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이러스

Search Result 4,13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Unusual Features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1 Virion (면역결핍 바이러스 입자의 비특이적 성질)

  • Shin, Cha-Gyu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Virology
    • /
    • v.26 no.1
    • /
    • pp.107-114
    • /
    • 1996
  • 본 연구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입자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할 때 바이러스 입자구조에서 분리되어 방출되는 바이러스 구조단백질들의 분포를 sucrose gradient로 분석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바이러스 구조단백질과 바이러스입자의 생물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바이러스입자들을 0.16% NP40 (Nonidet P-40)으로 처리할 때, 바이러스 capsid 단백질과 바이러스 막 단백질 (membrance protein)들은 다른 바이러스 구성성분들과 잘 분리되었다. 계면활성제처리에서 방출되지 않은 구성 성분들은 matrix 단백질, nucleocapsid 단백질, reverse transcriptase, integrase 및 바이러스 RNA genome로써, 이들은 subviral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다른 바이러스들의 capsid 단백질과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capsid 단백질 (p24)를 비교할 때, 면역결핍바이러스의 capsid 단백질은 바이러스핵을 형성할 때, capsid 단백질 사이의 결합력이 매우 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바이러스 조절단백질의 하나인 vpr 단백질을 함유하는 바이러스입자를 NP40 처리하여 분석하였을 때, vpr 단백질은 subviral 구조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irus Detection and Recovery Using File Virus Self-Reproduction Characteristic (파일 바이러스 복제 특성을 이용한 바이러스 탐지 및 복구1))

  • 서용석;이성욱;홍만표;조시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24-72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자기 복제 특성을 용한 바이러스 탐지 및 복구 방안을 제안한다. 바이러스의 행동 패턴은 바이러스의 종류 만큼 다양하지만 파일 바이러스의 경우, 자기 복제 행동 패턴은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유사하다. 파일 바이러스가 시스템 감염시키기 위해서는 기생할 실행파일을 열고, 자기 자신을 그 실행 파일에 복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자기 복제 행위를 통해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선과될 때 피 피해도 커지게 된다. 바이러스치 자기 복제 특성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바이러스 탐지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득징을 가진다. 첫째, 바이러스의 자기복세 행동 패턴은 파일 입출력 이벤트로 표현하여 바이러스의 행동 패턴으로 일반화시켰다. 둘째, 바이러스의 1차 감염행위는 허용하고 2차 이후 감염 행위부터 탐지하고, 탐지되기 이전에 감염되었던, 파일들을 복구한다. 이는 일반적인 바이러스들이 자기 복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false-positive 오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문자열에 의한 바이러스 탐지 및 복구 방법의 단점을 보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호흡기,소화기계 감염환자로부터 전염성 바이러스 분리 및 특성

  • Jo, Gye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Conference
    • /
    • 2000.12a
    • /
    • pp.20-26
    • /
    • 2000
  •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에 감염된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한 역학적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전염성 바이러스의 특징과 계절적 발생추이, 환자의 성별, 연령별 발생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99년도 바이러스 가검물 2261건에서 분리한 호흡기계감염 바이러스 279건과 소화기계 감염 바이러스 83주를 분리하였으며, 이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이 96주(29.6%), B형이 107주(33.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1999년의 바이러스 분리의 성별 분포는 총 360명의 환자 중 179명(49.7%)의 남성 및 181명(50.3%)의 여성으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중 호흡기계의 경우 279명의 감염환자 중 남성이 130명(46.6%), 여성이 149명(53.4%)으로 여성의 감염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소화기계의 경우 83명의 감염환자 중 남성이 51명(61.4%), 여성이 32명(38.5%)으로 남성의 감염율이 거의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3. 1999년의 연령별 분포는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194명(5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이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99명(30.6%)으로 가장 높은 감염을을 나타내었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의 감염어린이 중에 $l1{\sim}15$세의 연령층이 15명으로(5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1999년 월별 감염율은 호흡기계 감염증 바이러스의 경우 1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12월에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4월에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소화기계 감염증 바이러스의 경우 9, 10, 11월을 제외한 모든 월별에 관찰되었으며, echo와 coxsackie 바이러스는 무균성 수막염 환자에서 하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동절기에 유행하는 설사 바이러스는 12월에 비교적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MDCK 세포에서, 아데노 바이러스와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는 HEp-2 세포에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Vero 세포에서, 그리고 echo, coxsackie B 바이러스와 장내 바이러스는 HEp-2, Vero, BGM 세포에서 뚜렷한 세포병변 효과를 나타내었다. 6. 분리한 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형(HINI, H3N2)은 95nm, B 형은 70nm크기의 구형을 나타내었으며, 바이러스표면의 지질 이중층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아데노 바이러스는 외피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nucleocapsid는 symmetry이고 크기는 71nm로서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icosaheral capsomer의 배열이 명확하게 관찰되었고,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구형의 큰 viron으로180, 170nm 크기이었다. 7. Echo와 coxsackie B group 바이러스는 모두 외피가 없는 isometric 형으로 크기는 $30{\sim}45nm$ 이었고, enteric adeno 바이러스는 84nm 크기로서 외피가 없고, 입자 표면에 capsomer의 배열이 명확하게 관찰되었고, rotavirus는 크기가 70nm이며 외층 capsid 단백질과 내층 capsid 단백질이 두층으로 되어 있는 전형적인 수레바퀴 모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에 감염되는 전염성 바이러스는 연중 지속적으로 분리되고 있으며 전염성이 강하여 집단 발생은 일으키는 경우도 많고 최근 들어 유행성 이하선염과 흥역 바이러스의 발생률이 높은 추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아직은 특이한 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지속적인 대책과 아울러 장기적인 발생 가능에 대한 예방책을 흥보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계속적인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조사 및 역학조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orovirus Food Poisoning and Laboratory Surveillance for Viral Gastroenteritis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법)

