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이오 네트워크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33초

바이오 객체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Constructing Bio-Object Interaction Network)

  • 박종민;최재훈;정재영;박선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289-29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생물체의 세포 내에 존재하는 방대한 객체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들로 표현되는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바이오 도메인 지식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관리 및 활용하기 쉽도록 구축하고, 단백질과 같은 단순 바이오 객체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바이오 객체들로 구성된 복합 객체도 관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바이오 객체들과 이들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관계를 직관적으로 정의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정의된 객체 및 상호작용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오 네트워크를 개념적으로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복잡한 네트워크를 쉽게 분석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PDF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의 템플릿 기반 바이오 컴포넌트 탐색 (Template-based Approach for Detecting Bio-Component in Protein Interaction Network)

  • 박종민;최재훈;박선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283-285
    • /
    • 2005
  •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는 단백질들로 구성된 패스웨이와 콤플렉스 등과 같은 의미 있는 바이오 컴포넌트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는 방대한 단백질들과 상호작용 관계들로 구성되어 있고 많은 잘못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확한 단백질에 대한 식별자로 구성된 질의를 통해 원하는 바이오 컴포넌트를 탐색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이오 컴포넌트를 식별자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상호작용 관계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용하여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는 잘못된 정보들이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어진 질의와 근접하게 일치하는 결과들도 제시할 수 있는 질의 연산자들을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National R&D Patent Performance Network in Bio-Healthcare Sector)

  • 권영은;김재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7-24
    • /
    • 2018
  • 본 논문은 바이오 헬스 분야의 기술융합구조와 핵심기술 연구 분야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R&D 수행으로 창출된 특허성과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논문으로서, 이를 위한 기반 연구인 특허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NTIS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프레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R&D 특허 현황 분석과 IPC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개의 그룹을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기술체계 기준으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분류된 것을 대상으로 기술 파급효과가 가장 높은 기술을 도출하여 다른 분야의 비교를 통해 국가R&D 분야의 연구비 투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해외특허자료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고, 기술융합과 정부투자 연구비의 상관분석을 보완하여 연구비투자 방향성 모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방형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바이오 인식 융합 기술

  • 정윤수;정성욱;문기영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49
    • /
    • 2007
  • 최근 인터넷에 의한 전자 상거래, 전자 정부 등 정보통신 인프라가 널리 보급되고, 이를 통한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패스워드나 PM을 대신할 수 있는 바이오인식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개방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바이오 인식 기술은 바이오 정보의 유출/오용 등 기존 시스템에서와 다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비밀 번호나 PM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므로 외부로 유출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개방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바이오 인식 기술이 어떠한 종래 기술들과의 융합을 통해 발전해 가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스마트카드, 암호화 기술 및 DRM기술 등 관련 기술과의 융합 예를 참조하여 발전 모델을 소개한다.

u-EMS : 바이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응급 구조 시스템 (u-EMS : An Emergency Medical Service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using Bio-Sensors)

  • 김홍규;문승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7호
    • /
    • pp.433-441
    • /
    • 2007
  • 바이오센서는 생명공학 또는 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인간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로 의료기기에 주로 사용되는데, 최근 MEMS 기술의 발달로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에 센서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무선통신, 배터리 등을 포함한 모듈을 센서노드(모트 : Mote)들로 구성된 센서기반 네트워크에서 바이오센서 네트워크로 응용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센서 기술과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융합한 기술인 바이오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응급 구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 사용된 바이오센서는 근전도(EKG), 혈압(Blood Pressure), 맥박(Heart Rate),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 혈당(Glucose)센서들로, 바이오센서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센서네트워크 모트를 통해 데이타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측정 데이타로 활용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는 무선단말기(PDA, 휴대폰), 전자액자 디스플레이장치 등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아울러, 제안한 u- 응급 구조 시스템의 유효성을 실험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바이탈사인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고려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 원료 공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세조류 기반 바이오 디젤 공급 네트워크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algae-Based Biodiesel Supply Chain Network Under the Uncertainty in Supplying Carbon Dioxide)

