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구체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WOx의 전기변색 특성 강화를 위한 표면 구조 변화 연구

  • 이율희;최현지;유정훈;김동인;이용민;서현진;황기환;김지윤;남상훈;부진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4-254
    • /
    • 2015
  • 가시광선에 대해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제작하기 위해 우리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리의 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원되면서 가시광선 파장의 흡광도를 증폭시켜 색을 변화시키는 무기물질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가진 균일한 박막을 만들 경우 그 표면적을 달리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Polystyrene 단일층을 만들어 WOx의 나노구조체 template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WOx nanorod 졸을 ITO 위에 스핀코팅 기법을 이용하여 도포시키고, 이후 단일 크기의 PS beads를 monolayer로 올렸다. 이 때의 PS beads의 크기는 400 ~ 1800nm의 크기를 이용하였다. 만들어진 monolayer에 다시 WOx sol을 도포시켜 반구형의 template를 갖는 WOx를 제작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Tungsten oxide 나노 구조체의 전기변색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했다. 결정형 분석을 위해 XRD를 분석했고 투과도와 표면상을 보기 위해 UV-visible과 FE-SEM을 이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Cyclic Voltametry를 이용해 전기변색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 PDF

4중 릿지 도파관과 렌즈를 이용한 새로운 광대역 혼 안테나 (A Novel Broadband Horn Antenna with Quadruple-Ridged Waveguide and Dielectric Lens)

  • 이기오;박동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35-14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편파 및 3:1 이하의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혼 안테나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급전단은 다중 편파 및 광대역 구현을 위하여 4중 릿지(Quadruple Ridge) 형태의 도파관을 적용하였으며, 반구(Semi­sphere) 형태의 백 쇼(Back Short)를 갖는 캐비티 구조내에 쇼팅 바(Shorting Bar)를 삽입함으로써 반사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안테나 개구면에서의 위상보정을 통해 안테나 범 패턴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주름진 형태의 유전체 렌즈를 설계하였다. 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제작된 얀테나의 측정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설계 방법의 타당성을 겸증하였다.

영역기반 윤곽선 기법과 표면 분할 유동모델에 기반한 근위 등속 표면적 기법을 이용한 혈류량 추정 (Blood Flow Rate Estimation using Proximal Isovelocity Surface Area Technique Based on Region-Based Contour Scheme and Surface Subdivision Flow Model)

  • 진경찬;조진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8권1호
    • /
    • pp.45-52
    • /
    • 2001
  • PISA 방법은 주로 승모판에서 역류하는 혈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PISA isotach의 기하학적 모양에 대한 모델링에 관한 것이다. PISA의 일반적인 유동모델은 isotach의 표면이 수식적으로 반구이거나 비반구임을 가정하여 계산된 것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역기반방법으로 isotach를 추정한 후, 타원체의 높이에 기초한 실제적인 표면분할 유동모델을 이용하여 유체량을 추정하였다. 제안한 밥법을 평가하기 위해, $30cm^3/sec-60\;cm^3/sec$의 실제 유량을 가지는 동적인 180개의 유동영상에 대해서 기존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실험한 결과, 반구 유동모델의 유체량 평균이 $29\;cm^3/sec$로 실제 유체량 평균보다 35%정도 적게 추정을 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평균은 $45\;cm^3/sec$으로 비반구 유동모델의 평균과 같았고, 유체량 변화파형도 유사한 결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중 유제 방법으로 제조된 PLGA 미립자들과 반구체:특성과 라니티딘(ranitidine)의 방출 양상 (PLGA particles and half-shells prepared by double emulsion method: characterization and release profiles of ranitidine )

  • 남대식;김성철;강수용;오돈치멕문크자갈;심영기;이우경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2호
    • /
    • pp.99-104
    • /
    • 2008
  • PLGA micro/nano particles encapsulating ranitidine as a hydrophilic model drug were prepared by the double-emuls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Surface morphology investig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howed that the emulsification by sonication could produce nanoparticles, whereas micro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high speed homogenizer. Moreover, while nanohalf-shell structure instead of spherical nanoparticle could be produced by adding poloxamer into oil phase (MC) with PLGA 504H, the addition of poloxamer didn't change particle shape in case of PLGA 502H. On the other hand, microparticle with poloxamer had more surface pores than those without poloxamer. The size and polydispersity (PDI) of particles were determined by particle size analyzer. Effective diameters of particles were in the range of $400{\sim}800\;nm$ and $1200{\sim}3300\;nm$ in case of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respectively. Encapsulation efficiencies were in the range of $1.2{\sim}2.9%$. The addition of poloxamer produced the particles with higher encapsulation efficiency. In vitro release study in phosphate buffer (pH 7.4) at $37^{\circ}C$ showed common large initial burst release. However, the relative slower release profile could be observed in case of microparticles. Poloxamer addition increased the release rate, which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increased surface area of particles.

