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응추출

Search Result 2,50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Antioxidants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미역 포자엽의 항산화물질 추출 조건 최적화)

  • Yu, Mi-Yeong;Kim, Gyeong-Hwan;Lee, Jae-U;Kim, Sang-Gwon;Yang, Ji-Yeong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2 no.4
    • /
    • pp.317-321
    • /
    • 2004
  • We selected a solvent for producing antioxidants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Optimum extraction condition for antioxidant ability(Y) of sporophyll of U. pinnatifida was investigat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A compound central design was used with variables ($X_1$)temperature($^{\circ}C$) (3.4; 20; 60; 100; 116.6); ($X_2$) pH(1.8; 3; 6; 9; 10.2) and ($X_3$) treatment time(min) (1.7; 10; 30; 50; 58.3).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and increasing temperatur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nt ability(Y) of sporophyll of U. pinnatifida were found to be temperature $51.55^{\circ}C$, pH 4.2 and treatment time 28.2 min. Among the variables tested, pH showed greater significant facin extraction of antioxidants from sporophyll of U. pinnatifida.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Mechanisms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in Collagen-induced Arthritis Rats (쥐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에 대한 유근피의 효과 및 기전)

  • Song, In-Kwang;Lee, Seung-Deok;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83-100
    • /
    • 2007
  • 목적 : 쥐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에 대한 유근피 추출액의 면역 반응 효과 및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유근피 추출액의 면역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콜라겐 유도 관절염 쥐가 사용되었다. 실험에 쓰인 쥐 뒷다리의 부종 용적은 volume meter로 측정하였고, lymphocyte 증식, 표1, 표2 및 TNF-${\alpha}$ 레벨은 3-(4,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run bromide(MTT) assay에의해 측정하였다. 활막세포의 cAMP 레벨은 경쟁적 단백 결합검사 (CPBA)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2형 콜라겐에 대한 항체는 효소면역 협착검사법(ELISA)을 반복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실험에서 유근피 추출액( 20, 80, 150mg/kg, ig ${\times}$ 7days)의 시술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콜라겐 유도관절염 쥐의 체중과 면역 기관의 무게를 유지하였다. 콜라겐 유도 관절염 쥐에서 림프구의 증식과 IL-2의 생산은 복막의 대식세포 및 활막세포의 IL-1 , TNF-${\alpha}$와 함께 증가하였고, 유근피 추출액 (20, 80, 150mg/kg, ig ${\times}$ 7days)의 시술은 이러한 변화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0.5, 2.5, 12.5, 62.5, 125mg/l 농도에서의 유근피 추출액은 활막세포의 cAMP 레벨을 증가시킨데 반해 콜라겐 유도관절염 쥐에서의 시험관 실험결과에서는 감소시켰다. 유근피 추출액은 2형 콜라겐 항체의 농도에 대하여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 유근피 추출액은 항염증 작용과 면역조절 작용을 갖고 있고, 활막세포의 G protein-AC-cAMP transmembrane signal transduction 형질 도입 신호에의한 콜라겐 유도관절염 쥐의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옥수수 전분 추출공정 및 물성개선을 위한 방사선의 이용연구

  • 강일준;이수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1994.07a
    • /
    • pp.15-16
    • /
    • 1994
  • 옥수수 전분의 추출공정 개선 연구의 일환으로 메 밀 찰옥수수에 0-10 kGy범위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전분 추출시험과 추출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펴가하였다. 적정선량 범위의 감마선조사는 전분추출을 위한 침지시간을 기존 50시간에서 40시간으로 단축 시킬 수 있었으며, 환경기준 물질인 옥수수침지액(아황산용액)의 농도를 기존 0.8-1.2% 에서 0.2%로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옥수수전분 추출액에 있어서 감마선 조사된 메옥수수와 찰옥수수는 비조사군에 비해 10-30% 이상의 추출율 증대효과를 나타내었다. 추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시험에있어서는 두 시료 모두 감마선조사에 의해 alkaili number와 광투과도가 크게 증가 하였으며, 물 결합능력 및 swelling power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전분의 색도는 조사군과 비조사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효소반응 시험에서는 감마선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효소반응 생성물인 포도당과 환원당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Amylograph에 의한 물성시험에서는 감마선조사에 의해 전분호화액의 점도는 감소되었고, 그 경향은 메옥수수보다 찰옥수수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감마선의 이용은 옥수수 전분의 breakdown ratio 및 setback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어 식품가공에서 전분의 고존도 사입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시사하였다.