  • Jee, Young-Mee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1 no.3
    • /
    • pp.6-11
    • /
    • 2006
  •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해 흔히 발생하며 이외에도 아스트로바이러스나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집단 설사 사례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과 관련하여 특히 오염된 식수와 굴 등 어패류의 생식을 통한 감염 사례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사람 간 전파도 흔히 일어나는 전염력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이다. 국내에서는 1999년 이후 보고가 되고 있으며 최근 집단 급식과 관련된 대형 식중독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학교급식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2000년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바이러스성 설사의 국내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17개 시도보건환경 연구원과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4종의 바이러스성 장염원인 병원체에 대한 전국적인 실험실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바이러스성 병원체가 확인된 사례의 약 18%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집단설사 사례에서는 대부분 노로바이러스가 원인병원체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의 조기 검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2004년 중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kit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이를 전국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을 연계한 감시체계에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노로바이러스 집단설사사례의 조기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고 지역내 노로바이러스 검출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03년과 2006년에 발생한 대규모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례 이외에도 산발적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례들을 조기에 탐지하고 국내에서 검출되는 설사바이러스 유전형 분포양상과 새로운 유전자형이나 변이주를 조기에 검출하고자 전국적인 노로바이러스 실험실 감시망을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집단설사 발생시 각 사례의 연관성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분자역학적 유전자 분석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실험실 감시체계 운영과 함께 집단 식중독 유발 병원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설사 유발 병원체를 신고대상 병원체로 지정(2006.06.12)하여 병원체 검출시 보고하도록 하고 관련 지침을 마련하였다. 노로바이러스가 지정전염병 병원체로 추가로 지정됨에 따라 집단 사례 및 실험실 감시사업을 통해 검출되는 병원체에 대한 보고가 강화되고 전파 방지와 2차 감염 사례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전국의 실험실 감시망을 연결하는 국가 차원의 노로바이러스 실시간 분자역학적 분석체계 도입을 통해 노로바이러스 2차 감염을 줄이고 대규모 집단발병 및 유행의 조기 차단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방제포커스(1) - 파프리카 바이러스병 예방

  • Choe, Hong-Su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83
    • /
    • pp.42-44
    • /
    • 2012
  • 우리나라 파프리카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 고추모틀바이러스(Pepper mottle virus, PepMoV), 잠두위조바이러스2(Broad bean wilt virus2, BBWV2),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및 사탕무황화바이러스(Beet western yellows virus, BWYV) 등 6종이다. 생산량 감소 및 고품질 규격품 생산의 가장 큰 제한요인이 되고 있는 바이러스병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하기 위하여 바이러스별 병징 및 발생원인에 따른 예방법을 알아본다.

  • PDF

포인트 / 2000 바이러스 캘린더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7 s.86
    • /
    • pp.18-29
    • /
    • 2000
  •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컴퓨터 사용자들은 늘 바이러스에 노출된 상태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견될 때마다 백신프로그램도 계속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기 발견된 바이러스를 토대로 바이러스 캘린더를 소개함으로써 안전한 PC이용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월별로 활동하는 것과 특정일에 활동하는 것 등 다양하다. 또한 개인과 기업의 바이러스 예장 수칙을 소개한다.

