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이패스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6초

심폐바이패스시 대동맥캐늘라에 대한 M-NUMBER의 임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M-number for Aortic Cannula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김원곤;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10-516
    • /
    • 1996
  • 심폐바이패스시 사용되는 캐늘라의 ,EB거는 전통적으로 French number로 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 표시법은 단순히 캐늘라의 외경 만을 나타낼 뿐이지 캐늘라의 중요한 특성인 압력-유량 관계를 나타내 지는 못한다. 최근 캐늘라의 압력-유량 특성을 잘 나타낼 수있는 M-number라는 새로운 표시법이 개발 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어떤 캐늘라의 M-number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알게 되면 그 캐늘라의 압 력-유량 관계를 손쉽게 파악할 수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과연 실험적으로 측정된 M-number가 실제 임상적으로 심폐바이 패스에 적용될때 어떤 상관 관계를 가지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모두 50명의 소아 심장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시 사용되는 3가 지 크기의 대동맥 캐늘라(Argyle 10 Fr, 14 Fr, 16 Fr)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실험적으로 산 출된 M-number와 임상 M-number 간에는 강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임상 M-number가 실 험 M-number에 비해 0.35~0.55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임상 M-number는 또한 체온이 하강할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는 즉 체온과는 역의 상관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저 체온으로 인한 態\ulcorner점도의 상승 때 문으로 판단되었다. 체온 하강에 따를 M-number의 이러한 변화는 높은 M-number 를 가진 캐늘라에서 더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료 실험적으로 측정된 M-number는 심폐바이패스시 대동맥캐늘라에 임상 적용될 때의 M-number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체온 하강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 PDF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를 이용한 염화칼륨 제조 및 중금속 제거 (Preparation of KCl through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hlorine By-Pass Dust)

  • 윤영민;염나리;이갑수;엄선희;이용현;추용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2호
    • /
    • pp.11-17
    • /
    • 2017
  • 시멘트 공정에서는 산업부산물 및 생활폐기물 적용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이들 폐기물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의 주성분은 칼륨과 염소이며, 소량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폐기물 재활용 측면에서,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 내 중금속 제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를 용해하여 제조되는 염화칼륨 내 중금속 제거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적의 중금속 제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증류수 함량, 침전제 투입량을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된 염화칼륨 분말 내 존재하는 중금속 종류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침전제 투입량 증가에 따라 중금속 Pb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A더스트와 증류수의 배합비 1:2, 침전제(NaOCl) 3%, B 더스트와 증류수의 배합비 1:2, 1:3.5, 침전제 3% 조건에서 중금속 Pb, Cd 및 As가 모두 불검출 되었다.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중 발생한 혈역학적 불안정에 대한 대동맥내 풍선펌프 치료 (Intra-aortic Balloon Pump Therapy for Hemodynamic Instability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정동섭;김기봉;최은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04-709
    • /
    • 2009
  • 배경: 본 연구는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중 발생한 혈역학적 불안정에 대한 대동맥내 풍선펌프 치료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7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중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이 필요했던 환자들을 I군(n=39), 삽입하지 않았던 환자들을 II군(n=757)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두 군간에 수술 사망률(2.6%, 1/39 vs. 0.8%, 6/757; p=0.195)과 심방 세동(p=0.691), 뇌졸중(p=0.908), 종격동염(p=0.781) 이환율의 차이는 없었다. 인공호흡기 치료 시간, 중환자실 및 병원 재원 기간은 I군에서 II군보다 길었다 (p<0.05). 다변량 분석에서 수술 중 대동맥내 풍선 펌프 삽입이 수술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진 않았다(p=0.549). I군에서 대동맥내 풍선 펌프 치료와 관련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합병증이 3예 있었으나(7.9%), 대동맥내 풍선 펌프 삽입 술기를 변형한 2003년 이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중 혈역학적 불안정이 발생한 경우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이용하여 비교적 적은 합병증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심폐바이때스 없이 시행된 동맥 도관만를 이용한 관상동맥 완전 재관혈화 (Routine Off-pump Total Arterial Coronary Revascularization)

  • 이재원;박남희;강성식;주석중;박승정;박성욱;홍명기;송현;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09-315
    • /
    • 2003
  • 배경: 관상동맥우회술 시 심폐바이패스에 의한 전신성 염증반응의 부작용을 피하고 정맥 이식편의 낮은 장기 개통률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술적인 심근 재관류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페바이패스를 이용하지 않고 동맥 도관만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7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수술적인 심근재관류가 필요했던 104예의 연속적인 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 없이 동맥이식편만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동반된 심장질환으로 심페바이패스가 필요한 환자, 응급 수술 또는 재수술을 요하는 환자, 그리고 동맥도관의 자체적인 문제가 있었던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상용화된 심장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노출시켜 문합을 시행하였으며 동맥이식편은 양측 내흉동맥과 요골동맥, 그리고 우위대망동맥을 사용하였다. 완전 재관류를 복합도관을 사용하거나 연속문합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술 중 심폐바이패스로 전환된 예를 분석하였고 술 후 임상결과 및 각 도관의 조기 개통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원위부 문합은 총 326로 환자당 평균 3.13개(1∼5개)를 시행하였고 동맥이식편은 총 252개를 사용하여 환자당 평균 2.47개(1∼4개)의 도관을 사용하였다. 술 중 7예(6.7%)에서 심폐바이패스로 전환하였는데 이를 이용한 수술로 전환된 환자중 심한 심비대로 측벽 고정 시 불안정한 혈역학적 소견에 의한 경우가 3예, 우관상동맥 결찰 후 발생한 서맥으로 불안정한 혈역학적 소견을 보인 경우가 1예, 그리고 관상 동맥 크기가 작고 심근 내에 위치한 관상동맥의 박리도중 발생한 과도한 출혈에 의한 경우가 3예 있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술 후 발생한 심근경색 및 일시적인 신경학적 합병증이 각각 2예에서 발생하였다. 312개의 원위부 문합에 대해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98.7% (308/312)의 조기 개통률을 보였다. 결론: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하지 않은 동맥편만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운 대부분의 정규수술에서 기술적인 어려움 없이 시행되었으며 만족할 만한 조기 임상 성적 및 개통률을 보였다. 그러나 심한 심비대, 좌전하행지의 심근내 주행, 미만성 병변 등의 경우 술 전에 심폐바이폐스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수술기법은 관상동맥우회술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향후 장기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