  • PDF

Human Sensibility Parameter Estimation by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 with the Examiner Direct-Selecting Image Presentation (생체 신호처리에 의한 인간 감성 파라미터 추출 - 피검자 영상제시물 직접 선정기법에 의하여)

  • 황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
    • /
    • 2001
  • 시각제시에 의한 감성반응 생체신호 추출 실험시 시각 제시물 선정에 주관적 방식을 사용하였다. 시각제시 영상물로는 감성반응도가 가장 큰 인물얼굴 영상자료를 선정하였다. 피검자군 스스로 자신이 극도로 선호하고 혐오하는 양극단의 얼굴영상물을 선호도 특성조사를 통해 선택케 하였다. 외부와의 영상잡음이 차폐된 모니터 제시 장치를 구성하여 선호와 혐오의 양극단 영상물을 교차 제시하며 설문조사와 뇌파를 측정하였다. 피검자로는 남녀 대학생 20명을 선발하였으며 영상매체 선정을 비롯한 뇌파측정에 과정에 참여시켰다. 뇌파신호 분석 방법으로는 대역별 적분값, 반응구간 변화 미분값을 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교차제시에 따른 반응민감도가 향상되었으며 동일 시각 반복제시에 따라 민감도가 둔화됨을 밝혔다.

  • PDF

A Study on EEG-based RT Detection During a Yes/No Cognitive Decision Task (인지적 긍정/부정 선택과제 수행 시 뇌파를 이용한 반응시간의 감지)

  • 신승철;남승훈;류창수;송윤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78-28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인지적 긍정/부정 선택 과제의 수행 시 뇌파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반응시간 RT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실험 Task에서 피험자는 시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 문제의 해석, 손 움직임의 조절, 손동작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의 피험자의 정신상태의 변화를 모델링하고, 선택시간 ST를 감지하여 피험자의 반응시간 RT를 예측한다. ST를 감지하기 위하여 측정한 뇌파로부터 $\alpha$, $\beta$, ${\gamma}$파를 분리하고, 4쌍의 전극들로부터 3가지의 특징들을 추출한다. 추출한 특징들을 분석하여 각 피험자별로 나타나는 상세 규칙과 공통적인 특성인 일반 규칙들을 설정하고 이들을 적용한다. 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평균 81%의 ST 감지 성공률을 보이고, ST 감지 이후 약 0.73초에서 RT가 나타나는 것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기존의 인지적인 정신상태 판별을 위한 방법들이나 왼손/오른손 동작구분 방법들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BCI를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Data Mining Using SOM Studying Algorithm (이동형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SOM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응용에 관한 연구)

  • Lee, Dae-Young;Bae, Sang-Hyun;Jung, Myong-Jin;Song, B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09-41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실제 경영의 의사결정 등을 위한 활용가치가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는 방법론으로 SOM을 적용하였다. SOM은 자율(upsupervised)과 경쟁(competitive) 학습을 한다. 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 SOM의 출력 노드중에서 다른 출력 노드과 비교해서 가장 강하게 반응하는 노드가 있을 것이며, 그러한 출력 노드를 더욱 더 강하게 반응하게끔 반복적으로 학습시키는 것이다. 입력에 대해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출력 노드를 선택하여 반복 학습을 시키면, 후에는 결과적으로 어떤 출력 노드가 반응되는지를 조사하면 거꾸로 입력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량의 데이터, 잠재적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데이터를 SOM을 통해 유용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경영의 의사결정을 위한 수단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Optimization of Iso-flavonoids Extraction Process from Kudge Using Ultrasonic Irradiation Energy (초음파에너지를 이용한 칡으로부터 이소플라보노이드의 추출공정 최적화)