  • PDF

The Design of Immune System for Blocking unknown Worm Virus Spreading (Unknown 웜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면역시스템 설계)

  • Kim, D.H.;Lim, M.H.;Oh, G.T.;Kim, P.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025-1028
    • /
    • 2001
  • 인터넷의 확산과 이용자의 급증으로 웜바이러스에 대한 문제가 최근에 크게 대두되고 있다. 스크립트 형 웜바이러스의 경우 제작이 쉬워 누구나 몇 시간의 학습을 통하여 바이러스를 제작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은 최근 7개월 동안의 바이러스 통계에서도 나타나는데 전체 바이러스 중 평균 22.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웜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E-mail로 급속하게 퍼지는 웜바이러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기반의 시스템 보호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웜바이러스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방어하기 위한 면역시스템을 제안한다. 자동화된 면역 시스템은 분산된 각각의 웜바이러스 탐지 시스템들이 새로운 바이러스 정보를 동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바이러스로부터 해당 시스템과 그 시스템이 속해 있는 내부 네트워크를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Ultrastructural Changes due to Two Bovine Herpes Viruses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Virus and Malignant Catarrhal Fever Virus) (두 종류(種類)의 소의 Herpes Virus에 대한 미세구조변화(微細構造變化)의 비교연구(比較硏究) (소의 전염성비기관염 바이러스와 악성카탈열 바이러스))

  • Seo, Ik Soo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19 no.1
    • /
    • pp.33-44
    • /
    • 1979
  • Herpes virus인 소의 전염성 비기관염 바이러스와 악성 카탈열 바이러스의 형태(形態)와 그 형성과정(形成過程)(형태발생(形態發生))을 조직배양(組織培養)에서 각기 시험(試驗)하였다. 이 두 종류(種類)의 바이러스는 herpes virus의 특징적(特徵的)인 구조(構造)를 가지나 그 형태발생(形態發生)이 상이(相異)함을 밝혔다. 1. 소의 전염성비기관염(傳染性鼻氣管炎) 바이러스 (IBRV/CT3) 배양에서 그 바이러스의 envelope는 세포질막(細胞質膜)으로부터 유래(由來)됨을 밝혔다. 2. IBRV/CT3 배양에서 envelope는 가진 바이러스는 세포핵내(細胞核內)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3. 소의 악성(惡性)카탈열(熱) 바이러스(MCFV/C500)의 배양에서 그 바이러스의 envelope는 세포핵막(細胞核膜)으로부터 유래(由來)됨을 밝혔다. 4. 소의 악성(惡性)카탈열(熱) 바이러스(MCFV/C500)에 감염(感染)된 토끼의 폐장(肺臟)에서 얻은 macrophage에 대해 바이러스의 소재(所在)를 추구(追究)한바, 이 바이러스는 macrophage의 세포질내(細胞質內)에만 존재(存在)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는 탐식(貪食)된 바이러스임을 알았다.

  • PDF

Macroscopic Treatment to Polymorphic E-mail Based Viruses (전자우편기반의 다형성 바이러스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대응기법)

  • 김철민;이성욱;홍만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19-421
    • /
    • 2003
  • 최근의 많은 바이러스들이 전달매체(Vector)로서 전자우편을 이용하며 탐지를 어렵게 하기 위해 다형화 기법을 사용한다. 현재의 안티 바이러스(Anti-virus) 제품들은 일반적인 바이러스와 전자우편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에 대한 탐지 방식을 구분하지 않고 있으므로 전자우편 기반의 바이러스 탐지에 적절치 않다[1]. 또한 시그너쳐(signature) 기반의 탐지 방식을 이용하므로 다형성 바이러스를 탐지 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우편을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전자우편의 특성을 이용하되 시그너쳐에 의존하지 않응으로써 다형성 바이러스를 탐지 할 수 있는 기법을 소개한다.

  • PDF

다형성 바이러스의 소개(Win32/Kashu)

  • Choi, Dong-Kyun;Yang, Ha-Young
    • Review of KIISC
    • /
    • v.18 no.3
    • /
    • pp.53-5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중 다형성 바이러스인 Win32/Kashu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형성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특징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안티바이러스 제품에서 어떻게 치료가 이루어지는지를 알 수 있다. 다형성 바이러스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와 달리 감염 시 자신의 코드가 매번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복잡한 형태의 바이러스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 및 안티바이러스 업체 모두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