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이모달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바이모달 트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웹기반 재해관리 시스템 Prototype 버전 개발 (Development of Prototype Web-bas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afe Operation of Next Generation Bi-Modal Tram)

  • 김종건;박영곤;윤희택;박윤식;장원석;유동선;임경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5-1039
    • /
    • 2009
  • 최근 들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RI) 에서는 자동운행이 가능한 바이모달 트램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 바이모달 트램 시스템은 노선에 설치된 센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동 운행을 하며, 재해 발생시 수동으로 운행될 수도 있다. 바이모달 트램 시스템이 노선에 설치된 센서를 인식하여 자동운행을 하기 때문에, 기후패턴 변화에 따른 집중강우로 인해 예기치 않은 홍수 발생시 바이모달 트램 시스템 승객 및 차량의 안전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eb GIS 기반의 트램 재해관리 시스템 (Bi-modal Tram Disaster Management System: BTDMS) 프로토타입 버전을 개발하였다. 이 BTDMS 시스템은 US EPA에서 개발한 SWMM 모험을 핵심 엔진으로 활용하여 지표면 유출 및 관거 해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예측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 내수침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 지표면 유출수의 흐름을 고려할 수 있는 모듈, 그리고 지역별로 유출심을 산정하여 바이모달 트램 시스템 운행 판단의 기준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여 BTDMS에 추가하였다. 이러한 모듈을 이용하여 예측된 자료는 바이모달 트램 시스템의 운행 속도를 늦추거나 우회노선을 선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 GIS 기반의 BTDMS는 2009년 상반기 밀양 지역에 설치될 바이모달 트램 시범지역에 적용되어 그 적용성이 평가될 것이다.

  • PDF

인공와우 사용자의 심리음향적 음질평가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sound quality evaluation of cochlear implant users)

  • 방정화;오수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5-51
    • /
    • 2022
  • 음질평가는 물리적 음향 자극에 대해 주관적으로 지각되는 음색을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심리음향학적 측정과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은 인공와우 사용자의 음질평가를 위한 예비연구로서 바이모달 인공와우 사용자를 대상으로 음질평가를 시행하고 인공와우만 착용했을 때와 바이모달을 착용했을 때의 음질평가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총 13명의 바이모달 인공와우 사용자와 7명의 편측 인공와우 사용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순음 및 어음 청력검사, 보청기 기능이득과 실이삽입이득을 측정하였다. 음질평가에서는 바이올린소리, 남자와 여자 노래소리, 냉장고 소음의 4개 음향자극을 방음실에서 들려주고 6개 음질평가 항목에 대해 0에서 10까지의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검사결과 바이모달 사용자는 편측 인공와우만 착용했을 때보다 바이모달을 착용했을 때 음질평가 5개 항목에서 0.8점 높았고, 바이모달 사용자와 편측 인공와우 사용자 그룹간 비교에서는 두 그룹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관적 측면의 바이모달 혜택 측정을 위해서 좀 더 체계적인 음질평가 도구와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잡음환경에서의 바이모달 음성인식 (Bi-modal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 박병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111-114
    • /
    • 1998
  • 기존의 음성인식시스템의 잡음환경에서 인식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음성신호뿐만이 아니라 입술정보를 결합하여 음성인식에 이용하여 바이모달(Bi-modal) 음성인식이 근래에 제안되어지고 있다. 그래서 바이모달 음성인식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해보고 인식 실험을 수행해 보았다. 입술영상은 이미지에 근거한 입술모양을 파라메터화하여 인식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음성과 입술영상을 각각 인식한 후 인식스코어(Score)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이모달 음성인식의 잡음환경에서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음성신호에 여러 레벨의 잡음을 섞어서 실험을 하고 잡음환경에서 인식률의 한계를 입술정보를 이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 PDF

바이모달 트램의 추진장치 성능 모의 (A Simulation Study of the Performance of a Propulsion Equipment for Bimodal Tram)

  • 배창한;목재균;장세기;이강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22-128
    • /
    • 2009
  • 바이모달 수송시스템 연구단에서 개발중인 트램은 자동운전이 가능하고 일반도로와 전용구간을 주행할 수 있는 고무차륜방식의 저상굴절 바이모달 트램으로서, 압축천연가스 엔진과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는 직렬형 하이 브리드 추진계로 구동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장치의 요구사양을 제시하고 하이브리드 추진제어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차량 시뮬레이션 툴인 ADVISOR를 사용하여 기준 주행사이클과 일본의 10-15 mode에 대한 바이모달 트램의 주행을 모의하고, CNG 하이브리드 추진계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바이모달트램 도입수준에 따른 운영 및 시설 요구사항 연구 (The Operation and Facility Requirements by the Level of Bimodal Tram System)