  • Lee, Seung Bum;Kim, Su In;Hong, In Kw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9 no.5
    • /
    • pp.503-509
    • /
    • 2018
  • In this study, we used the ultrasonic extraction process as a method to extract antioxidant substances from kudzu, and measured the content of iso-flavonoids puerarin, daidzein, daidzin contained in kudzu.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hich i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optimizing the extraction amount of iso-flavonoids from the kudzu and the process condition for maximizing the yield was applied. It is the final objective of this study to effectively derive the condition of the process that matches the target response with a minimum number of experiments and analyze the effect of each process condition on the response. In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applied and the optimum condition was analyzed, and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to ultrasonic irradiation time, volume ratio of ethanol/ultrapure water, ultrasonic irradiation power.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um conditions with the maximum extraction yield and the content of iso-flavonoids were evaluated as ultrasonic irradiation time (24.75 min), ethanol / ultrapure water volume ratio (39.75 vol%), ultrasonic irradiation power (592.36 W).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ppears as high as 0.8938, which is recognized at a significance level within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timization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ultrasonic irradiation time is the factor that most affects the responses.

Screening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Unmarketable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시장성이 없는 갈변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

  • Kang, Mi-Young;Kim, Sul-Yi;Yun, Hye-Jung;Nam, Seok-Hyu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7 no.4
    • /
    • pp.396-402
    • /
    • 2004
  • For industrial application to manufacturing functional foods for health using browned oak mushroom, we examined its reducing power, inhibitory effect on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phenolic compounds and phytates contents, modulatory effects on NO radical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generation by activated macrophages, and antimutagenicity in order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of browned oak mushroom for health. While overall ethanolic extracts have higher reducing power than aqueous extracts, browning reaction was found to increase reducing power by up to 28% at a 3.32 mg/ml sample concentration. Browning reaction also increased phenolic compound content by about 73% compared to raw mushroom. However, any significant change in phytate content could not be detected.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treatment of ethanolic extract of oak mushroom increased NO generation over 43% in LPS-stimulated macrophage. On the contrary, the aqueous extracts rather decreased it over 17% at the same sample dose. However, any solvent extract from browned oak mushroom seems not to cause any change in both NO production and MMP9 activity. In addition, browning reaction did not allow any significant change in suppressive effect on mitomycin C-induced mutagenesis as examined with SOS chromotest. These results suggest a possible use of browned oak mushroom with unmarketable quality as a material for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cessed functional foods for health.

Antioxidant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Extracts Obtained from Glucose-Ammonia (1M+8M) Browning Mixtures (Glucose-Ammonia (1M+8M)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에서 얻어진 Methylene Chloride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抗酸化) 효과(?果))

  • Paik, Hyang-Deok;Kim, Dong-Ho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1 no.2
    • /
    • pp.93-98
    • /
    • 1979
  •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extracts of a glucose-ammonia browning reaction mixture, which contain pyrazines, important intermediate prod ucts of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s. Methylene chloride extracts were obtained from a glucose-ammonia(1M+8M) browning reaction mixture, which had been heated at $100^{\circ}C$. for 4 hours. The molar ratio of the reactants and the reaction time were reported to be the optimum ratio and time for the maximum formation of pyrazines.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s and furfural (for comparison purpose) were added to edible rapeseed oil substrates, and the resulting substrates and the control were stored at $37.0{\pm}1.0^{\circ}C$. Peroxide values (POV), thiobarbituric acid values (TBA-values) and acid values (AV) of the substrates and the control were determined regularly during a 34-day storage perio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s and furfural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POV, TBA-value and AV-development of the substrates and the control. It was found that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s of the glucose-ammonia (1M+8M) browning mixture possessed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y. Furfural also showed some activity.

  • PDF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of Movement Behavior of Animal based on Decision Tree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생물의 행동 패턴 구분과 인식)

  • Lee, Seng-Tai;Kim, Sung-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25-2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생물의 2차원영상에서 4가지의 특징을 추출한 다음 약품에 대한 생물의 행동 패턴 반응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를 적용하여 패턴의 인식 및 분류를 하였다. 생물의 행동패턴을 대변하는 물리적인 특징인 속도, 방향전환 각도, 이동거리에 대하여 각각 중간이상속도비율,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2차원 히스토그램 면적, 프렉탈, 무게중심을 사용하여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4가지의 특징변수들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나무 모델을 구성한 다음 생물의 약품 첨가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결과에서는 기존의 생물의 행동패턴 구분에 쓰였던 전형적인 기법(conventional methods)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의사결정나무가 생물의 행동패턴이 가지는 물리적 요소에 대한 독해력을 가짐을 보임으로써 특정환경에서 이동행동에 대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