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다공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Rhodamine 6G 용매에 따른 CA 훈증 지문 증강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Effectiveness of Cyanoacrylate Fumed Fingermark by the Solvent of Rhodamine 6G)

  • 심예라;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94-3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잠재지문이 유류되어 있는 비다공성 또는 반다공성 검체를 CA 훈증하여 지문을 현출한 후 현출된 지문을 증강하기 위해 Rhodamine 6G를 사용하였다. 각기 다른 용매를 기반으로 조제한 두 종류의 Rhodamine 6G 용액 중 어떤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일곱 종류의 표면 모두 유기용매 기반 Rhodamine 6G보다 수용성 기반 Rhodamine 6G를 사용하였을 때 지문이 잘 증강되고 배경 염색도 적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수집되는 감식 대상은 다양한 표면 재질과 색상을 가지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다공성 재질에 유류된 지문의 CA 훈증 후 p-dimethylaminobenzealdehyde(DMAB) 형광시약 적용 시 표면적과 주변 온도, 기압이 형광착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nhancement of cyanoacrylate-developed marks using p-dimethylaminobenzaldehyde (DMAB) on semi-porous surfaces and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fluorescence intensity)

  • 유제설;김주하
    • 분석과학
    • /
    • 제27권4호
    • /
    • pp.187-195
    • /
    • 2014
  • 잠재지문이 유류된 배경과 지문과의 대조비를 높이기 위한 증강작업 시에 잠재지문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실험은 반다공성 표면에 유류된 잠재지문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훈증 처리 후 p-dimethylaminobenzealdehyde (DMAB) 증강시약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증강효과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지문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진공 훈증 후 실온에서 24 시간 건조해 사용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훈증물의 DMAB 형광염색을 위해 표면적, 온도, 기압을 달리한 조건에서 12 시간 단위로 48 시간 동안 승화시켰다. 표면적 영향에 대한 실험에서 물질의 입자크기와 용기의 크기는 DMAB의 승화속도와 형광세기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무용매접촉법을 적용한 DMAB 형광염색은 36 시간 승화 후 최대 형광세기를 보였고, 일정 표면적 이상에서는 형광세기에 미치는 영향이 저조하였다. 온도에 관한 실험에서 DMAB는 $20^{\circ}C$의 실온에서 가장 잘 승화하였고, 최대형광 세기를 얻을 수 있는 승화시간이 48 시간에서 36 시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30^{\circ}C$이상의 상온에서는 오히려 적정 형광세기를 나타내는 승화시간이 길어지고, 형광세기에 미치는 영향도 미약했다. 또한 압력에 관한 실험에서는 압력의 변화가 매우 크지 않는 이상 형광세기가 비진공상태에서의 형광세기보다 약했다.

플라스틱 봉투 표면에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한 Vacuum Metal Deposition (VMD)과 분말법의 비교 (Comparison of vacuum metal deposition (VMD) and powder method for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 on plastic envelope surface)

  • 김채원;이나래;김태원;유제설
    • 분석과학
    • /
    • 제33권3호
    • /
    • pp.159-166
    • /
    • 2020
  • 진공금속증착법(vacuum metal deposition, 이하 VMD)는 비다공성과 반다공성 표면의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효과적이다. VMD는 일반적인 기법으로 현출할 수 없거나 어려운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하는 경우에서 활용할 수 있다. VMD 기법이 권장되는 표면은 비닐, 폴리머 지폐, 마그네틱 코팅 처리가 된 티켓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 봉투로 주로 사용되는 분홍색 고밀도 폴리에틸렌 봉투(HDPE)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봉투(LDPE)에 지문을 유류한 뒤 최소 12시간부터 최대 28일이 경과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한 금의 최소 투입량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흑색분말, 형광분말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로 배송에 사용된 택배 봉투를 수거한 다음 HDPE와 LDPE로 분류하고 pseudo-oper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VMD는 HDPE와 LDPE 표면에서 비교적 일관된 지문 현출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