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닥 구조 시스템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9초

샌드위치 복합재 바닥 구조물의 구조 설계 및 해석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for Floor Board Structure)

  • 박현범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4-67
    • /
    • 2017
  • 본 연구는 자동차 바닥 구조로 적용된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의 안전성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 적용 자동차 바닥의 구조 설계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1차적으로 자동차 바닥 구조의 구조 설계 요구 조건이 분석되었다. 구조 설계 이후 유한 요소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자동차 바닥 구조의 구조 해석이 수행되었다. 적용 하중 조건에서 응력 및 변위 해석이 수행되었다. 최종바닥 구조의 구조 시험을 수행한 후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구조 해석을 통해 설계된 샌드위치 복합재 바닥 구조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환경친화형 바닥공조시스템

  • 조동우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8호
    • /
    • pp.32-40
    • /
    • 2004
  • 바닥공조시스템(underfloor air distribution system)은 건물 내에서 공기흐름을 바닥을 통해 조절하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천장공조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 공조시스템은 공조기 등에서 송풍되는 공조공기가 억세스 플로어 하부의 바닥공간으로 전달되고 바닥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송풍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바닥공조시스템의 이점은 전통적인 천장공조 방식에 비해 실내공기의 질(IAQ)이 향상되며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중략)

  • PDF

강재프레임 모듈러주택의 바닥충격음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in Steel Framed Modular House)

  • 천영수;방종대;김갑득;유송이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2호
    • /
    • pp.81-89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강재프레임 모듈러주택의 건식 바닥시스템을 대상으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도된 다양한 바닥구조의 실험결과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실험결과, 단위모듈 건식온돌 바닥구조는 완충구조로서 액체몰을 사용한 바닥구조 D31(D32)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경량충격음의 경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의 1등급 수준의 확보가 가능하고, 중량충격음의 경우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의 최저등급이기는 하나 기본적인 성능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차원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동적 특성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3-dimensional Irregular Setback Structure)

  • 문성권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287-294
    • /
    • 1998
  • 입면의 형태가 임의의 층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3차원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동적 거동 특성과 이들 구조물의 동적 거동에 미치는 바닥 슬래브의 면내 변형 효과를 분석하였다.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전반적인 동적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분의 평면적과 타워 부분의 평면적 비(R?), setback 발생위치(L?)등을 매개 변수로 사용하였다. 48개의 비정형 setback 구조물들에 대한 해석 수행 결과 setback 구조물은 정형 구조물에 비해 횡방향 1차 모드의 유효 모드 중량(effective modal weight)이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setback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등가 정적 해석법 대신에 동적 해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은 보다 긴 구조물의 고유 진동 주기값을 가져오며 모드 순서 및 모드 형상에도 변화를 준다. 이러한 사실은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으로 인하여 횡방향 저항 요소들간의 전단력 분포와 층 변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횡방향 저항 요소들간의 강성 차가 심한 프레임-전단벽 시스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PDF

폼 충전 FRP 바닥판의 약축방향 정적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tic Behavior in Weak Axis of FRP Bridge Deck Filled with a Foam)

  • 김병민;지광습;황윤국;이영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A호
    • /
    • pp.943-95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소재로 제작된 사각형 중공 교량 바닥판의 약축방향 거동을 보완하기 위해서 바닥판의 중공 내부를 구조용 폼(foam)으로 충전하였다. 충전폼의 유무와 폼의 강도에 따른 약축방향 정적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여 충전폼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FRP에 비하여 탄성계수가 현저히 낮은 구조용 폼으로 바닥판 내부를 충전하여 도 본래의 경량성을 유지하면서 공칭강도, 강성 등의 횡방향 구조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웨브의 개수에 따른 파괴거동을 비교하여 내부충전 FRP 바닥판에서 웨브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웨브가 내부충전 FRP 바닥판의 약축방향 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으나, 폼 내부에서 발생한 균열의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파괴모드의 취성을 경감시켰다.

자기부상열차 가이드레일 연결시스템의 유한요소 해석 (FE Analysis on Maglev Guiderail Connection System)

  • 진병무;이윤석;김인규;김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03-204
    • /
    • 2009
  • 자기부상열차 궤도 시스템은 자기부상열차의 활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아, 거더에 전달시키는 구조로 가이드웨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한 자기부상열차 가이드웨이 거더 개발의 한 과정으로 프리캐스트 바닥판-궤도 레일의 연결 시스템의 정적 및 피로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바닥판-궤도 레일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을 상세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수치적으로 평가하였다.

  • PDF

복합지지구조를 가진 뜬바닥 시스템 (II) (Floating Floor of Multi-supporting System ( II ))

  • 박영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3-295
    • /
    • 2004
  • In this research, we suggest the effective technique that the thickness of slab isn't increased, and considering proper shock absorbing material and supporting point, we make the floating floor which has multi-supporting system floating floor. As the result, it is effective in reduction of heavy weight system as well as one of light weight

  • PDF

복합지지구조를 가진 뜬바닥 시스템 (Floating Floor of Multi-Supporting System)

  • 박영환;정환돈;오호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28-931
    • /
    • 2003
  • In this research, we suggest the effective technique that the thickness of slab isn't increased, and considering proper shock absorbing material and supporting point, we make the floating floor which has multi-supporting system floating nut. As the result, it is effective in reduction of heavy weight system as well as one of light weight

  • PDF

바닥 격막을 고려한 코어 및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한 전단벽 강성의 영향 (Effect of Shear Wall Stiffness on Optimal Location of Core and Offset Outrigger Considering Floor Diaphragm)

  • 김형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7-47
    • /
    • 2019
  • 본 논문은 바닥 격막을 고려한 코어 및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70층 규모의 초고층 아웃리거 건물을 대상으로 MIDAS-Gen을 이용하여 구조설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해석연구의 주요 변수는 슬래브의 강성, 전단벽의 강성, 아웃리거의 평면상 위치이다. 또한 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슬래브의 강성과 전단벽의 강성이 바닥 격막을 고려한 코어 및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해석연구의 결과에서는 슬래브의 강성, 전단벽의 강성, 아웃리거의 평면상 위치가 초고층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위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분석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본 논문의 결과는 초고층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위치를 조사하는데 필요한 구조공학자료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