  • 안유찬;김정환;한지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96-407
    • /
    • 2020
  • 전세계적으로 화석 연료가 고갈 되면서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이 필요한 실정이며, 대체 자원으로는 바이오 연료가 각광을 받고 있다. 바이오 연료는 바이오 매스로부터 생산되는데 바이오 매스는 바이오 연료 및 바이오 화학제품 생산이 가능한 재생 가능 자원이다. 특히,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바이오 매스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바이오 디젤)를 생산하는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바이오 매스를 기반으로 하여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디젤 생산에 필요한 원료(예, 이산화탄소, 물)와 잠재적인 바이오 매스 리파이너리 용량 및 설치 위치, 생산된 바이오 디젤의 수요 도시까지의 공급을 모두 고려하는 공급 네트워크 개발이 필요하다.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공급 네트워크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이 되었지만, 미세조류 기반 최적의 바이오 디젤 생산 전략에 상당히 영향이 있는 이산화탄소 공급량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미세조류 기반 바이오 디젤을 생산 시 상당히 중요한 원료로 이용되는 이산화탄소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출 가스로부터 포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공급량의 불확실성은 최적의 바이오 디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큰 영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공급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최적 공급 네트워크 설계를 결정하기 위해 2단계 확률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의 목표는 이산화탄소 공급량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각 지역의 디젤 요구량을 충족시키면서 총 네트워크 비용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모델은 대한민국의 디젤 수요량의 10%를 충족시키는 사례 연구를 평가하였다. 확률론적 모델(연간 갤런당 12.9 미국 달러)에 의해 결정된 최적의 바이오 디젤 공급 비용은 결정론적 모델(연간 갤런당 10.5 미국달러)의 결과보다 약간(26%) 높다. 이산화탄소 공급량이 변동되는 경우(확률론적 모델)는 바이오 디젤 공급 네트워크 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바이오 셀 정보 추출을 위한 확률 모델 (Probabilistic model for bio-cells information extraction)

  • 석경휴;박성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649-6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생물학 분야의 여러 각도로 세포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유전자 생물학 분야를 정보공학 네트워크에 응용하여 수치학적인 표현 모델로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확률적 그래프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생물학적 통찰력을 확률적 함수적으로 응용해, 복잡한 세포 간 네트워크 보다 단순한 하부모델로 구성하여 유전자 베이스네트워크 논리를 유전자 표현 레벨로 나타낸다. 유전자 데이터로부터 확률적 그래프 모델들을 분석하여 유전자 표현 데이터를 정보공학 네트워크 모델의 방법으로 확장 추론한다.

One-time 템플릿 기반의 바이오 인증 프레임워크 표준

  • 정윤수;이용진;이형우;문기영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1-65
    • /
    • 2008
  • 최근 인터넷에 의한 전자 상거래, 전자 정부 등 정보통신 인프라가 널리 보급되고, 이를 통한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패스워드나 PIN을 대신할 수 있는 바이오인식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개방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바이오 인식 기술은 바이오 정보의 유출/오용등 기존 시스템에서와 다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인식 정보는 비밀 번호나 PIN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므로 외부로 유출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고에 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바이오인식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전송 도중 유출된 템플릿을 이용한 재사용 공격을 막기 위한 한 방법으로써 One-time 템플릿에 기반한 바이오 인증 서비스 프레임워크 표준에 관해 소개 한다.

외부 네트워크와 기업성과 : 미국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Network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in the U.S Biotechnology Industry)

  • 노영진;김진웅;이상규
    • 기술혁신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바이오기업의 외부 네트워크 전략을 공동연구 협력, 제조/마케팅/판매 제휴, 자금지원, M&A 등 4가지로 구분하고, 이와 같은 바이오기업의 외부네트워크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 바이오기업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첫째, 기술개발 이후의 제조/판매/마케팅 제휴는 단기간에도 모든 기업성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 기술개발단계에서의 연구개발협력 중 제약회사와의 협력은1~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그리고 타 바이오기업과의 연구개발협력은 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정의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가장 장기적이며 기초연구에 주목적을 두고 있는 공공기관 및 대학과의 공동연구 협력은 단기적인 기업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향후 2~3년이 아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전략을 통하여 기술혁신을 경주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주로 기초기술에 집중된 공공기관과 대학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공인인증서와 바이오인증 연계를 위한 연구 (Study on the Connection with Public Authentication and Bio Authentication)

  • 류갑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9-44
    • /
    • 2015
  • 공인인증서와 바이오 정보를 활용하여 인증과정을 처리하고 있는 기관이 증가하고 있고 휴대용 바이오 인증기기를 배급하여 공인인증서와 바이오인증을 병행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개인의 PC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증이 범용화 되어가면서 인증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되어가고 있는데 비해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보안과의 연계성에 대한 검토는 미약한 실정이다. 공인인증서와 바이오 정보의 연계를 통한 인증방식이 현재 네트워크 접근제어와 연계된다면 좀 더 강력한 보안정책으로 발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토큰에서의 취약한 개인인증 기법에 대한 취약점을 바이오인식과 같은 확실하고 안전한 개인인증 기법으로 연계함으로써 바이오 정보 노출 방지 및 바이오정보 본인 확인 수행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802.1x 네트워크 인증방식과 연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정리하고 이의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