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이오 에탄올

Search Result 4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mpact of Various Feedstock Attributes on the Social Acceptance on Bioethanol Promotion in South Korea (바이오에탄올 보급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분석: 바이오에탄올 원료 속성을 중심으로)

  • Li, Dmitriy D.;Bae, Jeong 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1
    • /
    • pp.49-77
    • /
    • 2021
  • This study uses a choice experiment approach to examine whether different types of feedstocks as well as other attributes such as the cost of bioethanol, bioethanol blending ratio,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ffect consumers' biofuel preferences. We apply a standard conditional logit model, a mixed logit model (MLM), and individual coefficient estimation model (ICM)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investigated attributes.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prefer domestic and non-food feedstock, along with tax exemption as a support policy. All the attributes show unobservable preference heterogeneity in the MLM and ICM. In particular, willingness to pay for attributes are higher in the genetically modified (GM) feedstock-unknown group than in the known one. We show the importance of using domestic and non-food feedstocks and managing GM feedstocks carefully to avoid consumer resistance when producing bioethanol in South Korea.

Non-linear Preferences on Bioethanol in South Korea (국내 바이오에탄올에 대한 비선형적 선호에 관한 연구)

  • Bae, Jeong 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3 no.3
    • /
    • pp.515-551
    • /
    • 2014
  • Recently, there has been a debate as to whether bioethanol should replace some portion of gasoline for fuels in South Korea, as energy security as well as climate change issues are rising as a significant national agenda. However, a considerable amount of subsidy will be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higher price of bioethanol-blended gasoline. In this context, government subsidy will obtain justification only when the positive social gains from consuming bioethanol for fuels can exceed the negative social costs. Through a nation-wide choice experimental survey, we examine if South Koreans have a positive value as well as non-linear preferences on substituting bioethanol for gasolin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willingness to pay for purely domestic bioethanol-blended gasoline within 10% is about 52 KRW; Koreans have concave preferences on the blending ratio of bioethanol to gasoline. The turning point of the blending ratio of bioethanol was 6.5%. Also, we found inverse U-shaped curve between income and bioethanol choice probability and the turning point of the income was calculated as 250~299million KRW. Politically conservative propensity advocates uses of bioethanol blended gasoline, but awareness on bioethanol or more weights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choice of bioethanol. However, the design of the survey questionnaire is incompatible with the RFS of Korea and assumes orthogonality among the following four interrelated attributes: (i) domestic or offshore procurement of feedstocks in the case of domestic production, (ii) domestic production or import of bioethanol, (iii) the blending ratios, and (iv) the retail price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model estimation and of model selection test are not definite. Hence,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uld 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specifics of the Korean RFS. Hence, the results in this study require cautions in applying to the design of the Korean RFS policy.

Simulation Study of Bioethanol Production Process from the By-product of Beer Fermentation (전산해석을 통한 맥주발효 폐효모액 이용 바이오에탄올 제조공정 특성 분석)

  • Kim, Su-Hyun;Yoo, Young-Don;Kang, Kyung-Hun;Park, Jun-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426-4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탄올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옥수수 및 사탕수수와 같은 식량자원이 아닌 맥주 제조 후 발생되는 폐기물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로 사용되는 작물의 수급의 불안정 및 곡물가격의 상승에 의한 원료의 가격상승 등에 따른 높은 생산단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맥주발효 폐효모액을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제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일 30톤의 바이오에탄올 제조 공정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Introduction of Bioethanol to Domestic Transportation Market and Implication for CDM Project (수송용 바이오에탄올 도입의 경제성평가 및 CDM 사업 타당성)

  • Min, Eun-Ju;Kim, Su-D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54-6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송부문 온실가스 저감 대책으로 수송용 바이오에탄올을 국내 수송시장에 도입한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바이오에탄올의 경우 'Carbon Neutral' 한 특성에 따라 친환경연료로써의 이점이 크나 원재료를 수입해야하고, 또 정부정책방향에 따라 경제성이 좌우된다. 분석결과, E5를 도입하여 저감잠재량을 분석했을 때 기존 휘발유 수요전망보다 연간 15억 $CO_2kg/yr$ 정도의 감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비용분석 결과 현재 휘발유에 부과하는 규모와 같은 정도의 세금이 부과한 바이오에탄올 공급가격은 1639.2원이다. 이는 휘발유 판매 가격인 1448.5에 비해 경쟁력이 없으나 바이오에탄올이 CDM 사업으로 인정받아 CERs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경우의 공급가격은 1583.5원으로 배출권 수익을 포함하지 않았을 때보다 50원 정도의 추가 수익을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이오에탄올의 면세범위를 줄임으로써 납세자의 세금을 통한 사업자에 대한 과도한 지원을 지양할 수 있는 적정한 정부지원정책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바이오 에탄올의 원료 - 일대작물 카사바의 대규모 농장과 전망