척추 인공디스크 수술의 생체역학적 평가 (Biomechanical Evaluation of Total Disc Replacement in Spine)

  • 최대경;박원만;김윤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7-2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경추 유한요소 모델을 개발하고, 척추 인공디스크 수술 후 경추 분절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반구속 및 비구속 개념의 인공디스크가 삽입된 경추 유한요소 모델의 제 7 경추체를 완전히 고정시키고 추적 경로 방향의 50 N의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1 Nm의 굴곡과 신전, 측면 굴곡, 비틀림 모멘트를 가하였다. 모든 방향의 하중 조건에서 인공디스크가 삽입된 경추 모델들의 회전량이 정상 경추 모델의 회전량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인공디스크를 삽입한 운동 분절에서 정상에 비하여 후관절의 접촉력과 여섯 가지 주요 인대에 걸리는 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척추 인공디스크 수술 시 수술 방법의 선택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추 수술용 임플란트 개발을 위한 인체정보 콘텐츠를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철도교용 반구면 탄성체 베어링의 형상설계 및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 Design and Nonlinear Analysis of Elastomeric Spherical Bearings for Railway Bridge Systems)

  • 오주;조현진;이완하;박진영;박건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9-592
    • /
    • 2009
  • In this paper is presenting the shape design and elastomer bearings, which functioned as a joint connecting sub-structures and upper-structures with a railway bridge bearing systems. The elastomeric spherical bearing shaped and composed of alternated 17-layered metal shim plates and 18-layered elastomer plates, respectively. The elastomeric spherical bearing a high compressive load for perpendicular axis to layered plates and flexible motions are provided coincidently for other axes. The three types of elastomers, which were developed due to a designed shear modules were applied. Nonlinear analysis based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designed bearing were accomplished. Therefore, the Nonlinear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ion results and the optimized shapes were designed.

  • PDF

구조체 접지의 전위상승에 대한 반구형 수조에 의한 측정값과 계산값의 비교 (Comparison of Theoretical Resu Its and Measured Data Using Hemispherical Water Tank Model for Potential Rise of Structure Grounding)

  • 길형준;최충석;김향곤;한운기;이복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4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comparison of experimental value by hemispherical grounding simulation system and calculated value by CDEGS program for ground potential rise of structure. When a test current flowed through structure grounding electrodes, ground potential rise was measured and analyzed for types of structure using the hemispherical grounding simulation system in real time, and was computed by means of CDEGS program. The model structure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with two types on a scale of one-one hundred sixty. When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s, the similar profile was shown. Therefore, the confidence of measurement was obtained. The distributions of ground surface potential are dependent on the resistivity and absorption percentage in concrete attached to structure.

  • PDF

Evaluation of Brain Damage Induced by Transient Occlusion of Middle Cerebral Artery in Rats

  • Insook Jung;Lee, Juseon;Melissa D. Oh;Kim, Myungsoo;Changbae Ji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3-103
    • /
    • 1997
  • 일시적인 국소 뇌허혈 rat model에서 중대뇌동맥의 폐쇄시간에 따른 뇌조직의 손상정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웅성 Wistar rats를 isoflurane 홉입마취하에서 우측 내경동맥내로 17 mm의 silicone-coated 4-0 nylon monofilament를 삽입하여, 중대뇌동맥의 기저부를 30분, 60분 또는 90분동안 폐쇄한 후 이 monofilament를 다시 밖으로 뽑아내므로써 23 시간동안 recirculation 시키는 일시적 국소 뇌허혈 rat model을 사용한 결과, 수술 후 거의 모든 rats에서 left hemiparesis 또는 좌측으로의 circling과 같은 신경학적 결손이 나타나므로써 높은 성공률을 가지고서 비교적 용이하게 뇌허혈을 유발시킬 수 있었으며, 2 mm 두께의 fresh brain coronal slices에 대하여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염색법을 시행하여 slice surface의 사진을 찍고 computerized 영상분석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을 측정하므로써, coronal slice의 infarction size (%)는 총 면적에 대한 infarction 면적의 %로서, 부종율 (%)은 대조측 대뇌반구 면적의 2배에 대한 동측 대뇌반구와 대조측 대뇌반구 면적 차이의 %로서 산정되어졌다. 30분 허혈군에서는 본 염색법으로는 infarction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으나 60분 허혈군 (n=13)에서는 우측 somatosensory frontoparietal cortex와 striatum 양자 모두 또는 일부 rats에서는 striatum에만 국한된 ulfarction이 확인되어졌으며 90분 허혈군 (n=12)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rats에서 위 두 지역 모두에서 infarction이 확인되어졌다. Infarction size (%)는 60분과 90분 허혈군 각각에서, frontal pole로부터 5 mm되는 slice에서는 11.9$\pm$1.2 (평균치$\pm$표준오차), 13.7$\pm$1.9이었으며 7 mm되는 slice에서는 19.1$\pm$1.8, 21.9$\pm$2.1이었으며 9 mm되는 slice에서는 14.7$\pm$2.4, 19.7$\pm$2.2이었다. 또한 부종율 (%)은 60분과 90분 허혈군 각각에서, frontal pole로부터 5 mm되는 slice에서는 3.1$\pm$0.6, 3.8$\pm$0.7이었으며 7 mm되는 slice에서는 3.5$\pm$0.3, 5.7$\pm$1.0이었으며 9 $\pm$되는 slice에서는 3.4$\pm$0.5, 5.7$\pm$0.9이었다. 한편 90분 동안의 중대뇌동맥 폐쇄에 따른 뇌조직 손상을 cresyl violet 염색법, NADPH-diaphorase histochemistry, GFAP immunohistochemistry를 사용하여 일부 측정한 결과, 위의 손상지역에서는 뇌신경세포체들의 shrinkage 내지는 소실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ADPH-diaphorase-positive neuron들도 대부분 dendrite와 axon같은 cell process들의 fragmentation, shrinkage 내지는 소실되므로써 intensity의 감소현상이 나타났으며, reactive gliosis로 말미암아 GFAP immunoreactive intensity의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 PDF

