태소 합성 기법을 이용한 형태소 패턴 사전의 반자동 구축 (Semi-Automatic Construction of Morphological Pattern Dictionary using the Method of Morphological Synthesis)

  • 박인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278-5283
    • /
    • 2011
  • 초고속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위한 하나의 방법은 사전에 형태소 결과를 미리 저장해 놓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소 패턴 사전을 수작업으로 구축하려면 많은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오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형태소 합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형태소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올바른 형태소 분석을 위해 사용한 형태소 패턴의 86%를 자동으로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형태소 패턴을 이용한 형태소 분석기가 403MB의 한국어 코퍼스를 분석하는 데 걸린 시간은 2.8GHz 윈도우 시스템에서 52.68초였다.

한중 기계번역 시스템을 위한 동사구 패턴 반자동 확장 방안 연구 (A Study on Semi-Automatic Construction of Verb Patterns for a Korean-Chinese MT System)

  • 홍문표;류철;김영길;박상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3년도 제1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73-27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한-중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한중 동사구 패턴의 반자동 생성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한중 동사구 패턴은 한국어와 중국어간의 변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구문분석과 중국어의 생성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고급 언어자원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패턴 반자동확장 방안은 기존의 한중 동사구 패턴으로부터 대역어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동사구 패턴을 생성해내는 방법이다. 본 방법론은 시스템 개발 초기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전기반 패턴 구축이 끝난 후, 패턴의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한국어와 중국어 같이 활용 가능한 대역 코퍼스가 아직 많지 않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실험 결과 67.15%의 정확률과 4.58배의 패턴 확장률을 나타냈다.

  • PDF

위키피디아 기반 개체명 사전 반자동 구축 방법 (A Semi-automatic Construction method of a Named Entity Dictionary Based on Wikipedia)

  • 송영길;정석원;김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397-1403
    • /
    • 2015
  • 개체명은 다양한 자연어처리 연구 및 서비스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된다.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연구에서 개체명 사전을 이용한 자질이 개체명 인식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개체명 사전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시간 소모적이고, 인력 소모적인 작업이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사전을 반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능동학습을 이용하여 위키피디아 분류정보로 구성된 가상 문서를 개체명 범주 당 하나씩 생성한다. 그리고 잘 알려진 정보검색 모델인 BM25를 이용하여 위키피디아 엔트리와 가상문서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유사도를 바탕으로 각 위키피디아 엔트리를 개체명 범주로 분류한다. 서로 다른 3종류의 개체명 범주 집합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 시스템은 매크로 평균 F1-점수 0.9028, 마이크로 평균 F1-점수 0.9554이라는 높은 성능을 보였다.

접미사 패턴을 이용한 온톨러지의 구축방안 (Ontology Construction methodology with Suffix pattern)

  • 임수연;구상옥;송무희;이상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547-549
    • /
    • 2003
  • 본 논문에서 는 특정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정보들과 그들의 관계를 정의해놓은 온톨로지를 반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특정 도메인의 코퍼스에 있는 텍스트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실험 도메인 내에서 빈번히 출현하는 전문용어들을 접미사와의 결합형태에 따라 추출하고 계층구조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약품매뉴얼을 대상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구축된 온톨로지는 자연스런 의미군을 형성하면서 풍부한 의미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정보검색 등의 전문적인 지식의 접근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론의 기반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