  • Yun, Sil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4
    • /
    • pp.97-101
    • /
    • 2008
  • 바이오과학기술(BT)과 연관된 첨단기술 용어로 '클린 에너지', '차세대 에너지원', '바이오 연료 에탄올', '에너지 농장' 등의 말이 경쟁하듯 등장하고 있다. 원유를 대신 할 연료를 생물자원에서 얻는다고 하여 '바이오 유전개발'이라는 말도 쓰인다. 바이오 자원을 이용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려는 바이오 정유공장(Bio refinery plant) 사업은 유전개발 못지 않은 미래 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의 몇몇 기업은 바이오 정유공장의 원료로 사용할 뿌리작물 카사바를 열대지역 제3국가에서 대량 재배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PDF

Actual Assessment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Kim, Seung-Soo;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Lim, Young-Kwan;Shin, Seong-Cheol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4
    • /
    • pp.98-103
    • /
    • 2007
  •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시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을 거쳐 2000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0.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란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PDF

Actual Assessment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Kim, Seung-Soo;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Lim, Young-Kwan;Shin, Seong-Ch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49-653
    • /
    • 2007
  •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빛 온실가스배출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사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n)을 거쳐 2006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O.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탄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Optimizing, Pretreatment &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Process for High-efficiency Bioethanol (고효율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한 최적 전처리 공정 탐색 및 동시당화발효 공정 연구)

  • Choi, Gi-Wook;Han, Min-Hee;Kim, Yule
    • KSBB Journal
    • /
    • v.23 no.3
    • /
    • pp.276-280
    • /
    • 2008
  •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of bioethanol obtained from various domestic raw materials (barley, brown rice, corn and sweet potato)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process was estimated. Also, optimal conditions of temperature, time and enzyme concentration in gelatinization and liquefac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corn showed high ethanol yield of 90.45% and sweet potato had a rapid fermentation time. Productivity of bioethanol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starch value of raw materials except brown ri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starch. Further studieson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bioethanol.

Global Trends of Bioethanol Science Information (바이오에탄올 학술정보 분석)

  • Kil, Sang-Cheol;Kim, Sang-Woo;Oh, Mihn-S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5 no.5
    • /
    • pp.589-597
    • /
    • 2012
  • Recently, an understanding of new sources of liquid hydrocarbons such as bioethanol is economically very important. Bioethanol is actually ethyl alcohol or also referred to as ethanol, identical to drinking alcohol by its composition. There are mainly two ways of producing ethanol, namely by synthesis of hydrocarbons and from biomass. Only the second approach deserves the terminology 'bioethanol'. The present dissertation is also designed with purpose of developing the energy-saving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bioethanol. The world population is expected to grow past 8 billion by 2030 which are almost 60% in Asia Pacific. History has shown that energy use rises much faster than population expands. World wide demand for energy will increase significantly during the next 15 years driven by population growth and the transition of emerging markets into the global economy. In developing nations, a smaller increment in GDP per capita yields a higher increment in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In this study, we analised total 2,454 dissertations for the bioethanol during the 2001~2012 periods by the programs of 'web of science' and 'recently developped program by Korea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tudy of Demonstration & Dissemination for Distribution System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시범보급 유통시스템에 관한 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Lim, Young-Kwan;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Shin, Seong-Ch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14-220
    • /
    • 2008
  • 세계적인 화석연료사용의 급증으로 인해 지구온난화와 자원고갈의 문제가 크게 대두되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국가와 연구기관이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서 바이오연료의 개발과 사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바이오에탄올은 자동차용 휘발유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로서 많은 국가에서 상용화하고 있다. 우리 연구그룹은 혼합비율에 따른 자동차용 휘발유의 품질특성시험(상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실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을 한 결과 국내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현재 전국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면서 바이오에탄올 실증평가를 수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 연구를 통해 국내 바이오에탄올의 도입 활성화 가능성과 최적의 유통인프라 구축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