  • 성명준;엄진기;이준;최명훈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4-793
    • /
    • 2010
  • 바이모달트램은 '저탄소 녹생성장' 이라는 국가 교통정책 패러다임에 따라 향후 대중교통체계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기대된다. 최근 바이모달트램을 도입하기 위해 여러 지자체에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바이모달트램 서비스 수준에 따른 시설 및 운영요건에 대한 도입 매뉴얼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수준은 저급, 중급, 고급의 3가지로 구분을 하였으며 시설수준과 운영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세부요소별 정의를 하였다. 본 연구는 신교통 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을 도입하려는 지자체에 바이모달트램 도입수준에 따른 시설 및 운영요건을 고려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잡음환경에서의 바이모달 시스템을 위한 견실한 끝점검출 (Robust Endpoint Detection for Bimodal System in Noisy Environments)

  • 오현화;권홍석;손종목;진성일;배건성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0권5호
    • /
    • pp.289-297
    • /
    • 2003
  • 음성인식 시스템과 입술독해 시스템을 결합한 하여 음향학적 잡음에 대하여 안정된 성능을 갖는 바이모달(bimodal) 시스템을 구현한다. 바이모달 시스템의 성능은 두 인식 시스템의 성능뿐만 아니라 입력 신호의 끝점검출 성능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에서 끝점을 자각 자동 검출하여 입력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신호에서 추정한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로 두 끝점검출 결과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낮은 SNR에서는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끝점을 선택하고 높은 SNR에서는 음성신호로부터 검출된 끝점을 선택함으로써 음향학적 잡음에 대하여 견실하게 끝점을 검출한다. 제안한 끝점검출 방법이 적용된 바이모달 시스템이 강한 음향학적 잡음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인식성능을 나타냄을 실험견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이모달 트램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legislation for Bimodal Tram Construction and Operation)

  • 민재홍;정병현;신해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9-1804
    • /
    • 2009
  • 최근 도입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이모달 트램은 버스와 경량전철의 중간 규모의 수요에 대하여 정시성, 효율성, 편리성을 갖춘 대중교통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철도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용로상에서 제어시스템과 운영시스템을 갖춰 운영할 수 있고, 일반도로에서도 버스와 같이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철도와 도로교통 관련 법령에서 정의되지 않고, 건설비에 대한 재정지원근 거가 없어 구체적인 도입계획이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바이모달 트램 도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구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1) 바이모달 트램 도입 추진 현황을 파악하여 도입 활성화의 장애요소를 파악하고, 2) 바이모달 트램과 타 교통수단과의 특성 및 관련제도 분석을 통해 제도화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며, 3) 해외의 제도 사례를 통해 국내 도입 활성화에 필요한 제도적 필요 요소률 분석하였다.

  • PDF

바이모달 음성인식기의 시각 특징 추출을 위한 색상 분석자 SVM을 이용한 입술 위치 검출 (Lip Detection using Color Distribu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 for Visual Feature Extraction of Bimodal Speech Recognition System)

  • 정지년;양현승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4호
    • /
    • pp.403-410
    • /
    • 2004
  • 바이모달 음성인식기는 잡음 환경하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바이모달 음 성인식기에 있어 영상을 통한 시각 특징 추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입술 위치 검출은 시각 특징 추출을 위한 중요한 선결 과제이다 본 논문은 색상분포와 SVM을 이용하여 시각 특징 추출을 위한 입술 위치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얼굴색/입술 색상 분포를 학습하여 이로부터 입술의 초기 위치를 빠르게 찾아내고 SVM을 이용하여 입술의 정확한 위치를 찾음으로써 정확하고 빠르게 입술의 위치를 찾도록 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바이모달 인식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신교통 바이모달트램의 도시규모별 도입타당성 분석 (The Feasibility Studies for Introducing Bimodal Tram System Based on Urban Scale)

  • 엄진기;성명준;김현웅;이준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67-1075
    • /
    • 2009
  •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바이모달트램은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 등의 장점을 합친 신교통수단으로서 국내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체계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국내 도입전략에 대하여 도시 규모별 교통수요 및 노선의 특성을 고려한 도입전략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지자체별로 다양한 교통 및 대중교통체계가 존재하고 재정적 여건 등 도입여건이 다양함으로 바이모달트램을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지하철/경전철을 도입하려는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을 덜고 경전철에 준하는 수송력과 친환경성을 갖춘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을 검토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계획을 고려한 바이모달 트램의 위상정립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garding the Bimodal Tram Positioning Considering Urban Planning)

  • 이준;박진경;엄진기;김현웅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28-1838
    • /
    • 2009
  • 도시발달의 역사를 볼 때 도시의 공간구조는 교통체계에 밀접한 연관을 맺은 채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 형태를 구분할 때 도시의 공간적 구조를 간선가로망형태에 따라 방사형, 격자형, 성형, 환형, 선형, 위성형 등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 그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신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모달 트램은 이러한 다양한 도시의 공간적 구조률 고려하여 도입전략을 수립한다면 타 교통수단과 대체 및 연계수단으로서 효율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교통수단인 바이모달 트램의 합리적인 도시내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의 공간적인 구조에 따라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를 도시의 공간구조 패턴과 도시성장과정 등 도시계획적 측면을 고려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래 국내 도입시 도시의 특성에 부합하는 바이모달 트램의 도입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계획요소와 결합된 바이모달 트램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장래 바이모달트램을 도시교통수단으로 도입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정책적 판단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