1:25 축소모형 홀에서 확산체의 설치부위에 따른 실내 음향지표의 변화 (Effect of Diffuser Locations on the Room Acoustical Parameters in 1:25 Scale Model Hall)

  • 김용희;서춘기;이혜미;전진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5-128
    • /
    • 2012
  • 본 연구는 확산체의 확산계수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확산체의 설치가 홀 내부 음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오케스트라쉘이 설치된 600석 규모의 축소모형 홀을 측정대상으로 이용하였다. 잔향실법 흡음률 측정을 통해 1: 25 축소모형의 벽체와 객석부 재료 (관객 및 의자)가 선정되었고, 만석 시 잔향시간을 기준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대응되도록 제작하였다. 다양한 확산체 부착위치에 따른 물리적 음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반구 확산체를 측벽, 발코니전면, 천장 등 부위별로 7가지 조합을 만들어, 확산체 유/무에 따른 음향지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음향지표는 잔향시간 (RT), 초기감쇠시간 (EDT), 명료도 (C80), 중심시간 (Ts), 음압레벨 (G)과 더불어 임펄스리스펀스의 자기상관함수 (ACF)로부터 도출되는 Temporal diffusion (TD)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확산체 설치에 따라 흠음력과 확산면적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평균 RT, 평균 EDT, 평균 G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확산체 설치로 인해 초기반사음의 방향전환이 활발하게 발생했고, 평균 TD은 측정 케이스에 따라 6.05에서 6.30의 값을 보였다. 확산체 설치에 가장 민감한 지표는 RT (R = 0.94)로 나타났고, TD와 EDT의 상관관계 (R = 0.73)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체 설치부위의 영향은 각 음향지표의 변화양상을 통해 논의되었다.

유한요소 해석과 모형실험을 통한 교량받침의 거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idge Bearings Behavior by Finite Element Analysis and Model Test)

  • 이재욱;정희영;오주;박진영;김씨동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96-106
    • /
    • 2014
  • 철도차량에 의한 진동은 지반을 통해 주변 지역에 영향을 주고 피로균열등 구조적 손상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새롭게 개발된 탄성 스페리컬 받침을 기존 강재스페리컬 받침과의 비교를 통한 진동저감성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탄성스페리컬 받침은 반구형 곡률과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맞는 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 스페리컬 받침은 반구형 고무 및 보강판의 적층 받침으로써 성능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계와 해석결과를 비교하고 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진동저감성능 확인을 위해 열차의 실대차 축소모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해석적 검증비교를 통한 특성시험에서는 설계하중 500kN 시험체의 압축 및 회전 시험결과 압축보다 회전에 의한 강성 증가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압축 및 회전 시험 후 시험체에 외관변형 및 영구적인 손상, 찢어짐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축소 스케일 진동 측정 시험에서는 실대차 모형을 1/50축소하여 교량의 진동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강재 스페리컬 받침에 비해 탄성 스페리컬 받침의 진동 저감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판단되며, 거리별 진동감쇠 성능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탄성스페리컬 받침의 철도교 적용 시 진동저감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실제 철도교량에서의 현장실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